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2. 6. 18. 08:32

<그을린사랑>

 

일시 : 2012.06.05. ~ 2012.07.01.

장소 : 명동예술극장

원작 : 와즈디 무아와드

연출 : 김동현

대본, 드라마투르기 : 배삼식

작곡, 음악감독 : 정재일

출연 : 이연규, 배해선, 남명렬, 백익남, 이윤재, 박성연, 김주완

        전박찬, 이진희, 이다아야.

 

이 연극을 대해 과연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연극이 아니라 고통스런 역사이고, 처참한 고발의 르포이자 그리고 처절하고 사실적인 다큐다.

너무나 잔인하고 끔찍한 작품이다.

그러나 동시에 너무나 고귀하고 장엄하고 웅장해서 황홀했다.

연극을 보고 한동안 복기(復記)조차 엄두도 못 낼 만큼 황폐하고 황량했다.

그래, 나는 이 연극에 완벽히 압도당했고 그래서 결국 오래 침묵했다.

나는 나왈의 침묵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노라 감히 말하련다.

무대에 우뚝 솟은 몇 개의 구조물을 보면서 나는 아주 오래전 역사를 기록해 우뚝 세워논 오벨리스크를 떠올렸다.

그들만의 언어로 기록되었기에 선택된 소수의 사람에 의해서만 온전히 해독할 수 있는 묵시록적 언어.

그건 일종의 금기이자 경고이기도 하다.

"우리 함께 있으니 모든 게 나아질거야"

5년 동안 긴 침묵으로 일관했던 나왈의 죽기 전 내 뱉은 문장.

이 문장이 화인(火印)이 되어 작품의 모든 여정은 시작된다.

시간을 되밟는 여정,

과거를 추적하는 여정,

그리고 결국 너무나 끔직하지만 결코 부정할 수 없는 나의  기원,

나의 태(胎)을 찾아가는 여정.

 

나왈의 유언장이 쌍둥이 남매 시몽과 잔느에게 공개되는 날,

유언집행인은 남매에게 두 장의 편지와 함께 다음과 같은 유언을 전했다.

잔느에게는 너희들의 아버지를 찾아 편지를 전할 것을,

시몽에게는 너희들의 형을 찾아 나머지 편지를 전할 것을.

그 두 장의 편지가 아버지와 형이 읽게되면 또 다른 한 장의 편지가 공개될거라는 단서와 함께...

단 한 번도 어미로써 사랑을 표현하지 않았던 어머니가 남긴 유언을 들은 남매는 혼돈에 빠진다.

지금껏 죽은 걸로 알고 있었던 아버지와

그리고 존재 자체도 몰랐던 형을 찾으라는 유언.

 

여자는 자식을 위해, 가족을 위해

기꺼이 전사(戰士)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가족의 역사가,

그 가족의 기원이 깊고 완강한 침묵이 될 수밖에 없다면?

남겨진 사람은 이제 선택을 해야한다.

금기를 깨부수고 침묵에 정면으로 소리를 치든지

아니면 더 깊고 오랜 침묵 속으로 숨어버리든지...

 

두 장의 편지는 남매에 의해 그들의 아비와 그들의 형에게 전달된다.

두 사람은 기원을 찾는 방정식을 풀었다.

1+1=2가 아닐 수 있다는 수학의 명제.

너무나 뻔한 명제가 뒤집힌 것처럼 충격적이고 잔인한 진실과 그들 모두는 대면중이다.

그들의 아비가 바로 그들의 형(오빠)이고, 

그들의 형(오빠)이 바로 그들의 아비라는 진실.

이 모든 게 과장이라고, 단지 꾸며낸 이야기일 뿐이라고 말하지 말자.

명예살인과 부계중심의 가부장적 사회. 같은 나라라도 부족간의 생사를 거는 싸움이 난무하는 곳.

그곳에서 지금 일어나는 있는 일들은 이 사건보다 더 충격적이고 극악무도하다.

우리는 이 재앙을 무엇으로 극복할 수 있을까?

이 금기를 무엇으로 깨부술 수 있을까? 

나왈은 근원적인 "사랑(모성)"에 모든 것을 놓아버렸다.

"사랑이 있는 곳에 증오는 있을 수 없다!"

