보고 끄적 끄적...2013. 7. 8. 08:33

<두 도시 이야기>

일시 : 2013.06.18. ~ 2013.08.11.

장소 : 샤롯데씨어터

원작 : 찰스 디킨스

대본, 작사, 작곡 : 질 산토리엘로

연출 : 제임스 바버

음악감독 : 강수진

출연 : 류정한, 윤형렬, 서범석 (시드니 칼튼)

        카이, 최수형 (찰스 다네이) / 최현주, 임혜영 (루시 마네뜨)

        신영숙, 백민정 (마담 드파르지) / 김도형, 김봉환 (마네뜨박사)

        임현수, 배준성, 김대종, 박송권, 김덕환, 전국향 외

제작 : (주)비오엠코리아, 롯데엔터테인먼트

 

뮤지컬 배우 류정한!

그는 아무래도 흐르는 류(流)의 배우가 되려는 모양이다.

안되겠다.

남루한 글솜씨일망정 류의 흐름(流)을 어떻게든 기록하고 싶다.

그의 흐름에 완전히 말려 들어가 정신을 잃기 전에!

 

고대 그리스에선,

무대 위에 서있는 배우를 "히포크리테스(hypokrites)"라고 불렀다.

그 단어 안에는 "응답하는 자(one who answers)"라는 의미가 숨어있다.

무대 위에서,

작품속 인물에 스스로 응답하는 자,

그럼으로써 자신을 바라보는 관객들의 욕망에 일일히 응답하는 자.

그게 무대를 책임지는 배우의 엄중한 의무이며 책무다.

그래서 소위 끼를 부리는 가벼움이 아닌, 근거있는 순발력과 투명도를 가져야만 한다.

왜냐하면 배우란,

자신의 몸을 도구화시켜 작품 속 그 인물을 정교하게 이끌어내야하는 일종의 천형의 업이기 때문에!

그래서 뮤지컬 배우가 빠질 수 있는 함정도 여기에 있다.

자칫 소리(노래)를 몸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

이렇게 죽이게 노래를 잘하니까 몸(액팅)의 어색함 정도는 눈감아 주리라는 어설픈 믿음.

그러나, 뮤지컬 배우가 뮤지컬 자체가 아니듯 소리(노래) 자체도 아니다.

소리는 단지 표현의 일부다.

그 전에 그들은 무대를 책임지는 배우다!

뮤지컬 배우의 표현력과 집중력은 단지 소리에만 있지 않다.

소리에만 집중하는 배우는 그래서 무대 위에 바칠 수 있는 것도 소리 하나뿐이다.

배우는,

들려주는 사람이 아니라 보여주는 사람이다.

배우의 도구는 언어가 아니라 철저하게 몸이다.

때로는 손끝 하나로도, 목소리의 떨림 하나로도, 눈의 움직임 하나로도 화산같은 감정을 폭발시키고

이곳을 저곳으로 뒤집어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배우의 모습을 목격할 때,

관객은 근거있는 믿음과 무한한 신뢰를 보낸다.

그런 의미에서 류정한의 시드니 칼튼은

서로 완벽하게 소통하고 이해하고 호흡하는 믿음과 신뢰, 그 자체였다.

개인적으로 시드니 칼튼이란 인물을 표현하는 핵심은 "절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절제 속에는 격정과 안식을, 정열과 평화를 동시에 공존시켜야 한다.

(어렵고, 어렵고, 또 어려운 인물이다)

배우 류정한은 이 작품에서 섬세함과 디테일의 끝을 보여준다.

술에 찌든 몽롱한 모습, 흐트러진 걸음걸이와 말투.

일부러 시계를 꺼내 보이는 치밀함과 장면마다 상대 배우를 향하던 눈빛, 표정들,

그리고 그 작은 손끝과 발걸음 하나까지...

이건 계산과 연습을 통해 보여질 수 있는 게 결코 아니다.

그는, 그대로 시드니 칼튼이 되버렸다.

도대체 어쩌려고!

 

류정한이 무대에서 보여준 시드니 칼튼!

그에게선 냄새가 난다.

그것도 아주 짙은 냄새.

그건 이곳을 떠나 먼 곳으로 가려는 사람에게서 맡아지는 그런 냄새다.

그 냄새는 1막에서는 차가운 슬픔으로,

2막에는 뜨거운 슬픔으로 가시화된다

그 극도의 온도차를 감당해야 하는 건 객석에서 보는 관객에게조차도 힘겨운 일이다.

(그렇다면, 그걸 몸으로 감내해야만 하는 그는?)

