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0. 1. 16. 06:12
대물 김윤희, 가랑 이선준, 걸오 문재신, 여림 구용하
전편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에서 대과에 급제한 잘금 4인방의
규장각 이야기다.
뭐... 재미는 있다.
조선시대 남장 여자의의 출사기가 어찌 아니 재미있을쏘냐.
문제는 다른 게 없다는 거...
(재미라는 것도 전편보다는 솔직히 좀 떨어진다)



성균관이나 반촌에 대한 이야기.
규장각 검서관의 이야기가 새롭고 흥미롭긴 하지만
그 이상을 넘어가지 못해 아쉬운 마음이 남는다.
(그 이상을 기대하는 건 이기심인가? 재미에 충실한 소설도 솔직히 보기 드문데...)
가난한 집안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남장을 하고
동생의 역할을 해야만 했던 절세미인 김윤희는
어쨌든 난 놈(?)이다.
대물에 변강쇠라는 전설적인 별칭까지 선사받고
비밀을 알고 있는 사형들과 정조의 엄청난 보호와 보살핌 속에
꽃 중의 꽃으로 화한다.
(진정한 신데렐라 탄생기... ^^)
뭐 어쨌든...



아마도 작가 정은궐은
이 4인방에 김윤희의 동생 김윤식까지 포함한
5인방의 이야기를 새롭게 청나라에서 시작할지도 모르겠다.
흔히 말하는 "열린 결말"로 책이 마무리 되기에...
그리고 미처 정히하지 못한 이야기들이
아마도 머릿속에서 아우성치며 소란을 피우겠지.
유리창 거리 이야기를 해주면 좋으련만...



요즘 괜찮은 소설이 뭐예요?
라고 묻는 사람이 아닌
요즘 재미있는 소설이 뭐예요?
라고 묻는 사람에게 권해줄 이야기.
그런데 사실은,
괜찮은 소설이 필요한 건 바로 "나"다.
누가 좀 대답해줬으면...
이상하게 요즘 자꾸 허기진다.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09. 12. 22. 05:57
오랫만에 아무 생각없이 그야말로 눈요기처럼 읽은 책
재미있었노라 말해야 하나?
뭐... 분명 재미있는 요소가 다분하긴 하다.
참 교묘하게 이것저것 잘 집어넣어 쓴 책이란 생각도 든다.
표절을 운운하는 표현이 아니라,
요샛말로 먹히게 쓴 소설이란 뜻이다.
요즘 드라마의 대세인 퓨전사극의 일종이다.
남장여자의 성균관 입성기라고나 할까?
조선판 <미남이시네요>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긴 하더만...



정은궐이란 작가는 스스로 이 소재가 대견스럽고 재미있었던 모양이다.
4명의 등장인물들을 규장각으로 끌고 들어간다.
2탄 격인 소설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도 1,2권으로 출판된 상태다.
아마도 시리즈로 계속 이어나갈 모양.
이 소설이 몇 년만 일찍 나왔더라면 히트를 쳤을거란 생각을 해본다.
이미 이정명의 <바람의 화원>이 공전의 히트를 친 관계로
지금은 그만큼의 인기를 얻기엔 아무래도 힘들 것 같다.
그야말로 재미를 위해 쓴 소설이란 생각이 들기에...
성균관이나, 치외법권 지역인 반촌의 모습,
그리고 정조 시대의 당파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깃거리들도 분명 있지만
깊이감이나 신비감을 찾을 수는 없다.



뒷 이야기를 충분히 감을 잡을 수 있다는 결정적 단점(?)도 내겐 한 몫을 한다.
killing time 소설이었다고 해두자.
(그러나 이 표현 또한 시간 낭비의 개념은 절대로 아님을 밝히는 바)
읽고 있으면 시간은 금방 지나간다.
대물 김윤희, 가랑 이선준, 걸오 문재신, 여림 구용하
4명의 주인공들은 읽는 이의 시선을 잡기엔 충분하다.
학구파, 정의파, 비밀파, 유머파.. (내 나름데로의 말도 안되는 분류긴 하지만)
뭐 이야기거리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대표적 인물들이 나온다.
이런 인물들로 재미 없는 이야기를 쓴다면 그게 더 이상하긴 하겠지만...



홍길동, 일지매에 해당하는 인물 걸오 문재신의 다음 행방이 궁금하긴 하다.
4명의 인물들 중에서 제일 관심가는 인물 ^^
재미있는 읽을거리가 찾는 사람은 한 번 읽어봐도 나쁘진 않겠다.
재미는 있으니까...
간혹 나도 생각한다.
내가 남자였다면...
어떤 시대에 살아가던지간에...
그게 아니라면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고 남장여자로 잠깐 살아봤으면 좋겠다는 상상.
한 번 해 볼까???
Posted by Book끄-Book끄
달동네 책거리2008. 12. 18. 16:00

<조선의 뒷골목 풍경> -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지난번에 주로 명문가의 이야기를 했다면 오늘은 그 반대편 이야기를 좀 해보려구요.

이 책 역시도 우리 병원(미즈 메디) 도서관에서 처음 만났던 책입니다.

