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0. 9. 20. 06:37

작가 김주영(71)이 올해로 등단 40년을 맞았다,
칠순을 넘긴 노작가는 그러나 여전히 왕성하다.
<멸치> 이후 8년만에 새롭게 쓴 장편소설 <빈집>을 보며
허랑한 바람앞에 서있는 인간이 다시 떠올랐다.
왠지 허깨비같은 사람들.
장터같은 너저분한 마당에는 그러나 치열한 삶의 기운같은 것이 느껴진다.
한 편으론 바짝 마른 나뭇잎 한 장을 손에 들고 있는 것 같다.
조금만 힘을 줘도 그대로 부서져 버릴 것 같아 들고 있는 두 손은 점점 난감해진다.
"...... 내 안에 터질 듯이 더부룩한 탐욕이 있다. 그것이 나를 천성적인 거짓말쟁이로 만들었다..... 내 일생이 소멸될 때까지 이 탐욕과 껴안고 엎치락뒤치락하는 가늠은 계속될 것 같다."
<객주>, <활빈도>, <천둥소리>,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화척>, <홍어>, <멸치>, <아라리 난장>
숱한 장편을 쏟아낸 작가에게 아직 겨안고 엎치락뒤차락할 탐욕이 많다는 것은
순전한 독자에겐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의 글을 읽는 건,
펄떡이는 날 것을 바라보는 비릿한 생동감이다.
<빈집>의 처음 장면인 털게의 탈출처럼...
...... 바다를 떠난 지가 도대체 얼마나 되었을가. 기력도 소진되었을 뿐만 아니라, 몰골조차 쪼그라든 게들이 물사레에 떠밀리며 마지못해 수족관 속을 떠다니고 있었다......
그의 글은 고요하게 기습적이다. 
내리쬐는 탱볕 속에 딱 한 방울의 물방울이 이제 막 바짝 마른 흙바닥으로 떨어지려는 중이다.



1998년 발표한 전작 <홍어>에서는 아버지가,
2002년 발표한 <멸치>에서는 어머니가 집을 비웠다.
급기야 <빈집>에서는 도박판을 쫒아 집을 비운 아버지를 찾으러 어머니마저 수시로 집을 비운다.
가족이지만 모여살지 못하는 사람들.
그러나 그 부재는 다름 아닌 가족의 누군가를 찾아나서기 위한,
혹은 가족을 지켜내기 위한 부재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정말 가족은 울타리 안에 곱게 지켜졌던가?
책을 읽는 눈길이 가파르고 숨차다.
놀음판의 타짜, 그래서 늘 집을 비우는 아버지,
그 스트레스로 딸을 구박하다가 본인도 집을 나가는 재취 어머니,
빈집에 홀로 남은 어린 딸 어진.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영원한 가출은 결국 어진이 홀로 지키던 빈집마저 내주게 만든다.
쫓기듯 한 결혼생활.
벌레 취급하듯 자신의 존재를 혐오하는 남편과 시어머니를 피해 외딴집을 도망친 어진은
그 옛날 아버지가 오동나무에 묻어둔 주소지를 찾아 이복언니 수진에게로 간다.
비곗덩어리 안성댁(수진)과 거식증으로 비쩍 마른 검불데기 절름발이 어진.
둘은 아마도 첫눈에 두 사람이 자매간인걸 알아봤으리라.
알면서도 서로 모른척하며 아무렇지 않게 언니, 동생하고 불러대며 말을 섞었으리라.
서로의 근본을 뻔히 알면서
한껏 다정한 이복자매의 모습은
가족의 부재만큼이나 아득하고 안스럽다.
빈집을 빠져나와 또 다시 빈집으로 건너가는 여정들...
그게 삶이었던가?



