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7. 12. 06:28


연극 <돐날>
연출 : 최용훈
기간 : 2011.06.03.~2011.07.10
장소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2관
출연 : 길해연, 홍성경, 서현철, 김왕근, 김은석,
        황정민, 
정승길, 정세라, 김문식 외.


극단 <작은 신화>가 차단 25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으로 3편의 연극을 대학로에 올리고 있다.
<가정식백만 맛있게 먹기> , <돐날>, <황구도>
<돐날>은 부제가 "돌아버린다" 란다.
"돐날"이라는 사랑스럽고 앙증맞고 행복한 단어 속에 이렇게 비루하고 비참한 일상이 담길 줄은 정말 몰랐다.
그런데 더 비참한 건 이 일상이 지극히 현실적이고 적나라하게 사실적이라 할 말이 없다는 거다.


혁명을 가고 비루한 일상만 남다!
혁명과 변혁의 시대를 살았던 386세대의 자기파괴적인 종말!
8년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 연극 <돐날>은.
서로의 상처를 감싸안는 마지막 장면을 의도적으로 삭제해버렸다.
그런데 아마도 마지막 장면이 예전과 같았다면 난 아마도 이렇게 공감하면서 보진 못했을거다.
최용훈 연출 역시도 말했다.
"재공연을 준비하면서 10년 전 초연 때와 비교해보니 당시 아픔과 좌절이 해결되거나 좋아진게 전혀 없었다. 오히려 더 좌절하고 절망감을 느끼게 됐다"
그는 관객들이 위안을 얻어가지 않길 바랐단다.
그의 의도적은 결말은 아주 적절했고 그리고 절실했다.

 

모든 게 자신만만하고 적개심마저도사랑했던 젊은 시절은 사라지고
사는 게 지겹고 신물나는,
그래서 맨하탄 쌍둥이빌딩처럼 한 방에 무너뜨리고 싶은 삶으로 전락해버린 일상!
마치 그 일상을 비웃든 극악스럽게 웃어대는 사람들.
(돐잔치에 모인 사람들의 괴기스럽기까지하던 웃음소리는 공포로 다가온다.)
폭탄처럼 쏟아지던 빗소리와
어지럽게 흩어지던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
그리고 엄마의 포악과 저주 속에 사생결단처럼 울어대던 아기.
잔칫날의 주인공이여야 할 아이는 마치 갓난아이처럼 강보에 싸여있다.
(부모의 사랑을 받을 수 없었던 아기는 아마도 자라기를 거부한 모양이다.)
"시간이 흐르면 점점 익숙해지는 게 당연한데 왜 사는 건 그렇지 않니?"
정숙이 친구에게 묻는 질문은
우리를 일상의 공포로 몰고간다.
그리고 이 대사는 우리 모두의 독백이자 처절한 고백이다.
후줄근한 삶을 연명해야 하는 우리는,
반미운동하던 사람은 미국이 만든거라 안전하다며 피라이드 주방세제를 팔고
땅투기 아비 덕에 돈푼 꽤나 만진 놈은
인맥형성을 위해 다니는 경영대학원의 학위 논문 대필을 거래한다.
(그 당당함이라니...)
뒷담화와 뒷거래의 찬란한 일상이여~~!
"너 왜 이렇게 됐니?"
그러나 이런 질문을 하는 본인의 삶 역시도 모든 사람의 삶처럼 거짓과 감춤의 삶일 뿐이다.
다른 사람처럼 평범하게 살기를 바라는 소망은
정말 소망에 불과한건가?
몸 속으로 무딘 칼끝을 찔러넣는 인생.
만약 누군가 데려다 줄 수 있다면
엄마 뱃속으로 돌아가 다시는 세상으로 나오고 싶지 않은 그런 인생!
세상 모든 남편들의 일생은 비참하고
세상 모든 아내들은 삶은 또 그만큼 박복하다.
그리하여 삶은 또 다시 언제나처럼 비루하고 비참하다.
내가 세상을 사랑하지 않아서였나?
아니면 세상이 나를 사랑하지 않아서였나?
자기분열의 결말을 지켜보는 관객에게
자기분열의 질문이 남는다.