조선시대라는 건 참 이야기의 보고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

삼국시대나 고려시대는 너무 먼 이야기인 것 같아 어쩐지 신화나 전설같은 느낌이 들지만 조선은 그래도 시간적으로도 제일 가까운 시대의 이야기라 그런지 왠지 더 친밀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요즘의 시대와 이상하게 비슷한 구석이 많이 있다는 걸 점점 더 알게 됩니다.


유교를 앞세운 조선이라는 나라의 이면에 이런 모습이 있었다니... 어느 면에선 놀라게도 되고 어느 면에선 섬뜩함마저 느끼게 됩니다.

“뒷골목”이라는 제목에서 이미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아름다운 미풍양속이나 풍경들을 나열한 게 아니라 요즘 말로 하면 그야말로 야생 그 자체의 보고서라 할 수 있습니다.

왜 은근히 그렇쟎아요.

정설보다는 속설에 귀가 댕기고, 그리고 정사보다는 야사에 밤이 새는 줄 모르고...

어디서 이런 자료들을 채집했을지 작가의 정보수집력이 그저 감탄스럴 뿐입니다(거의 무림고수를 만나는 기분이라면 이해가 되실지...)


그렇다고 이 책이 어디 조선시대의 불법이나 범죄를 다룬 그런 책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세요. 뭐랄까... 한마디로 재치와 해학이 묻어나는 책입니다. 그러면서도 적당한 비판과 예리한 통찰력도 함께 지니고 있고요.

저 또한 이 책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가령 “반촌” 같은 이야기 말이죠.

지금 혜화동 일대를 조선시대엔 반촌이라고 했었는데요, 그 거주민들은 반인이라고 하는 소를 도축하는 "백정” 비슷한 이들이었습니다.

상놈보다 더 못한 취급을 받았던 조선시대 직업군들이죠.

그런데 이 반촌이 형성된 배경이 성균관 유생들에게 고기를 대주기 위해서였다고 하네요.

그 당시 소는 노동력과 직결되기에 함부러 도축을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도살이 가뭄을 초래한다고 믿었다고 하네요.

이 반촌은 “치외법권의 지역”이기도 했습니다.

죄를 짓고 반촌으로 숨어들면 잡을 수 없었다고 하네요.

한번은 영조가 반촌을 뒤져 찾아내라는 명을 내렸는데 성균관에 기식하는 유생들이 요샛말로 하면 스트라이크를 벌였다고 합니다. 그것도 단식투쟁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동원해서요...

이 반인들이 성균관 유생들의 손, 발에 해당했었거든요.

즉 이 반인들에 의해 성균관 유생들이 먹고 살 수 있었던 겁니다.

유교사상의 몰락과 함께 성균관이 몰락하면서 이 반촌도 사라지게 됐다고 하는데 지금 대학로 일대가 조선시대 반촌이었다고 하니 어쩐지 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어쨌든 성균관은 남아 있네요...^^


이 외에도 흥미로운 이야기가 모두 10편 나옵니다.

임꺽정, 홍길동, 장길산 등 조선 3대 의적에 대한 이야기가 우리가 땡추라고 부르는 타락승(사실을 시대에 거부당한 이들이죠)과 함께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과거시험의 패단에 대한 옹골찬 비판도 있고, 타짜를 앞세운 사기도박에 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도박이 성행하게 되는 이유는 시대의 불확실성이 분명 한 몫을 할 겁니다.

조선시대에는 내부적으로는 당쟁이니 당파니 하는 파벌 싸움도 많았고, 외부적으로는 서양 및 일본의 눈초리도 심상치 않았으니 살기가 퍽퍽하긴 했을 겁니다.

이런 시대의 불확실성은 미래의 한방이라는 허황된 꿈을 심어주고 그러다 패가망신하여 가문을 소위 말아먹는 사태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멸문지화는 역적들만이 당하는 일이 아니게 된 거죠.

노름이 나왔으니, 그와 발 맞춰 동일한 속도로 성장해 주시는 음주문화 또한 어찌 이야깃꺼리가 없겠습니까.

주..색...잡기...

솔직히 점잖은 역사책에선 이런 이야기들을 대놓고 말하지도 않고, 어쩐지 이런 이야기를 하면 저급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쟎아요.

어찌 생각하면 우리네 이야기들과 하등 다를 것이 없는 이야기인데도요...


조선의 생활상, 그것도 평민의 생활상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건 거울 앞에 나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참 재미있어요. 이런 책.

계속 읽다 보면, 지금이 마치 조선시대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한 장 한 장 읽을 때면 재미있어 손에서 놓기가 싫어지고, 그러면서 읽다보면 어느 순간 심각하게 그 시대에 빠져 현실을 읽게 됩니다.

심지어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제 자신이 노름판에 뛰어 들어 금주령에 아랑곳 하지 않고 말술을 들이키며 마작에 눈이 벌건 사내같이 느껴진다니까요...(드디어 일심동체의 경지에 도달한 건지... 아님 현실과 환상을 구별하지 못하는 정신적 해리상태에 놓인 건지...)


혹시나,

저 역시도 조선 시대에 살았다면 왈자나 왈패 비슷한 모습으로 살았을지... 
 

그걸 누가 알겠습니까???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