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Book끄-Book끄
그냥 끄적 끄적...2019. 2. 27. 08:23

드디어(???) 43kg 고지에 도달했다.

아마도 계속해서 천천히, 성실하고 42kg으로 내려갈 것이다.

원치 않은 다이어트는 좀처럼 끝낼 생각이 없나보다.

몸은 망가지고,

정신은 더 망가지고...

도대체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다.

잘 버텨달라고 했는데

그렇게 버틴 끝에 뭐가 기다리고 있을지 그 또한 겁이 난다.

시작은 있는데 끝은... 없다.

 

 

어디로 가고 있나?

나도, 그들도, 또 다른 그들도.

가지 말아야 할 곳까지 다 와버렸다는걸,

이미 다 알고 있는데...

Posted by Book끄-Book끄

 

Posted by Book끄-Book끄

Posted by Book끄-Book끄

Posted by Book끄-Book끄

 

 

 

 

 

 

 

Posted by Book끄-Book끄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9. 2. 14. 08:29

 

<오이디푸스>

 

시 : 2019.01.29. ~ 2019.02.24.

장소 : 예술의 전당 CJ 토월극장

원작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극작, 각색 : 한아름

무대 : 정승호

연출 : 서재형

출연 : 황정민(오이디푸스), 배해선(이오카스테), 박은석(코러스장), 최수형(크레온), 남명렬(코린토스 사자) 외

제작 : (주)샘컴퍼니

 

2013년 LG아트센터에서 본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의 기억이 선명하다.

작품을 보고 썼던 글의 시작은 이랬다.

"이 대단한 작품에 대해 도대체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심지어 지금도 마지막 장면을 떠올리면 전율이 느껴진다.

객석이 무대에 있어서 관객을 원형극장에 모인 테베의 시민으로 만들어버린 것도 놀라웠고

엔딩 장면에서 원래의 넓은 객석이 오이디푸스가 떠나는 길로 형상화되는 것도 충격적이었다.

두 대의 피아노와 나무 의자들,

그리고 배우들의 하얀 의상까지...

지금도 눈에 선명하다.

그때 오이디푸스 역을 한 박해수를 보면서 생각했었다.

"미치지 않고서야...."

하긴 그 공간에서만큼은 모두 미친 사람들이었다.

배우들도, 스텝들도, 제작진들도 심지어 관객들까지도...

 

다시 돌아오는구나 생각하니 좋았다.

그때 받았던 광기에 가까운 전율을 다시 느낄 생각을 하니 더 좋았다.

그래서 최대한 가까이서 보려고 무려 OP석을 예매했다.

황정민의 전작 <리처드 3세>도 너무 좋았고

출연배우들도 다 좋아서 두루두루 기대감이 컸다.

그랬더랬는데...

실제로 본 작품은 2013년도와 같지만 결이 많이 다른 작품이었다.

전체적으로 too much 하다는 느낌.

캐릭터 포스터 보면서도 too much하다고 생각했는데

무대도, 의상도, 분장도, 연출도, 조명도, 연기도 다 그렇더라.

(제일 too much한 배우는 코러스장 박은석)

대사가 바뀐 것도 아쉬웠고

음향과 코러스의 역할이 확 줄어든 것도 아쉬웠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너무 너무 너무 많이 아쉬웠던 작품.

아무래도...

2019년의 <오이디푸스>와 2013년의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고 해야 맞을 것 같다.

 

결정과 선택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

부은 발, 오이디푸스.

그 이름이 운명을 말해주리라.

오이디푸스를 보라!

저 뒷모습을 본 자라면 명심하라.

누구든 삶의 끝에 이르기 전에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전에는

사람으로 태어나 자신이 행복하다고 믿지 말라.

오이디푸스...

 

Posted by Book끄-Book끄
그냥 끄적 끄적...2019. 2. 13. 16:00

구정에 쉬면서 잘 먹으면 체중이 조금은 회복되지 않을까 기대했다.

하지만 결과는 변화가 없다.

오히려 체중이 조금 더 내려갔다.

