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3. 10. 5. 16:07

<광부화가들>

일시 : 2013.09.13. ~ 2013.10.13.

장소 : 명동예술극장

극작 : 리 홀 (Lee Hall)

번역, 연출 : 이상우

출연 : 강신일(올리버), 김승욱(조지), 김중기(라이언), 민복기(해리),    

        채국희(헬렌), 송재룡 (지미), 이원호, 권진란, 김용현

제작 : 명동예술극장

 

2010년 명동예술극장에 올려졌을때 꼭 봐야지 하면서 놓쳐버린 작품이다.

다시 올려지길 기다리고 있었는데 고맙게도 더 매력적인 캐스팅으로 돌아왔다.

강신일 한 명 만으로도 망설일 이유가 전혀 없는 그런 작품.

연극 <레드>에 이어 두번째 화가 역할.

개인적으로 강신일의 대사톤을 너무나 좋아한다.

조근조근하면서 사람을 단번에 사로잡아 극 속으로 빨려들게 만드는 목소리.

그래서 강신일이 출연하는 연극은 꼭 놓치지 않고 보는 편이다.

그가 연말에 다시 <레드>의 마크 로스코로 돌아온단다.

강필석과 한지상과 함께...

덕분에 올 연말은 좋은 작품으로 마무리할 수 있겠다.

<광부화가들>은 강신일 뿐만 아니라 믿을 수 있는 극단 차이무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그래서인지 연극 <거기>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이상우 연출이 초연보다 전체적으로 유머러스하게 끌고 가고 싶었다는데 의도만큼 된 것 같다.

아주 무겁지도, 아주 가볍지도 않으면서 때때로 묵직한 뭔가를 던져준다.

보면서 계속 뮤지컬 <빌리엘리어트>가 떠올랐는데 역시나 리 홀의 극작이었다.

(사전 정보 전혀 없이 갔더니만...)

실제 광산촌 출신인 리 홀(Lee Hall)에게 광부와 광산의 이야기는 절대적인 트라우마이자 창작의 근원인 모양이다.

올리버 킬번을 연기한 배우 강신일의 인터뷰 내용도 아주 인상적이다.

 

“제가 2,30대였을 때 연기하면서는 배우 개인적으론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내 안에 어떤 이가 들어온다는 느낌을 받았던 적이 많았어요. 연극 속 ‘올리버’가 겪게 되는 비슷한 경험이죠. 이제 나이 50이 지나서 배우로서 그런 것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지만, 더 크게 발전을 시키지 못한 건 아닌가. 그 동안 영화나 드라마에서 여러 역을 맡으면서 너무 타성에 젖어있던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게 됐어요. 제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면서 연습하고 있습니다.”

 

작품을 보면서 나 역시도 유사한 질문들과 여러번 대면했다.

꼭 예술이 아니더라도...

꼭 정답이 아니더라도...

 

무대 위 3개의 대형 스크린으로 직접 그림을 보여주는 방식도 아주 흥미로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고흐, 세잔느의 명화들도 있지만

우드홀 탄광박물관이 영구 소장하고 있다는 실제 애싱턴 그룹의 그림 10점을 직접 볼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색감의 차이가 많이 나긴 하지만

정규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광부들이 그렸다는 그림은 충격 그 자체였다.

적어도 내 눈에 이들은 광부가 아닌 천재로 보인다.

"애싱턴 그룹(The Ashington Group)"은 1934년부터 1987년까지 꽤 오래동안 활동했던 실제 광부화가들의 그룹이다.

당시 이들이 영국 화단에 큰 충격을 안겨줬던 것 역시도 사실.

이 작품을 보면서 예술과 노동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했다.

만드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서도...

이들은 유명세를 탔음에도 불구하고 전업화가가 아닌 끝까지 광부라는 직업을 고수했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공포와 불안으로 가득한 어둡고 좁은 갱도를 파내는 일을 그들은 왜 그만두지 못했을까?

작품 속에서 지미(송재룡)가 10살에 처음 광부를 하면서 느낀 공포를 눈물로 회상하는 장면을 떠올리면서

나는 올리버 킬번의 선택이 이해되지 않았다.

그 역시도 결혼도 못한채 갱도에서 사망한 형의 처자식을 부양하는 입장이었다.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거절한 이유가

자신의 본질을 지키고 싶어서?

모르겠다.

나라면 헬렌(채국희)의 제안에 고민없이 당장 OK를 했을텐데... 

 

대사들이 가진 힘이 정말 어머어마하다.

어떻게든 이 작품의 대본을 구해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라이언 : 혹시 미술관에 가본 적이 있나요?

광부 : 우리, 이 동네를 떠나본 적이 없습니다!. 광부예요!

라이언 : 그럼, 그림을 본 적이 한 번도 없습니까? 평생?

광부 : 없는데요!

 

헨리 : 아름다움이라고요? 농담해요? 이 동네에 살아 봤어요? 이 동네 삶에 아름다움이라는 거 없어요!

라이언 : 예술은 나 자신이예요, 예술은 나 자신을 아는 거예요.

 

데이트 미술관 견학 장면에서 고흐의 그림앞에서 광부화가들이 나눈 대화는

개인적으로 이 작품의 정점을 찍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조지 : 반 고희의 "방"을 보고 있으면 그냥 구경하는 느낌이 아니야!

