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5. 3. 9. 07:55


<아가사>

일시 : 2015.02.11. ~ 2015.05.10.

장소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작가 : 한지안

작곡 : 허수현

안무, 예술감독 : 우현영

연출 : 김지호

출연 : 최정원, 이혜경 (아가사) / 강필석, 김재범, 윤형렬 (로이)

       박한근, 정원영, 주종혁, 려욱 (레이몬드) 

       김형균, 황성현 (아치발드) / 박준후, 안두호 (폴)

       이선근, 박종원 (뉴먼) / 주정화, 한세라 (베스)

       소정화, 박서하 (낸시) / 윤경호, 정승준 (에릭 헤리츠)

제작 : 아시아브릿지컨텐츠(주), (주)캔들미디어

 

소극장 초연때 나쁘지 않게 봤던 작품이라 작품의 규모가 커지면 엉성했던 부분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건 아닌가 걱정스러웠다.

작품을 대폭 수정하면서까지 대극장용으로 만들걸 보면 

이 작품에 무한한 애정과 믿음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니 일단은 그걸 믿어보기로 했다.

게다가 캐스팅의 귀재인 김수로가 이번에도 역시나 환상의 캐스팅을 공개했다.

작품이 잘 나왔다면 세 명의 로이를 다 보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일단 첫 관람은 가장 궁금했고, 가장 잘 어울릴거라 생각된 강필석으로 선택했다.

다른 캐스팅은 크게 문제되는게 없긴 했는데

개인적으론 아가사를 선택하는게 가장 난관이었다.

이혜경, 최정원 두 배우 전부 내 취향의 배우가 아니라 고민이 오래 됐는데

처음 선택을 뒤집고 최정원으로 최종 결정했다.


결론은...

작품 자체도, 배우들이 전부 괜찮았다.

(심지어 나랑 정말 안맞는 최정원 배우까지도...)

개인적으론 초연때보다 훨씬 더 빠져들어서 봤던것 같다.

초연땐 좀 늘어지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이야기가 많이 정리됐고

개연성과 흐름도 더 긴밀해졌다.

로이의 미스터리함이 초연보다 약해지긴 했지만

로이가 좀 더 현실쪽으로 나와주니 "로이=아가사"의 등식은 훨씬 자연스럽더라.

초연때는 로이의 의상이 붉은색이었는데

이번에는 아가사의 의상이 붉은색으로 바뀌었고 

전체적으로 초연에 비해 "로이"에 변화가 많아졌다.

비중은 초연에 비해 많이 줄었지만 임펙트는 훨씬 강렬해졌다.

그리고 그걸 강필석이라는 배우가 너무 잘 표현했다.

대사톤과 타이밍, 표정도 정말 절묘하더라.
이 작품 전체를 끌고 가는 배우가 강필석이라는 확신이 들 정도였다.

<쓰릴미>에 이어 강필석 배우의 포텐과 매력이 "로이"라는 역할에서 또 다시 터져줬다.

늘 본인의 능력과 역량보다 덜 평가받는 배우라고 생각돼서 안스러웠는데

이제 그만 안심해도 되겠다.

강필석 배우의 "라비린토스" 비밀이 풀려 이제 제대로 전성기가 시작될 것 같다.

정말, 정말, 정말 매력적인 "로이"였고,

그보다 더 매력적이고 강렬한 강필석이었다.

아리아드네의 붉은 실로 라비린토스를 빠져나온 영웅 테세우스.

배우 강필석이 바로 그 테세우스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09. 5. 16. 16:25

2009년 2월 2일부터 어제 5월 15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Gustav Klimt 전이 있었다.



매혹적인 여인의 얼굴에 홀리듯
어느 이른 봄의 눈 소풍
(내가 찾았을 땐 이른 봄이었는데 어느새 5월이.... )



<클림트 황금빛 비밀>
"토탈 아트"를 찾아서....



부제가 민망할 만큼
어색하기 짝이 없는 입구
옛날 약장사 공연 천막을 들어가는 느낌 !
(이건 정말 아닌 것 같은데....)



인상적이었던 건,
전시실 외벽에 장식된 클림트 작품들
그림 앞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어쩌면 그림을 완성하는 건
그 그림을 보는 사람의 "시선"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
그림을 향하는 시선들의 너무 예뼈
잠시 질투가 나기도... ^^



클림트 작품의 모사품과
각종 기념품을 판매하는 곳에서 사람들이 웅성웅성
"클림트는 좋겠네~~~"
실없는 생각도 한 토막 !