비록 태를 끊는 순간 바로 난민촌으로 보내졌던 아이였지만 아기를 처음 품에 안았을 때 나왈은 맹세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나는 널 언제나 사랑할거야!"

애타게 아들을 찾아다닌 나왈.

25년이 훌쩍 지나 드디어 두 사람은 재회하게 된다.

그러나 잔인하게도 그 둘은 서로의 태(胎)를, 서로의 근원을 알아볼 수 없었다.

포로로 잡힌 어미 나왈은 고문기술자로 불리는 자신의 아들에게 강간당한다.

그 후에 태어난 쌍둥이 아이...

 

이다아야. 배해선, 이연규가 연기한 나왈은

처음엔 순수했고, 나중엔 강인했고, 그리고 마지막엔 비장하고 웅장했다.

특히 이연규 나왈의 법정 장면과 편지 장면은 너무나 압도적이라 보는 내내 너무 비참했다.

한 문장 한 문장이 끝날 때마다 누군가 숨통을 조이는 느낌이었다.

이러다 죽는 거 아닌가 극도의 공포심까지 느꼈다.

참담함. 참담함. 참담함.

그러나 드디어 개봉된 마지막 편지.

나왈은 쌍둥이 남매의 아비이자 자신의 아들에게 말한다.

"넌 사랑으로 태어났다. 그러니 네 동생들도 역시 사랑으로 태어났다 .... 사랑이 있는 곳에 증오는 있을 수 없다"

용서와 이해는,

너무나 구체적이고 선명하고 잔인하다.

그러나 여기에 누가 감히 정의를 운운하며 비난의 말을 퍼부을 수 있을까?

(정의는 개나 물어가게 놔두라지!)

누구라도 그럴 순 없다!

이건 비극이 아니라 엄연한 현실이니까.

 

작품 전체를 관통하던 현과 건반을 읽으며 여러 번 감탄했다.

(음악감독 정재일에게도 깊은 찬사를...)

격정적이고 비장한 현의 울림.

땔로는 밝은 종소리로, 때로는 웅장함으로 극의 간극을 채웠던 건반의 떨림.

전쟁의 참상을 떠올리게 하는 아득한 포탄소리.

귀기(鬼氣)가 느껴지갸ㅔ 섬득하면서도 아름다웠던 구음(口音)들.

손가락 사이사이로 스르르 떨어지던 모래와 그 모래를 적시던 물.

거대한 구조물에 투영된 의미 심장한 영상들.

보도 듣는 모든 것이 다 하나의 의미였고, 하나의 진언이었고, 하나의 진혼곡이었다.

보고난 후 오래 아팠고 힘들었다.

나는 내가 본 이 모든 것들을,

어떻게 해서든 제대로 기록해낼 수 없을테다. 결코!

 

* 10명의 배우 모두에게 한 순간도 경의를 표하지 않은 때가 없었다.

   그 순간만큼은 이 세상에서 그들이 가장 아름답고 위대했다.

   그러니 공연이 끝날 때까지 무슨 일이 있어도 모두 강건하시길...

Posted by Book끄-Book끄
여행후 끄적끄적2011. 9. 16. 06:29
아야소피아 박물관 맞은편에 있는 터키를 대표하는 이슬람 사원 술탄 아흐메트 1세 자미.
"자미(Camii)"는 터키에로 "꿇어 엎드려 경배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터키 자미는 둥근 천장의 돔과 미나레라고 부르는 뽀족한 첨탑이 있는 게 특징이다.
술탄 아흐메트 1세 자미도 하나의 대형돔, 4개의 중간 돔, 30여 개의 작은 돔을 가지고 있다.
6개의 미나레에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데
술탄이 황금(알툰 Altun)으로 지어달라고 명령한 걸
숫자 6 (알트 Altu)로 잘못 알아들어서 지금과 같은 6개의 미나레가 만들어 졌단다.
(예나 지금이나 잘못 알아듣는 사람 꼭 있다!)
지금도 하루에 5번 있는 기도 시간인 "아잔(adhan)"에는 여행객이 입장할 수 없을만큼 신성시되는 곳이다.

