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7. 11. 21. 08:32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일시 : 2017.10.19. ~ 2018.01.28.

장소 :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극작 : 박햬림

가사 : 백석, 박해림, 채한울

작곡 : 채한울 / 음악감독 : 박지훈

연출 : 오세혁

출연 : 강필석, 김경수, 오종혁, 고상호, 진태화 (백석) / 정운선, 곽선영, 정인지, 최연우 (자야)

        윤석원, 유승현, 안재형, 김바다 (남자)

제작 : (주)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정확히 1년 만의 재관람이다.

작년 관람에서는 백석 강필석의 연기에 감탄했고

이번엔 곽선영 자야에 감동했다.

한 인터뷰에서 관객이 어떤 대사에 종점을 두고 봤으면 좋겠느냐는 물음에 그녀가 답했다.

모든 대사 전부...라고.

실제로 곽선영은  대사 하나 하나를 몸에 새기듯이 연기했고

폭풍같은 감정들을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에게까지 그대로 전달하더라.

작년에 자야에 감정이입이 쉽지 않았는데 이번에 단번에 이입이 됐다.

자야의 몽(夢)을 누가 감히 환상(幻想)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어떤 사람에겐 환(幻)이 현실보다 더 실제적일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생(生)이 있다는걸 나는 안다.

그래서 울컬울컥 감정이 올라왔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눈물을 쏟게 하는 최류성 작품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작품도 작년에 한 번 보고 끝냈는데

이번엔 여운이 좀 깊다.

이게... 다... 곽선영 때문이다 ^^

기대했던 김경수 백석은 감정에 너무 깊게 빠져 내가 비집고 들고 갈 여백이 없어서 아쉬웠다.

<인터뷰> 이후에 김경수가 출연하는 작품은 거의 다 찾아보는데

현재까지는 <인터뷰>를 넘어서는 작품을 만나지 못해 아쉽다..

아! 백석을 머리 모양을 그대로 따라한건 정말 좋더라.

(아마도 의도한 연출이지 싶다)

윤석원은 어딘지 이질적인 느낌이 들었고

"북관의 계집"은 임펙트가 많이 약했다.

두 배우와의 균형감도 살짝 어긋나는것 같고...

아무래도 초연캐스팅으로 한 번 더 보게 될 것 같다.

 

* 사실...정말 보고 싶은 캐스팅은 강필석, 곽선영, 안재형인데... 단 한 번도 없어 너무 아쉽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4. 11. 24. 08:54

<Man From Earth>

일시 : 2014.11.07. ~ 2015.02.22.

장소 :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원작 : 제롬 빅스비 (Jerome Bixby)

각색 : 배삼식

연출 : 최용훈

출연 : 박해수, 문종원, 여현수 (존 올드맨) / 김재건, 최용민 (윌 그루버)

        서이숙, 김효속, 이주화 (이디스) / 이대연, 이원종, 손종학 (댄)

        정규수, 한성식 (해리) / 조경숙, 이영숙 (린다)

        이주연, 박지나, 강하람 (샌디) / 정구민, 오근욱, 백철민 (아트)

제작 : (주)올라운드엔터테인먼트, (주)페이스엔터테인먼트

 

영화로 먼저 만들어진 작품이지만 일부러 챙겨보지 않았다.

이유는 아무런 사전정보없이 출연배우의 연기력 하나만 믿고 보고 싶었다.

그리고 그런 나의 선택은...

완벽히 들어맞았다.

<Man from Earth>

이 황당하고 비상식적인 이야기를 내가 이렇게까지 실제적으로 받아들일 줄은 정말 몰랐다.

구석기 후기부터 현재까지 14,000년 동안 이어진 동굴인간 존 올드맨의 생애가

정말로 나를 아주 먼 곳으로 데려갔다.

자신이 늙지 않음을 사람들이 알아차리기 시작하는 시간은 10년.

그래서 10년을 주기로 옮겨다니는 유목민의 삶을 사는 존 올드맨의 선택은

과연 누구를 위한 선택이었을끼?

그런 생각을 했다.

인간은 때론 인간적일 필요가 없다고.

직관과 본능을 앞세우는 동물적인 감각으로 살아야 하는 시간도, 공간도, 관계도 있다고.

그리고 동물적이라는게 꼭 지능적으로 미개함을 뜻하지 않는다는 것도.

올드맨의 이야기를 믿지 못하면서도 사람들은 그에게 묻는다.

"이 모든 이야기를 우리에게 하는 이유가 뭐냐?"고.

올드맨이 답한다.

"진짜 나로서 작별 인사를 하고 싶었어요..."

진짜 나로서... 진짜 나로서... 진짜 나로서...