피투성이 무대와 현란한 비발디의 사계 속에서...

 

8년 만에 재공연된 <돐날>은
길해연, 홍성경, 서현철 등 초연 때 섰던 배우들이 그 역할 그대로 돌아와 무대를 빈틈없이 채웠다.
그리고 배우 정승길.
이 멋진 배우들을 한 무대에서 볼 수 있다는 건 더없는 행운이었다.
비록 비루하고 비참한 삶의 관음이었지만
그 비루함을 채우는 배우들의 열연은 풍요로움 그 이상의 만찬이었다.
뭐라고 명명해야 할까?
이 거침없는 포만감을...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12. 21. 06:33
백만년 만에 다녀온 클래식 음악회.
5~6년 전에 예술의 전당에서 피아노 연주를 듣은 게 마지막 클래식 공연이라
어디까지나 나 때문에 조금 걱정스러웠다.
Anima 라니 여성 맴버들로만 구성됐을텐데
너무 부드럽고 유해서 혹시라도 꿈나라를 여행하지나 않을까 싶어서....



<Program - " Eight Seasons">

A. Viavldi "The Four Seasons"
   -
Concerto No. 1 in E major, Op. 8, ‘Spring’
    - Concerto No. 2 in G minor, Op. 8, ‘Summer’
    - Concerto No. 3 in F major, Op. 8, ‘Autumn’ 
    - Concerto No. 4 in F minor, Op. 8, ‘Winter’


B. Piazzolla "The Four Seasons"

    - Primavera portena (항구의 봄) 
    - Verano porteno (항구의 여름)
    - Otono porteno (항구의 가을)
    - Invierno porteno (항구의 겨울)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비발디와 현대 탱고음악을 대표주자 피아졸라의 사계.
프로그램을 보면서 살짝 가슴이 설랬다.
바이올리니스트 조영미 교수가 제자들과 함께 만든 바이올린 앙상블이라고 한다.
조영미 3남매는 "조트리오"를 만들어서 함께 공연을 하기도 했다.
(피아니스트 조영방, 첼리스트 조영창, 바이올리니스트 조영미)
1부는 신민경, 이승연, 김유리, 최고은의 협연으로 비발디 사계를
2부는 조영미 교수가 메인 바이올린 주자로 나서 아니마 체임버와 피아졸라의 사계를 연주했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곡을 연주할 때는 연주자들도 부담감이 있겠구나 싶다.
아마도 협연자들이 그러지 않았을까?
이미 훌륭한 명반들도 많이 나와 있는 상항이니까...
1부는 기대했던 것보다 조금 미흡한 공연이었지만 (내가 그런 평가나 내릴 주제나 되는진 모르겠지만... ^^;;)
바이올린과 콘트라베이스, 더블베이스로만 구성된 비발디의 사계를 듣는 것도 나쁘진 않았다.
2부 피아졸라는 참 좋았다.
연주자들도 꽤 많았고 악기도 제법 많이 구성돼 풍성한 소리가 느껴졌다.
둔탁하면서 날카롭게 시작된 메인 바이올린 연주는 색다른 탱고의 느낌을 안겼다.
제일 호응이 좋았던 무대는 앵콜 연주 무대.
센스있게 크리스마스 캐롤을 연주했다.
특히나 남자 베이스 연주자 한 분이 자기 체격과 꼭 잘 어울리는 조그마한 벨들(? 무식의 소치다...)을 흔들며
흥을 돋우듯 "헤이~~!"하고 외쳐서 관객들에게 큰 웃음을 선사했다.
 
한동안 너무 뮤지컬과 연극만 눈과 귀에 담았던 것 같다.
어쩌면 1부를 집중하지 못한 게 꼭 연주의 탓만은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째뜬 편식이든, 편애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게 그닥 바람직하지 않은 일인데...
열심히 기회를 만들어서 연극, 뮤지컬을 본 것 처럼
클래식한 무대도 종종 찾아가야 겠다.

처음 가본 세종 체임버홀에서의 연주.
나쁘지 않았다.
아니 그보다 훨씬 더 좋았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