   

클림트 하면 떠오르는 그의 대표작
<유디트>
팜므파탈을 이야기할 때 빼 놓지 않고 등장하는 그림.
옆꾸리의 저 남자,
죽었어도 황홀하지 않았을까?
저런 여인과 함께 였으니...



<아담과 이브>의 이 여인은 어떻고!
어쩐지 흡혈귀의 느낌마저도 전해지는.
뒤에 있는 남자의 얼굴...
피가 온통 빨려 축 늘어진 것 같아.
(불쌍해라... 그러니 남자들이여! 매혹에 조심할지어다~~~)



그렇다고 클림트가 무시무시한 팜므파탈만 표현한 건 아니라는 사실.
<여성의 세시기> 처럼
아이를 품은 따뜻한 여인도 있고,



너무나 유명한 <The Kiss> 처럼
황금빛 찬란한
사랑스런 여인도 있답니다.



클림트 작품처럼 느껴지지 않는
풍경화 <비 온 후>
색이 너무 평화로워 그만 저 위에 앉아버리고 싶은 소망.



어쩐지 동화의 한 장면처럼 느껴지는
이런 느낌의 그림은?
<캄머성 공원의 산책로>
모자 달린 빨간 망토를 입고
작은 도시락 가방을 들고
할머니 집을 방문해야 할 것 같은 어린 생각에
왠지 가슴이 뭉클.



Gustav Kiimt (1862~1918)
상당한 다혈질로 알려져 있고.
생전에 그래도 꽤나 명성을 누렸던 화가 중 한 명!
평생을 가족력이 있는 뇌질환에 대한 공포로 전전긍긍헸던 사람.
가장 활홀한 황금색으로 퇴폐적이면서도 몽환적인,
그래서 신비스럽기까지한 작품을 남긴 사람.
클림트로 인해
토탈 아트의 문이 열렸다는 평가.
산업 디자인의 시조라고나 할까?
미술의 상업화,
그러면서도
<베토벤 프리즈> 같은
독특한 실험정신을 담은 작품도 선사한 사람
-음악과 미술의 만남이라.... 

몇 년 전,
그의 천재성과 광기에 대한 영화도 떠오른다.
<KLIMT>
존 말코비치가 클림트로 분했던 영화.
(정말 매력적인 클림트였던 존 말코비치 ^^)
포스터 뒷배경을 수놓은 활홀한 황금빛 입맞춤 !
 


어떻게 그렇지 않을 수 있을까?
예술가는 반미치광이일수밖에 없다는 거,
그게 에로시티즘이든, 퇴폐든, 파괴든, 경멸이든,
이미 그들은 온전할 수 없었음을 이해한다.
때론,
그 온전하지 못함이
미치도록 부럽다.

그대들은 충분히 미쳐있는가?
마치 묻는 것 같다.
대답할 길은,
그러나
없...다...


<클림트의 다른 작품들>

  <마리아 뭉크의 초상>

  <아멜리 추커칸들 부인 초상>



        
                   <남자 누드>                                       <여자 누드>

  <은물고기>


   <움직이는 물>

  <누워있는 소녀의 얼굴>

  <"베토벤 프리즈" 중 일부>




                                  <이탈리아 정원 풍경>

  <마리 브로이니크 초상>
--->거의 실물 크기에 가까웠던 작품
       실제 사람이 서 있는 것 같은 현실감에 문득 당혹스럽기까지 했던 기억 ^^

*  재미있는 포스터 한 장 아니 두 장 
   <토탈 아트>의 선구자 클림트는 행사 포스터도 꽤 많이 그렸다.
   두 그림을 보고 차이점을 찾아보시라~~~


 
왼쪽 포스터가 클림트가 원래 만들었던 포스터.
그런데 남성의 성기가 그려졌다는 이유로
당시 검열관에 의해 소위 퇴짜를 맞았다고 한다.
오른쪽이 수정된 포스터 !
튼실한 두 그루의 나무가 아주 제 구실(?)을 제대로 해주고 있다.
왠지 좀 뻘줌해진 그리스 신화 !

갑자기 외설로 전락한 듯한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러스.
신화가 울겠네~~~~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