지미 : 그래, 고흐 머릿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었어!

올리버 : 반 고흐가 말하는 거 같았어. "예술은 생활이다"

헨리 : 진정한 예술은 나누는 거야. 예술은 주인이 없어!

올리버 : 우리 자신을 변화시키는 거야. 바로 그게 예술이야!

 

이 작품은 자연스럽게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게 만든다.

작품 자체의 진행(과정)도, 배우들이 연기하는 방식(과정)도 정말이지 너무나 아름답고 황홀했다.

고의의 "별이 빛나는 밤"같은 작품이었다.

오랫동안 내 속에 밝게 빛날 그런 작품.

다행이다.

긴 여행 후 첫관람한 작품이 이 작품이어서...

노곤한 여독의 피로를 이 작품이 제대로 풀어줬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1. 11. 4. 08:16

<늘근 도둑 이야기>

장소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3관 (차이무 극장)
일시 : 2011.02.11 ~2.11.12.31.
출연 : 이대연, 김승욱, 김학선, 이성민, 오용, 박원상 ....
제작 : 극단 차이무
극본 : 이상우
연출 : 민복기

1989년 강신일, 문성근의 초연 이후
국내에 연기 잘 한다는 명배우들(명계남, 박광정, 유오성, 박철민, 정은표...)이 거의 거쳐간 작품이 바로 "늘근 도둑 이야기"다.
벌써 20년도 훌쩍 지난 창작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학로에서 살아 있다는 건,
확실히 뭔가가 있다는 의미리다.
이날 출연 배우는 더 늘근 도둑에 김학선, 덜 늘근 도둑에 오용, 1인다역에 서동갑 배우였다.

얼마전까지는 배우 김뢰하가 덜 늘근 도둑으로 출연해서 화재가 되기도 했다.
지금 출연진들도 소위 말하는 드라마나 영화에 명품조연으로 출연하는 배우들이 상당히 많다.
그리고 특히나 내가 좋아하는 연극배우 오용.
좀 웃기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이 사람 연기는 정말 오남용이 없다.
연극 좋아하는 사람들한테는 절대적인 인정과 지지를 받는 배우!
소박하고 진실되고 그리고 최선을 다해 배역을 표현하고 몰입한다.
개인적으로 정말 오랫만에 오용의 모습을 무대 위에서 만나서
어이없이 향수 비슷한 것에 잠기고 말았다.


이야기는 결말이 좀 황당하긴 하지만 유쾌하고 재미있게 즐기면서 볼 수 있는 연극이다.
(사실 난 뭔가 더 있을거라 생각하고 암전 후 기다렸다. 그런데 매정하게 그냥 끝나더라)
난데없이 관람객이 단체로 명화가 되는 즐거움도 괜찮더라.
맨 앞에 앉았던 탓에 취객의 고성방가를 바로 앞에서 들었다.
천상 배우들은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게 관객 바로 앞에서 아무렇지 않게 얼큰하게 취한 연기를 천연덕스럽게 하는 모습을 보니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
오히려 내가 민망해 멀뚱해지더라.
대통령 취임 특사로 사흘 전에 풀려난 두 늙은 도둑!
마지막으로 한탕을 하고 깨끗이 손을 씻으려고 들어간 곳이 "그분"의 개인 미술관!
순간 리움박물관이 생각난 건 어쩔수 없더라.
명화라는 게 비자금 조성에 얼마나 혁혁함 공을 세우는지는 뭐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테고...
어찌됐든 착하고 순진한 우리의 늙은 도둑님들께선 당연히 잡히신다.
급기야 수사를 받는 중에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지 않으려고 횡설수설하다 간첩으로 몰리기도 한다.
연극에 나오는 "그분"이 정치쪽인지, 경제쪽인지 명확하진 않지만
(극의 흐름상 정치쪽으로 상당히 많이 기울긴 하지만  구린 건 이쪽이나 저쪽이나 오십보백보!)
좀 과장된 내용들도 물론 많이 있고 뒷북스런 대사도 있지만
배우들의 감칠맛 나는 연기때문에 그닥 눈에 거슬리진 않는다.
단지 바람이 있다면,
조금 더 살벌하게 실날했으면 좋겠다는 거.
무지랭이 좀도둑이 알면 얼마나 알겠냐 싶겠지만
의외로 현실과 시세에 밝은 직업(?)이 택시기사와 좀도둑 아닌가?
요즘은 "나꼼수" 때문에 유머러스하면서도 뼈가 있는 실랄함을 자주 접하게되는데
나중에 이 무대에서도 이런 실랄함을 볼 수 있다면 좋겠다.
이젠 그래도 되지 않나?
"나꼼수' 콘서트에 등장한 MB 동상 사진을 보고 정말 빵 터졌었다.
개인적으로 너무 대단하고 순결하셔서 동상 세워주고 싶다더니
정말 입구에 제법 큰 동상을 떡하니 세울줄이야...

그냥, 뭐.
이 연극을 보면서 "나꼼수"와 "닥치고 정치", "대한민국 CEO MB"가 자연스럽게 생각나더다.
어쨌든 중요한 건,
쫄지 말자!
뭐가 됐든!
이 또한 지나가리라...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