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6. 12. 19:32
어쩌다보니 막공까지 보게 됐다.
보기전까지도 우여곡절이 있었고
토월극장에 도착해서도 우여곡절이 있어서 앞의 10분 정도를 놓치고 말았다.
그것도 1층 자리는 앉아보지도 못하고 2층 구석에서... (ㅠ.ㅠ)
막공과 현충일이라는 날짜가 시너지 효과를 만들었는지
지난번과는 또 다른 공연 분위기라 좀 놀랐다.
특히나 앙상블들의 눈빛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비장감과 사명감이 묘하게 뒤섞인 눈빛.
(근데 그 모습이 참 이쁘더라)

 


2층 좌측 구석 자리이긴 했지만
무대와 조명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서 좋았다.
단지 스크린은 시야장애가 많이 있어서 아쉬웠다.
고종황제(강신일)가 눈물 흘리는 장면은 그래도 잘 보이는데
이토히로부미(송영창)는 완벽하게 가려저서 아예 보이지 않고 
마지막 부분의 안중근 얼굴이 클로즈업 되듯 보이는 부분도 무대 셋트에 가려져 아쉽다.
역시나 단지동맹 부분은 가슴을 찡하게 만들고
스크린에 비치는 손가락과 이름들 위로 굵게 떨어지며 퍼지는 핏방울의 모습은 숙연함 이상이었다.
이 부분에서 관객들이 자발적으로 치던 뜨거운 박수도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일종의 집단최면 상태 같았다)
송일국의 발성이 여전히 아쉽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래도 잘 만들어진 작품임에는 이견이 없다.


한때는 첫공과 막공을 열심히 찾아서 보던 때도 있었다.
(지금은 기력이 딸려서... ^^)
굳이 막공을 찾아서 보겟다 작정하고 본 건 아니지만
오랫만에 본 막공은 애뜻한 심정을 갖게 한다.
그리고 역시나 막공의 묘미는 마지막 커튼콜이 주는 미묘한 여운에 있다.
이날도 윤석화 연출까지 무대에 나와 그간의 감회를 간략하게 이야기하더라.
(참 오랫만에 본 윤석화의 모습이다.)
어쩐지 연출이 아니라 배우로서의 무대를 그리워하는 것 같아 좀 짠한 느낌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우여곡절 끝의 관람이긴 했지만
역시나 좋은 작품은 좋은 느낌을 남기는 것 같다.
나는 이 연극이 진화라는 말보다 진하고 깊게 성숙하는 그런 작품으로 발전하길 바란다.
어쩌면 오래오래 두고 보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다.
나도 역시나 한국 사람이니까...
그리고 나도 역시나 옛사람들에게 두고두고 갚아야 할 빚이 있으니까...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1. 5. 29. 17:21


2010년 작년이 안중근 서거 100주년 되는 해였다.
기념적인 의미였는지 어떤 나름대로의 사명감이었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어쨌든 2009년부터 안중근 의거와 관련된 괜찮은 작품들이 많이 창작됐다.
뮤지컬 <영웅>과 연극 <나는 너다>가 바로 그 대표적인 작품들.
특히 이 작품 <나는 너다>는 월간 객석이 제작을, 한동안 학력위조로 세간의 비난을 받았던 윤석화가 연출로 복귀하는 작품이라 이목을 끌기도 했다.
거기다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의 후손 송일국의 첫 연극무대 도전이기도 했고...
생애 첫 연극데뷔인 송일국은 극 중에서 안중근과 그의 아들 안중생 1인 2역을 감당해야하는 막중한 역할을 맡았다.
초연에 출연했던 연극계의 대모 박정자가 조마리아역을, 그리고 뮤지컬과 연극에서 그야말로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는  배해선이 초연에 이어 안중근의 아내 역으로 나온다.
그러니까 송일국이 무대 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주느냐에 따라 이 작품의 성패가 달라진다고 하겠다.
(어깨 참 무겁겠다)

연극 <나는 너다>
예술의 전당 명품연극 시리즈 그 두번째 작품으로 선정돼 다시 토월극장에 올려진 작품.
예술의 전당 명품연극 시리즈(솔직히 이 타이틀! 참 맘에 안 든다...)는,
작품성과 대중성을 갖춘 연극을 선정해 더욱 밀도있는 공연으로 업그레이드해 선보인다는 기획의도를 가지고 있다.
뭐 작년에 이 작품을 보지 않아서 얼마나 업그레이드됐는지 개인적으로 알 길은 없지만...