......내가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것은 아버지로부터 비롯된 어머니의 상처였다. 그래서 어머니와 나의 관계는 감정과 혼란의 파괴로 이루어진 최악의 결합이라고 말할 수 있었다. 겉치레뿐인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모든 것이 가능했고 모든 것이 정당화되면서, 결국은 모든 것이 괴멸되어버린 결과를 낳았다......
백수진, 백어진.
두 자매의 어머니는 평생을 서로 숨바꼭질을 하며 지냈다.
한쪽이 한쪽을 피해 도망치면 며칠 안에 어떻게든 귀신같이 알아내고 찾아오는 여자.
그럴수도 있겠구나.
그런 숨바꼭질 속에서 위로를 받을 수도 있었겠구나.
결국 책을 읽고 있는 나까지도 그 관계 속에 위로받고 있다.
.... 엄마는 죽기 몇 년 전까지 줄곧 그 여자하고 술래잡기를 한 거야. 엄마가 사고무친한 객지를 떠돌면서 살았지만, 무엇하나 엄마를 흥분시키는 일이 있었겠어? .... 그 여자하고 숨바꼭질하는 흥분도 없었다면, 우리 엄마 살맛이 없었을 거야. 우리 엄마 행복했던 때가 있었다면 그 여자한테 쫒겨다니면서 이사하고 살았을 때야. 이번에는 그 여자가 며칠 만에 집을 찾아낼까 긴장하면서 기다렸겠지. 나도 그 속내를 엄마 죽은 다음에야 깨달았지. 그 숨바꼭질이 그나마 폐병 앓앗던 우리 엄마를 예순 살까지 살 수 있도록 생명을 연장시켜준거야.....
......엄마가 참고 또 참았던 건 외로웠기 때문이야. 그런데 외로움을 타고 있기는 그 여자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을 엄마는 하고 있었던 거야.... 미친년처럼 남편을 찾아 안가는 곳이 없었을 만큼 설레발치고 나섰던 그 여자도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처럼 외로웠다는 것을 엄마는 알고 있었던 거지.
이 세상에 나 빼놓고 엄마에게 말을 걸어주는 사람은 그 여자 딱 한 사람뿐이었다면 이해가 돼?......

나는 대답한다.
그래, 이제 이해할 수 있노라고.
모든 것을 놓듯 떠난 이복자매 두 사람만의 여행길.
수진은 방파제 앞에 푸른 재킷을 벗어놓고 사라졌다.
어진은 생각한다.
...... 방파제 앞에 끝간데없이 펼쳐진 곳을 바다로 생각했다면, 신발을 벗어놓았을 텐데, 태양이 작열하는 뜨거운 사막으로 알았기에 껴입고 다녔던 재킷을 벗어놓고 떠난 것이었다. 이제 사막으로 떠난 수진이 언니처럼 바다 끝에 서 있는 나 어진이 역시 온전히 혼자가 된 것이다......

파도같은 설움이 울컥 밀려온다.
사막의 냄새가 이럴까?
비릿하고 짭조름하다.
산다는 건,
늘 듬성듬성한 빈집으로 겅중겅중 뛰는 뜀뛰기같다.
손끝으로 푸른 사막의 비릿내가 진동한다.
어진이는 아마도 또 어딘가 빈집 속에서 오동나무 둥지같은 똬리를 들게 될지도 모르겠다.
이제야 온 가족이 모이려나...
아득한 먼 길.
굽이굽이 돌아 이제 다시 모이려나...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8. 10. 06:29
"연극열전3"이 준비한 일곱 번째 작품 <트라이앵글>
그런데 이번에는 연극이 아니라 뮤지컬이다.
연극열전에서 <판타스틱스> 이후로 두 번째 선택한 팝뮤지컬 <트라이앵글>
원작은 <피아노 숲>으로 유명한 일본 작가 호라이 류타의 작품이고
연출은 그동안 연극열전의 대표로 숨어있던(?) 홍기유의 첫 연출 데뷔작이다.
(요즘은 제작자나 대표가 연출을 직접 하는 게 붐인가 싶기도 하다...)
아무튼 새로운 시도가 여러 가지인 작품.



2명의 남자와 1명의 여자,
3명(트라이앵클 ^^)이 만들어내는 우습고도 황당한 동거 이야기.
뮤지컬과 연극에서 이미 탄탄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최재웅이
유명작가의 아들로(여기선 그 유명한 "김훈"이 아버지로 나온다.. 식칼의 노래.. ^^) 작가 지망생 도연 역을,
요즘 열심히 달리고 있는 김승대가 가수지망생 락커 경민역으로
그리고 연기와 노래를 꽤 잘 하는 안유진이 경민을 향해 일편단심(?)으로 숨바꼭질을 하는 영이로 등장한다.