아주 무섭고 용기있는 대답이라 오히려 막막했다.

 

결핍때문이라고,

공허한 삶이 만들어낸 망상일 뿐이라고,

아니 알츠하이머가 찾아왔다고...

그런데 참 재미있는건,

올드맨은 단 한 번도 스스로를 불사(不死)나 불멸(不滅)의 존재라고 말하지 않았다.

심지어 죽음이 두렵냐는 윌의 질문에 그렇지 않는 사람도 있느냐고 반문한다.

그렇다.

공평하게도 누구에게든 단 한 번의 삶뿐이다.

단지 그게 우리의 기준과 지식을 훨씬 뛰어넘는 엄청난 시간의 연속이었느냐, 찰나였나의 차이일 뿐이다.

시간을 풍경으로 인식한다면,

14,000년의 시간 역시도 풍경일 수 있겠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죽는다.

심지어 살아있는 않는 것들조차도 죽는다..

신화(神話)도, 지식도, 기억도, 감정까지도...

올드맨이 자신이 불사의 존재라고 말했다면 오히려 사람들은 쉽게 받아들였을 수도 있었을거다.

물론 그럴 경우 그가 광기(狂氣)의 인간으로 보호감찰이 될 수도 있겠지만...

"차라리 그게 나을까? 내가 미쳤다면?"

어쩌면 샌디의 대답은 정답일 수 있겠다.

"당신이 저 사람들의 우주를 파괴할순 없으니까요..."

존과 샌디의 짧은 대사가 나는 너무 아프고 또 아프더라.

 

배우들의 연기는...

그야말로 너무나 매혹적인 향연(香宴)의 연속이었다.

(아쉽게도 샌디는 빼야할듯... ㅠ.ㅠ)

특히 존 올드맨 박해수의 연기는 이날이 두번째 날이라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전작 <프랑켄슈타인>과 교집합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그런지 연기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정말 좋더라.

연기하는 내내 표정이 너무나 좋아 눈을 떼기가 참 힘들었다.

멋진 작품이고, 멋진 배우들이었고, 멋진 연출이고, 멋진 무대였다.

덕분에 제대로 미학적이고, 탐구적이고, 논리적이고, 지적이고, 매혹적인 시간을 즐길 수 있었다.

관람하고 나오는데 이작품을 기획한 이종원씨가 계단에 서있는 모습이 보였다.

나도 모르게 다가가 꾸벅 인사를 했다.

그리고 초면에 염치없이 고백했다.

"너무 좋은 작품이었고, 아주 매혹적인 시간이었다"고...

(.... 아마 많이 놀라지 않으셨을까???)

 

Man from Earth.

존 올드맨처럼 나 역시 인간이 성스러울 수 있다는 희망을 믿는다.

왜냐하면 모든건 여전히 가능하니까...

 

사랑하고 사랑하고 또 사랑하라.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4. 10. 7. 08:23

<Thrill Me>

일시 : 2014.08.08. ~ 2014.10.26.

장소 :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대본, 작사, 작곡 : 스티븐 돌기노프 

연출 : 박지혜

출연 : 정상윤, 정동화, 신성민, 정욱진 (나 ; 네이슨)

        에녹, 송원근, 임병근 (그 ; 리처드)

제작 : 뮤지컬 해븐

 

<쓰릴미>

정상윤 네이슨이 8회 특별 공연으로 돌아왔다!

이번 시즌 <쓰릴미>를 보면서 전혀 쓰릴함을 전혀 느끼지 못해 단 한 번의 관람으로 끝을 냈었다.

(쓰릴미를! 그것도 내가! 단 한 번만 관람한다는건 정말이지 이례적인 일이다.)

그런데 이 소식을 들으니 Thrill이 절로 생기더라.

정상윤이 없는 <쓰릴미>는 확실히 뭔가 중요한게 빠진 느낌이었다.

그런데... 그가 <쓰릴미>로 돌아왔다!

그렇다면 <쓰릴미>를 봐야만 하는 이유가 완벽히 생긴거다!

10월 3일 오후 3시.

단 8 회차 공연의 첫회.

이날 정말 신기햇던건,

공연이 시작되기 전부터 전체적인 분위기가 확실히 달랐다는거다

진정한 "네이슨의 귀환"을 오랫동안 기다렸다는 느낌!

그래선지 공연 내내 객석의 몰입도 역시 근래 내가 본 작품 중에서 최고였다.

눈깜짝할 사이에 정상윤이 출연하는 8회차가 매진이 된 이유...

충분히 이해했고 인정했다.

(나 역시도 네이슨은 정상윤이 최고라고 생각하기에!)