 


자미 안에는 260개가 넘는 작은 창이 있고
그 창의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빛이 들어오는 모습이 장관이라는데 확인할 수 없었다.
아야소피아에 너무 오래 머무르라고 개방시간을 지나버려서 내부를 보지 못했다.
다시 와서 봐야지 했는데 숙소 가까이 있는데도 그러지 못했다.
너무 볼 것이 많아서 미루다가 그만...
(이 모습을 보기 위해서라도 다시 터키를 가봐야 할 것 같다 ^^)
만벨이라 불리는 설교단에는 섬세한 조각이 새겨져 있다는데 이것 역시도 못보고 말았다.
설교단의 가장 높은 곳은 마하마드의 장소라 설교하는 사람도 계단의 중간 정도까지밖에 올라가지 못한단다.
그만큼 신성한 공간이라는 의미.
"블루 모스크(Blue Mosque)"라는 애칭이 있는데
자미 내벽에 파란색 타일이 사용되서란다.




자미 바로 옆에는 자미의 주인인 술탄 아흐메트 1세와 그 가족들의 묘도 있다.
역시 겉모습만 봤지만 규모가 상당하고 웅장해보였다.
(하긴 30여명의 묘가 있는 곳이니 작을 순 없겠다)
자미 앞에는 성소피아 성당과 마주보는 넓은 정원이 있는데
시원한 분수가 햇빛 속에서 보석같은 물줄기를 뿜고 있었다.
자미 안의 광장에도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곳 역시도 시민들과 여행객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비잔틴시대에 전차 경주가 벌어진 경기장이었다는 히포드롬(At Meydani)은 
현재 3개의 오벨리스크가 서있는 기다란 광장으로 변해있다.
세 개의 오벨리스크 중에서
하나만 완전한 형체를 갗추고 있고
가운데 있는 세 마리의 뱀 기둥은 파손이 심했다.
나머지 하나도 보수중인지 가림막에 가려져있어 정확한 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다..
가운데 있는 뱀기둥에서 떨어져 나간  뱀머리 하나가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해서 찾아가서 봤다.
(하나는 영국 대영제국 박불관에 소장돼 있다고 하고...)
정말 물어서 물어서 몇 번을 헤매다 구석에 있는 청동 뱀머리를 봤다.
막상 찾아서 보고나니 왠지 허탈해졌다.
덕분에 그림으로였지만 세 개의 오벨리스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광장의 동쪽 끝에는독일 황제가 선물했다는 카이저 빌헬름 샘(Kaiser Wilhelm Fountain)이 있다.
지금도 수도꼭지에는 물이 나온다는데 소심한 여행객은 도촬하듯 사진만 몇 장 담았다.
특히 밤에 달빛 아래서 보는 카이저 빌헬름 샘은 참 예뻐서 오래 서서 쳐다봤다.

본 것도 많고, 그때그때마다 느낀 것들도 많은데
이 많은 단상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담을지 막막하다.
그저 이렇게 주저리주저리 읖조릴밖에...
그래도 수다는 좀 줄어야할 것 같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9. 1. 06:32

지난 토요일에 다녀왔다.
초대권이 있어서 마감 하루 전에 부랴부랴 찾아갔다.
비가 많이 와서 오후 내내 망설이다 수, 토요일에는 9시까지 관람시간이 연장된다는 소식을 듣고 서둘러 찾았다.
(야간 관람은 입장료가 50% 할인이라는 것도 알게 됐다. 굿~)
로뎅전도 하루 이틀 미루다가 결국은 놓쳐버리고...

대영박물관은 1753년 설립되어 4년 뒤인 1759년에 대중에게 공계된 세계 최초의 국립 공공 박물관이란다.
800만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고
주요 전시품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조각작품들과
이집트의 고고학 자료들이다.
2000년 11월에는 "한국관"이 신설되어
구석기 유물부터 청자, 백자 등 조선 후기 미술품 250 점이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이번 기획전시는 대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그리스 유물 중에서
핵심되는 작품 136 점을 선별해서 전시했다.
(참고로 대영박물관은 세계 3대 박물관 중 한 곳이란다)
비가 오고 그리고 시간도 제법 늦었는데도 관람객이 꽤 많았다.
아마도 방학숙제 때문이기도 했겠지만
아이들 손을 잡고 온 엄마 아빠들의 모습이 아무래도 눈에 많이 띈다.
커다란 조각상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어서
아이들도 신기해하며 바라보는 모습이 사랑스럽다.
나 역시도 초등학교때 박물관을 열심히 찾아다녔었는데......
꼭 숙제때문은 아니었지만 그냥 박물관 안에 있는 게 참 좋았다.
어린 나이였지만 네다섯시간은 거뜬없이 박물관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이번 전시는 <그리스 신과 인간>이라는 제목으로
전부 4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 신, 영웅 그리고 아웃사이더
Ⅱ 인간의 모습
Ⅲ 올림피아의 운동경기
Ⅳ 그리스인의 삶