급기야 마지막 장면에서 나는 목격해버렸다.

오래 견뎌온 사람의 마지막 선택을!

그리고 더 오래, 언제까지든 견뎌나갈 사람의 얼굴을...

류정한 배우의 치열함과 절실함은

시드니 칼튼이라는 인물의 죽음 이후, 그 침묵을 생각케했다.

사실 나는 내가 좀 비정한 사람이길 바랬다.

이 모든 감정들을 감당하는게 너무 힘겨워서.

(고작 보고만 있었으면서...)

완전 연소한 사랑은.

어떠한 후회도, 미련도 없단다.

그걸 류정한 시드니 칼튼이 내게 보여줬다.

진지함과 장난스러움, 따스함과 슬픔이 뒤섞인 눈으로 그의 시드니가 말한다.

"나는 내가 했던 그 어떤 일보다 가치있는 일을 하려고 합니다!

 난 내가 알던 어떤 휴식처보다 더 평온한 곳으로 가려고 합니다!"

그래, 이제 시드니 칼튼을.

그곳으로 기꺼이 보내줄 수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그를 믿기 때문에!

짧은 한순간 그의 고통은 사라질 것임을.

그의 바람처럼 나 역시도 견딜 수 있을만큼만 아파할 거라른 걸,

시드니의 정직하고 순수한 선택처럼

완벽히 믿는다.

(그래도 된다면, 우리 모두의 목숨을 걸고 믿는다!)

 

뮤지컬 <두 도시 이야기>를 보면서

나는 자꾸 영화 <Love affair>가 떠올랐다.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류시드니에게서 <Love affair>의 테리가 보였다.

(공교롭게도 테리를 연기한 아네트 베닝은 류정한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배우이기도 하다)

영화의 한 장면과 이 작품의 "I can't recall"은 아주 절묘하게 닮아있다.

아네트 베닝이 워렌 비티의 이모로 나왔던 캐서린 햅번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허밍하는 장면.

이 장면에서 엔리오 모리꼬네의 음악 "love affair"는 정말 소름이 돋을 만큼 아름다웠다.

그것도 아주 정교하고 섬세하게...

그 장면은 그 자체가 심장을 향해 직접 박히는 장면이었다.

그걸 보면서 나는 테리에게 여기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세계가 이제 막 시작됐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그건 "I can't recall"에서 시드니에게 열리는 세계와 정확히 일치한다.

그 세계는,

 별들이 부러워할 세계고,

도무지 어찌해야 할지 모르는 세계고,

술 한 잔을 권하는 세계다.

다 잊어도 결코 잊혀지지 않는 세계.

인생에 끼어드는 가장 큰 위험(risk) 은 바로 "사랑"이란다.

그렇다면 그 위험을 어떻게든 피해야 할까?

<두 도시 이야기>와 <Love affair>는 그 질문에 명료하고 분명하게 대답한다.

Take a chance!

운명을 걸어 보겠보겠노라고.

 

재미있는 건,

난 운명을 거는 사랑도, 너무 큰 사랑도 개인적으로 믿지 않는다.

그런데!

사실은 그런 사랑이 있노라고 <두 도시 이야기>는 자꾸 나를 설득시킨다.

배우 류정한의 흐름(流)이 나를 그곳으로 흐르게 했다.

어쩌자고...

솔직히 당혹스럽다.

적어도 이건 내게 있어 확실한 비극이자 희극이다.

그런데 이미 휩쓸려버렸다.

류의 흐름 속에...

이제 나는 정말 어떻게 해야 할까?

 

Take a chance?

Maybe...!!

 

 

널 위해 눈물을 흘리는 건
아주 쉬운일이지만
날 위해 애써 웃으려고 하는 건
가슴에 못을 박는 아픔과도 같아

널 위해 다른 사람에게
너를 보내 줄수는 있지만
날 위해 니가 아닌 다른 누군가를
내 맘속에 들어오게 하는 건 불가능해

널 위해 언제까지나
너를 기다리며 살아갈 수는 있지만
날 위해 너와의 모든걸
이쯤에서 묻어버리기엔
너에 대한 내 사랑이 너무 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09. 10. 27. 05:29


정확히 일주일만의 재관람.
오랫동안 기다리긴 했었나보다. 내가...
양준모 팬텀, 홍광호 라울을 봤던 이유로 은근히 기대했었다.
윤영석 팬텀과 정상윤 라울을 만날 수 있기를...(크리스틴은 최현주였음 했고)
것도 아니면 정상윤 라울만이라도...