공연 자체는...음...
순전히 내가 너무 늙어버린(?) 탓이겠지만 그닥 재미있지는 않았다.
아마도 20대 초반을 겨냥한 작품인 것 같은데 그 나이라면 그냥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내겐 어느정도 비극적인 작품이라 하겠다...ㅠㅠ)
일본 원작이라 그런지 내게는 공감되는 부분은 덜하고 이야기 자체도 너무 가볍게 느껴진다.
스토리가 강하거나 임팩트 있는 사건이 등장하는 게 아니라
그때 그때 만들어지는 소품같은 상황을 즐기는 가벼운 터치 드라마라고나 할까?
이야기도 그렇고 작품에 나오는 뮤지컬 넘버들도 그렇고
일종의 짜집기 형식이다.
그리고 그걸 당당히 표방하고 있어 어느 정도 귀엽기까지 하다.
"Video killed and radio star" 나 "My Sahrona" 같은
70, 80년대에 유행했던 귀에 익은 팝송들과
이기찬, 신성우가 소위 잘나가던 시절 불렀던 히트곡이 뮤지컬 넘버에 포함되어 있다.
(일본 원작이지만 뮤지컬 넘버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었던 모양이다.
 원미솔 음악감독이 그래도 곡 선택을 적절하게 잘 한 것 같다)
팝뮤지컬을 표방한다는 기사를 읽었었는데
그러기에는 너무 짱짱한 팝뮤지컬이 기존에 많이 나와 있어서 솔직히 험난해 보인다.
가령, 아바의 노래로 만든 세대를 초월한 <맘마미아>,
엘비스 프레슬리 곡으로 만든 <올슉업>
퀸의 노래로 만든 <위윌락유> 등.
굳이 차이점을 찾자면 있기는 하다.
(잘 하면 이게 강점이 될 수도 있고)
<트라이앵글>은 소극장 팝뮤지컬이라는거 (^^)

  도연 : 최재웅
  경민 : 김승대
 영이 : 안유진

공연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더라.
만약 이 공연에 최재웅이 빠진다면?
아마도 최재웅이라는 배우에 의해 균형감과 생기를 얻는 부분들이 너무 많아서 그러리라.
3명이 나오는데 때때로 원맨쇼 같이 느껴진다.
최재웅 입장에서는 본인의 능청스런 모습을 맘껏 발휘할 수 잇는 기회가 됐겠지만
함께 하는 배우들의 내공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건 좀 안스러운 일이다.
안유진은 그래도 자기 역할을 잘 소화하고
여배우로서 꺼리낌없이 망가지는 모습을 잘 보여줘서 괜찮았는데
조금 발란스가 안 맞는 건 역시 경민 역의 김승대.
아무래도 락커의 역할은 그에겐 무리수가 따르지 않았나 싶다.
신성우의 "꿈이라는 건"이라는 노래를
발라드도 아닌 뽕짝도 아닌 락도 아닌 묘한 버전으로 불러서 사실 많이 놀랐다.
꽤나 비중있는 곡이었는데...



개인적으로 이 작품이 더 대놓고 짜집기를 추구했다면 훨씬 재미있지 않았을까 싶다.
꼭 뮤지컬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드라마의 유명한 장면들을 흐름에 맞게 배치했으면 어땠을지...
(어디까지나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코믹물이긴 한데 웃음코드가 좀 약한 것 같다.
이날만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최재웅이라는 배우에 의해서만 그 웃음코드가 살아나기 때문에 주변 배우들이 좀 뻘쭘해지는 것 같다.
그런데 다들 무지 열심히 한다는 거!
그건 정말 알아줘야 할 것 같다.
 
 


개인적으론 배우 최재웅은 <쓰릴미> 같은 극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
뭐 도연 역도 나쁘진 않았지만. ^^
특히 표정이 살아있어서 유쾌했다.
코믹물의 절반은 아무래도 표정인 것 같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