 

신재영 피아니스트의  "prelude" 연주부터

90분이라는 시간이  믿어지지 않을만큼 빨리 지나가버렸다.

신재영과 정상윤.

이 조합 역시나 환상이다.

공연이 시작되길 기다리면서 신재영 피아니스트이길 얼마나 바랬던지...

(둘 사이에 뭔가 특별한 교감이 있음을 확신한다.

정상윤 네이슨은,

첫공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바로 어제까지 이 작품을 해 온 사람같았다.

여백이, 잠깐의 빈틈조차도 느껴지지 않았고

호흡과 대사톤, 표정, 움직임까지 이보다 더 네이슨일 순 없었다.

솔직히 고백하면, 첫곡 "그를 뒤따른 것 뿐"을 들으면서 이미 울컥했다.

그냥 그대로 네이슨이어서...

네이슨은...

정상윤이 옳다! 옳다! 옳다! ^^

 

송원근이 드라마 촬영때문에 바뻐 연습을 많이 못했다는데

둘의 합은 참 좋더라.

개인적으로 지난 시즌보다 훨씬 더!

그 사이 송언근 리차드에게도 여유가 많이 생겼고 많이 단단해졌다.

예전에는 정상윤에게 의지하는게 보였는데

지금은 자기 몫을 충분히 감당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

둘 사이의 믿음도 보여서 그걸 보고, 느끼고, 공감하는게 행복했다.

 

공연을 보고 나오는데 한번 관람으로는 도저히 끝낼 수 없겠더라.

그래서 지금보다 훨~~~씬 더 섭섭한 자리를 예매했다.

그 자라에서 관람하면

리처드와 네이슨이 무대 2층에 있을 때 머리가 댕깡 짤리겠지만

그런 자리에서라도 정상윤 네이슨의 Everybody wants Richard를 다시 듣고 싶다.

Nothing like a fire도 Way to far도 Life plus 99 years도 모두 다!

 

역시나 좋구나.

정상윤 네이슨은...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4. 4. 29. 08:22

<Trace U>

일시 : 2014.03.04. ~ 2014.06.23.

장소 :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작사 : 윤혜선

작곡 : 박정아

연출 : 김달중

출연 : 최재웅, 이지호, 이율, 이창용, 최성원 (이우빈)

        장승조, 김대현, 문성일, 서경수, 윤소호 (구본하)

제작 : (주)장인엔터네인먼트

 

홍대 최고의 락클럽 "Debai"가 다시 돌아왔다.

작년 프리뷰와 초연을 너무 인상 깊게 봐서 재공연 소식이 무척 반가웠다.

게다가 새로운 배우들도 대거 캐스팅이 대서 기대감도더 생겼다.

하지만!

락공연 관람이 이제는 버거운 나이인지라 딱 한 번 관람으로 끝낼 생각이라 캐스팅에 신중을 기해야 했다.... 라고 하기엔 첫정이 너무 강력하다.

그 딱 한 번 관람을 또 다시 최재웅 이우빈과 윤소호 구본하로 선택한 걸 보니...

(나란 사람 첫정에 이렇게까지 약하구나! 도무지 일탈이라는게 없구나...)

세번째 시즌 <Trace U>

익숙해진다는 건,

때로는 좋기도 하고 때로는 나쁘기도 한 것 같다.

이 작품도 확실히 예전만큼의 신선함과 충격은 현저하게 줄었다.

배역에 너무 능숙한 배우들을 보면서

다른 캐스팅으로 봐도 좋았겠다는 생각을 했다.

개인적으로 이 작품의 핵심은 일종의 "낯섬"에 있다고 생각하는데

덩시앙 "낯섬"을 느끼기엔 나도, 배우들도 너무 익숙했다.

그래도 여전히 넘버들은 몸서리치게 좋다.

경계성 해리의 분위기를 마구마구 풍기는 무대도, 영상도, 조명도 여전히 좋다.

단지 문제는 내가 너무 익숙해졌다는 거.

거기에 있었다.

 

세 번의 시즌 중 가장 좋았던 건

역시나 전공연이 프리뷰였던 첫번째 공연이지 싶다.

이번 공연은 솔직히 산만해진 것 같아 아쉬웠다.

개인적으로 개그콘서트 같은 구성을 좋아하지 않는 탓도 있겠지만

우빈과 본하의 즉흥베틀같은 장면은 너무 장황하고 유치했다.

해가 지기 전에 ~~~~낮이었지!

긴 밤 지새우면~~~~졸려!

폼클렌징~~~

난감했다.

어디서 웃어야 하는지 몰라서...

유니플렉스의 음향 상태는 적쟎은 절망감을 안겨줬고

그래선지 최재웅과 윤소호의 합도 예전과 다르게 살짝씩 삐걱거렸다.  