칼롯타만 빼고 캐스팅은 일주일 전과 똑같다.
캐스팅에 대한 실망감은 별로 없다.
그 정도로 이 뮤지컬의 존재감은 내게도 대단하다.
그러나 윤이나의 칼롯타는 무지 그립더라.
최주희의 칼롯타는 훨씬 더 코믹하고 상당히 과장된 캐릭터다.
노래와 액션, 표정까지 모든 것이 다...
(조금은 수긍이 된다.  그 방법이  최주희 칼롯타가 윤이나 칼롯타를 상대로 한 차별화의 방법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양준모의 Phantom"
분명 그가 달라졌다.
처음엔 VIP 좌석의 힘인가?하고 의심했다.
고작 일주일만의 재관람이었는데 이 사람이 내 머릿속을 다녀간 느낌이다.
이블데드나 플랑켄슈타인의 허우적거림을 떠올리지 않았다.
양준모 팬텀은 분명히 점점 정돈되어 가고 있고 그리고 조금씩 섬세해지고 있다.
팬텀의 존재감을 그가 받아들이기 시작한걸까? 
모든 남자 뮤지컬 배우들이 꿈꾼다는 팬텀!
내가 생각하는 팬텀은 격렬하고 엄청난 존재감을 남기거나 뛰어난 기교를 자랑하는 역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역할이라면 오히려 <Jekyll & Hyde>에 가깝다.
팬텀은...
조용하고 은밀하게 서서히 찍히는 
그러나 선명하게 흔적을 남기는 낙인과도 같다.
오랫동안 천천히 그러나 치명적으로 퍼져가는 독같은 존재라고 할까?



아직도 등장이나 퇴장하는 부분의 어색함과 불안감이 남아있긴 하지만
(특히 2막에서 극중 극 "돈주앙의 승리"에서 크리스틴과 함께 사라지는 장면...)
양준모 팬텀은 분명 좋은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아마도 팬텀의 존재감 전달은 그에게도 공연 내내 화두가 되지 않을까?
광기가 전해지는 웃음보다 느끼함이 전해지는 웃음까지 그가 잡아낸다면
더 존재감있는 팬텀을 양준모라는 배우를 통해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팬텀의 웃음소리...
자칫하면 느끼함으로 인해 "광기(狂氣)"가 아닌 "광(狂)"으로만 남을 수 있을 것 같기에...
"광"만 남은 팬텀은 너무 코믹스럽지 않을까 싶다.
계속 거슬리는 왕꿈틀이(?) 장면.
그래도 첫번째 봤을 때보다는 어색함이 덜했지만
팬텀의 신비감을 한순간에 사라지게 하는 치명적이고 결정적인 장면이다.
크리스틴 앞에서 보이고 싶지 않는 자신의 흉칙한 얼굴을 드러내는 장면인데...
여전히 그 장면은 나를 당황스럽게 한다.
왠지 주머니에서 쌈지돈이라도 꺼내주어야 할 것만 같은 당혹감...
(써놓고 보니 왠지 더 서글프다.)
 


홍광호 라울은...
팬텀에 대한 동경이 담겨있다.
어떤 면에서는 그가 크리스틴보다 팬텀을 더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배역에 대한 그리움과 동경이 언듯언듯 보인다.
그래서 나는 정상윤 라울이 궁금해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팬텀을 꿈꾸지 않는 라울의 모습이...
최현주 크리스틴은 역시나 아름답웠고,
가까이에서 본 피르맹과 앙드레는 최고였다.
극의 포인트를 찍어주는 두 사람(김봉환, 서영주) ^^
강약과 웃음의 코드를 적당히 조절하는 두 사람의 모습은
역시 프로답다.



<Phantom of The Opera>
나는 이 뮤지컬을 다시 보게 될까?
정답은 "그렇다"는 것이다.
지금 당장은 아닐지라도
나는 양준모 팬텀의 진화 과정을 내 눈으로 계속 확인하고 싶다.
그가 팬텀의 존재감을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그 순간을
스스로 확인하고 기록하고 싶다.
그의 몸 안에서 팬텀이 완벽하게 해방되어 나오길...
나는 계속 꿈꾼며 희망할 것이다.
그리고 양준모 팬텀이 그런 모습을 보여줄 것임을
정직하게 믿는다.
그러니, 양준모 팬텀이여!
그대는 노래의 날개를 접지 말고 계속해서 펼쳐나가라!
The Music of The Night!
결코 끝나지 않을 위대한 힘
밤의 노래을 위하여...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