잘 먹고 잘 쉴 생각이었는데

잘 먹지도, 잘 쉬지도 못했던 모양이다.

사실 약도 잘 챙겨먹지 못해서

세번째 진료를 받아야 하는데 약이 남아 예약날짜도 조금 미뤘다.

의사 허락없이 취침전에 먹는 약은 임의적으로 중단했다.

저녁에 혼자 있을 땐 벼로 힘들지 않아서...

워낙 잠도 많은 편이 아니라

오히려 약에 의지해서 수면시간을 조정한다는게 거북하기도 했다.

자가 중단이다음번 진료때 혼날지도 모르겠지만

솔직히은 해야 할 것 같다.

다른 방법을 찾을 수도 있을테니까.

 

 

15년 전쯤에 41kg까지 체중이 빠진 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일부러 뺀 건 아니고 일이 힘들어서 저절로 빠졌었다.)

내가 봐도 산송장이었.

이 나이에 또 다시 그 꼴이 되진 말아야 하는데...

멘탈 수습도 시급하지만

지금은 몸뚱아리 수습이 더 시급한 것 같다

얼마 있지도 않은 옷이 헐렁헐렁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를 먹고 싶다는 생각은 좀처럼 안든다.

어쩌자는건지...

두루두루 대책없는 나때문에 열심히 고생 중이다.

Keep Breathing ...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9. 2. 12. 08:58

 

<레드>

 

시 : 2019.01.06. ~ 2019.02.10.

장소 :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극본 : 존 로건(John Logan)

무대 : 여신동

연출 : 김태훈

출연 : 강신일, 정보석 (마크 로스코) / 김도빈, 박정복 (캔)

제작 : (주)신시컴퍼니

 

2011년 동국대학교 이해랑 예술극장 초연.

2013년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2015년,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

2016년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그리고 2019년 또 다시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그 다섯번의 시즌 공연을 다 봤다.

그 결과 여전히 "마스 로스코=강신일"이라는 공식은 유효하고 강력하다.

이번이 어쩌면 강신일 배우의 마지막 마크 로스코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비난 나뿐만이 아니었다.

강신일 스스로도 두 달 동안 이 작품을 못하겠노라 고사했단다.

하면 할수록 감당해야 하는 무게감이 엄청난 작품이고 인물이기에...(이건 내 생각)

강필석 캔을 제외하고는 매번 캔에 대한 불만이 있었는데

아주 오랫만에 김도빈 캔이 그 갈증을 해소해줬다.

먀크 로스코로 인해 변화되는 캔의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잘 보여줬고

특히 표정과 눈빛이 참 좋았다.

 

이 작품이 2인극이 아닌 1인극이다.

"캔"이라는 가상의 존재는 다름 아닌 "마크 로스코" 자신이다.

현실의 마크 로스코와 예술가로서의 마크 로스코 자아와의 대면과 충돌.
그리고 결말.

극 속에서 씨그램 빌딩 벽화 작업을 취소하는 전화를 건 후

마크 로스코는 캔을 가차없이 해고한다.

화해모드에서 또 다시 격렬해지는 두 사람의 목소리.

해고의 이유를 묻는 캔에게 돼도 않는 이유를 들먹이던 마크 로스코가 결국 진심을 이야기한다.

"네 세상은 제 밖에 있으니까!"

해방감이 느껴질 정도로 후련했던 대사였지만

그 해방감만큼의 고통도 함께 느껴야하는 대사였다.

"너 자신의 삶을 살아!

 사람들을 향해 네 주먹을 휘두르고, 네 주장을 펼치고, 사람들이 널 보게 해야 해!"

그렇게 마크 로스코는 예술가로서의 자아를 해방시켰다.

그리고 현실 속 로스코는...

스스로 손목을 그어 육체에서 조차도 벗어난다.

그야말로 완벽하고 완전한 침묵의 구현이다.

그토록 두려워하던 "Black"의 세계로 가장 강렬하게(Red) 들어가버린 마크 로스코.

이건 환의일까? 비극일까?

 

그는 자신이 선택한 죽음으로 이런 말을 하고싶었던건 아니었을까?

다 이루었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