어느 정도는 연출적인 의도였던 것 같은데

우빈의 과거의 공연과는 달리 뒤로 좀 빠지는 느낌이었다.

아마도 인물 자체룰 복선으로 보이게 만들고 싶었던 모양인데

의도만큼 연출되지 않은듯.

덕분에 본하의 동선이 많이 산만해졌다.

 

그런데 사실...

이런 마음이 드는 건 작품때문이 아니다.

뭘 하든 간에 요즘은 

모든 게 다 끝없는 죄책감이다.

감당하기 힘든 기억을 지워버린다는 구본하.

할 수만 있다면,

나는 구본하가 되고 싶다.

그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것 같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4. 2. 7. 08:29

<웃음의 대학>

일시 : 2013.11.08. ~ 2014.02.23.

장소 :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대본 : 미타니 코우키

연출 : 김낙형

출연 : 송영창, 서현철, 조재윤 (검열관)

        김승대, 정태우, 류덕환 (작가)

제작 : (주)적도, (주)연극열전

 

몇 번의 예매와 취소를 반복하다 보게 된 작품.

(캐스팅이 바뀌기도 했고, 갑자기 일이 생기기도 해서...)

2008년 연극열전2로 초연될때부터 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무려 6년 만에 드디어 볼 수 있게 되서 혼자 감회에 젖기도 했다.

서련철과 류덕환, 내가 원했던 캐스팅이었고,

목요일 저녁공연이라 할인율도 높았고.

그리고 좌석은 환상적일 정도로 좋았다.

검열관에서 살짝 조재윤과 고민을 하긴 했지만 역시 서현철로 기울 수밖에 없더라.

서현철 특유의 말투와 억양, 표정이 자꾸 나를 끌어당겨서... ^^

역시나 서현철은 대사 타이밍도 좋고 순발력있는 연기도 정말 좋더다.

무대 위에서 오버하지 않으면서 기꺼이 망가질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는 배우.

여전히 참 좋다. 서현철이라는 배우.

작가역의 류덕환과도 잘 맞았고.

류덕환은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배우인데

아무래도 작은키 때문에 배역에 한게가 생길 수 밖에 없어 참 안타깝다.

정말 너무 열심히 하는, 그리고 잘 하는 배우인데...

언젠가 그의 진면목을 발휘할 수 있는 작품이 꼭 나올거라 믿고 싶다.

 

<웃음의 대학>은 1940년대 2차 세계대전이 시대배경이다.

어렵고 힘든 시기에 웃음 따위는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검열관에게

공연허가를 받기 위해 극단 "웃음의 대학" 전속작가의 고분분투기다.

(어디까지나 표면상으로는....)

공연허가를 위해 검열관의 무리한 요구를 받아들이는 7일.

작가는 일곱 번의 수정을 거듭하면서 검열관에과 기묘하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간다.

웃을 수 없은 희극작품을 쓰라는 아이러니한 검열관의 요구를 가장한 명령.

그러나 작품 속에선 다행히 검열과 수정이 반복될때마다 오히려 작품은 더 재미있어진다

그리고 급기야 작가과 검열관은

어느틈에 서로를 이해하고 격려하며 존중하는 관계로 변한다.

두 사람의 이런 변화는 일종의 화해이자 완벽한 파괴이기도 하다.

(파괴하지 않으면 창조는 없다!)

 

사실 이 작품은 한바탕 웃고 지나가는 코믹물이라고 치부하기엔 너무 묵직하다.

왜 서민의 즐거움을 빼앗으려고 하느냐는 작가의 대사를 들으면서

<웃음의 대학>의 해프닝이 봇물터지듯 넘쳐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생각케 했다.

뭐랄까?

우리는 지금 완전히 다른 두 개의 사전을 가지고 사는 것 같다.

가령 그들의 생각하는 "소시민"과 우리가 생각하는 "소시민"의 뜻은 애초부터 완전히 다르다는...

언어의 기본구조가 다르니 화해와 화합도 불가능하다.

희극작가가 (권력과) 싸우는 그 끊임없는 저항의 방법이

지금 우리에게도 있다면 참 좋을텐데...

(혼자 묵직해졌다.... 젠장!)

 

"전 자신감 따윈 없습니다!

 다만 제자신을 믿을뿐입니다"

작가의 검열관에서 던진 대사가 참 뭉클했다.

(이 장면에서 류덕환의 표정과 연기 정말 좋더라)

궁금해졌다.

웃을 수 있으면 살 수 있다는 작가의 말.

그런데 그게 정말일까?

 

웃을 수 있으면...

살 수 있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