영웅은 어떤 모습이여야 하는가?
영웅의 아들도 영웅이이어야 하는가?


연극은 질문을 던지고 또 남긴다.
호부견자(虎夫犬子)
호랑이같은 아비, 개같은 자식
동양평화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친 민족의 영웅 안중근.
그 아비의 둘째 아들이었지만 매국노로 낙인 찍혀 비참하게 일생을 마친 아들 안중생!
연극은 이승도 저승도 아닌 곳에서 아들 안중근이 끝없이 헤매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몽환적인 안개와 황량하고 차가운 바람이 부는 곳.
영웅 안중근의 아들은 왜 그곳에 버려져 방황하고 있는가!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의 둘째 아들 안준생.
사람들은 그가 아비가 저격한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에게 굴욕적으로 절을 했다며
친일파ㆍ변절자라 욕하고 몰아세운다.
일본군에게 독이 묻은 과자를 받아온 사람도 그이고
그 과자를 형에게 먼저 줘서 피를 토하며 죽게 만든 이도 그라고 손가락질한다.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입에서 반복되는 단어는 오직 하나, 치욕!
아들 안중생은 절망과 두려움, 절규 속에서 묻는다.
"나라가 망했으면 망한 대로 살지... 왜 집안을 망치고 자식을 망칩니까?
 대체 당신은 누구십니까?"

아들의 오래고 거친 절규에 아비는 드디어 답을 한다.
"나는 너다! 
 바로 너다!"


공연장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건
품 안에 뭔가를 숨기고 있는 스크린 속 안중근의 모습이다.
암전이 되면 스크린 속의 안중근은  불시에 몸을 움직여 품에서 브라운 권총을 꺼내든다.
"대한독립 만세!"와 함께 들리는 7발의 총성.
(시작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연극은 영웅 안중근의 삶에 춧점이 맞춰지기보다는 
안중근의 죽음을 통해 겪게되는 가족들의 삶에 촛점이 맞춰진다.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후
그의 가족들은 혹독한 심문을 받는다.
어머니 조마리아는 아들에게 말한다.
항소하지 말고 의연하게 죽음을 선택하라고...
아들이 죽은 후 어머니는 홀로 괴로워하고 그것은 어쩔 수 없는 모성에 괴로움이다.
아들이 사실은 항소하하고 말해주길 바란 건 아니었을까?
어미의 욕심이 그런 아들을 죽음으로 내몬건 아닐까?
연극이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은 
깊고 그리고 안타깝다.

송일국의 연기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다.
아니 꽤 괜찮았다.
너무 비장미가 풍겼다는 걸 제외하면...
몰입을 너무 깊게 하고 있다는 게 오히려 단점처럼 느껴졌다.
동작과 표정이 조금 부자연스럽다.
결국은 안중근이 안중생과 다르지 않고
안중생이 안중근과 다르지 않다 말하면서
그 융합과 포용이 잘 표현되지는 못한 것 같다.
둘의 연결성을 찾지 못한 것 같아 조금은 아쉬웠다.
스크린으로만 등장하는 고종황제 강신일과 이토 히로부미 송영창의 연기는
극 속에서 꽤 깊이감을 준다.
특히나 "영웅은 어디 있는가!" 절규하는 고종의 눈물은
깊은 울림과 함께 절망과 회한을 안긴다.
(역시 강신일씨 연기 잘한다)
가슴을 찡하게 하는 감정적인 부분도 많고
시간을 되돌아보며 성찰하게 만드는 부분도 적절히 잘 구성된 것 같다.
스크린을 이용한 무대도 과하지 않고 적당했고
주,조연 이외의 배우들 모습도 감동적이었다.
특히나 배우 한명구의 딕션과 발성은 귀에 그대로 꽃힌다.
(얼마전에 이해랑 연극상을 수상하기도 한 명배우 ^^)


단점을 꼽으라면,
이승과 저승의 중간쯤 되는 곳을 표현한 무대와 의상 정도!
(거의 넝마주의 수준이었다. 꼭 이렇게 표현해야 했을까?)
의도는 충분히 알겠는데 표현이 너무 지저분했다.
(지저분하다고 표현할 수밖에 없어서 나 역시도 참... 막막하다)
그래도 전체적으론 꽤 완성도 있는 작품이다.
놀라울 정도로 색다른 시도였고 참신한 해석이었다. 
좋은 연극으로 발전해서
오래오래 무대 위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이 되길 진심으로 바래본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