                  <제우스 청동상>                                    <아프로디테>

                <헤라의 대리석 두상>                            <헤라클레스 대리석 두상>

특히 대리석 조각들이 많았는데
기원전 작품들도 여럿이었다.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대리석의 질감이나 빚깔이 너무 예뻐서
한참을 넋을 놓고 쳐다봤다.
보존이 잘 됐는지, 아니면 복원을 잘 한건지는 모르겠지만
교과서나 도록에서만 봤던 제우스와 헤라, 헤라클레스 등을 실제로 보니 짜릿한 느낌마저도 든다.


섹션 3에 전시되어 있던 메인 작품 "원반 던지는 사람"은 전시 공간 자체 구성도 너무나 흥미롭고 아름다웠다.
뒤의 스크린으로는 작품을 천천히 클로즈업 시키면서 세세히 보여주고,
그 앞으로 작품을 배치했다
검정색 대리석 느낌의 바닥 기단에서도 작품이 비쳐보이고...
고개를 들면 또 다시 전시실 유리벽에 반사되는 원반 던지는 사람을 볼 수 있다.
처음에는 얼굴이 뒤를 향하는 모습이었는데
복원하는 과정에서 지금처럼 앞의 땅을 바라보는 모습이 됐다고 한다.
원래의 모습을 상상하는 재미도 특별했다.
"원반 던지는 사람"은 1948년 런던올림픽 포스터 메인 이미지로 쓰일 만큼 영국의 대영박물관이 자랑하는 최고의 걸작이라는데 작품 앞에 서면 그 아우라가 직접 느껴진다.
역동적이면서도 친밀감 가득한 몸동작.
과거의 그리스인들에겐 신비감에 가까운 탁월한 예술감각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아름다움이란 시간 속에 완숙되는구나 하는 생각도 잠시 하게 된다.


작품 자체를 돋보이게 만든 전시 공간이라
누구 손에 의해서 이렇게 꾸며졌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원반 던지는 사람"만큼 마음을 잡았던 작품은 "스핑크스"
특히나 대리석 색감이 너무 예뼈서 나오기 전에 다시 한 번 찾아가서 살펴봤다.
손톱과 발톰, 날개와 꼬리까지도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어서
마치 살아있는 동물을 보고 있는 느낌이다.
귀염성있고 충성심 가득한 반려동물 같다고 할까?



헤라클레스 일화와 그리스 신화들이 그려져있는
적회식 토기와 흑회식 토기들.
"추상적인 신체"라는 제목을 달고 있던 작품도 기억에 남는다.
키클라데스 섬의 여성상 조각으로 기원전 2,600년에서 2,400년 전 작품이라는데
현대 추상작품이라고 해서 손색이 없을 만큼 참신하고 아름답다.
남성 누드 쿠로스 조각상과 여성 누드 코레 조각상들은
인체의 굴곡과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시간적인 여유가 좀 많았다면
찬찬히 둘러볼 수 있었을텐데
마음의 여유없이 관람한 게 지금도 아쉽다.
(그래도 놓치지 않고 볼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다...)



들어갔을 때는 하늘이 제법 푸른 빛이었는데
관람하고 나오니 어느새 어둡게 변해 있었다.
두런두런 계단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의 모습도 다정하고
한계단 한계단 걸어 올라가는 발걸음도 다정하다.

오랜 시간을 지나 눈 앞에서 실제로 보는 그리스 로마 유물은
신성스럽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안타까운 마음도 들게 한다.
이 모든 유물들이 대영박물관 소장품이라니 어쩐지 씁쓸하다.
제 나라를 잃고 강탈된 수많은 문화재들은
언제쯤 자기 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
아무런 보상이나 조건없이 모든 유물들이 다 자기 나라로 반환된다면 좋겠다.
역시나 꿈같은 희망인가?
우리도 혹시 문 앞에 오벨리스크를 세워놓고 즐거워하고 있는 건 아니지 생각해볼 일이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