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끄적 끄적...2011. 1. 22. 10:23


'나목'의 작가 박완서씨가 22일 오전 6시 17분 담낭암 투병 중 별세했다. 향년 80세.

고인은 지난 1931년 황해도에서 태어났으며 1950년 서울대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한국전쟁이 발발로 학업을 중단했다.

1970년 <나목(裸木)>으로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전에 당선돼 등단했다.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미망>, <아주 오래된 농담>, <잃어버린 여행가방>, <친절한 복희씨> 등이 대표작이다.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만해문학상(1999), 황순원문학상(2001) 등을 수상했으며, 지난해 8월 팔순과 등단 40주년 기념 산문집 <못 가본 길이 아름답다>를 출간하기도 했다.

빈소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6호. 발인은 25일 오전이다. 장지는 경기도 용인 천주교 묘지다.





-----------------------------------------------------------------------------

작가 박완서님이 오늘 새벽에 타계했다.
인터넷으로 기사를 보고 나도 모르게 가슴이 턱 무너졌다.
박경리에 이어 우리는 또 문학계의 대모를 한 분 또 다시 보내는구나 생각하니 턱턱 숨이 막혔다.
그분의 글을 내가 얼마나 아끼고 사랑하고 존경했던가!
작년에 양화진문화원에서 2시간 넘는 강연을 하셨을 때에도 정정하고 활력있어 다행이다 다행이다 생각하며 혼자 가슴을 쓸어내렸었는데...
소녀같은 미소로 수줍게 말씀하시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못 가본 길이 아름답다>를 읽으면서 80의 생이 담긴 당신의 글에 내가 또 얼마나 절절했던지...
결국 그 산문집이 마지막 책이 되버린건가?
소녀같은 웃음을 웃던 분이셨는데...
책표지만 만져도 마음 깊은 곳까지 훈김으로 차오르는 것 같았는데...
당신이 죽으면 찾아오는 문인들을 질 대접해주라고 말씀하셨단다.
그리고 가난한 문인들이 많으니 절대로 부의금을 받지 말라고...
딱 당신이 쓴 책같은 마음.
당신이 쓴 책들은 항상 그랬다.
따뜻한 집밥으로 오랫만에 호사한 입에 막 끓여낸 구수한 숭늉까지 챙겨주는 느낌.
그래서 먹어도 먹어도 또 먹고싶은 딱 그런 엄마표 밥상 같은 그런 글이었다.
그래서 서점을 가면 한동안은 박완서 책코너에 가능하면 오랫동안 서성이게 만들었던 당신.
그 앞에만 서있어도 금방 해낸 집밥 냄새가 솔솔 풍기는 것 같이 군침이 절로 돌았었다.
이젠 누가 따뜻한 가마솥 밥을 고봉으로 그득 담아 줄까?
천천히 먹으라며 따순 손으로 허기진 등짝을 쓸어줄까?
오늘밤엔 하늘에 푸진 밥상 하나 차려지겠다.
이상하다.
맘이 많이 덜컹댄다.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10. 9. 25. 06:12
소설 <친절한 복희씨> 이후 4년만에 출판된 박완서의 산문집.
솔직히 말하면 나는 산문집은 그리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여기에 하나를 더 보태자면,
나는 작가 박완서를 무지 좋아한다.
서점에 가면 박완서의 책이 모여있는 코너를 들러
꼭 한번쯤은 내 손으로 스다듬어 보게 되는 그런 작가다.
그래서일지도 모르지만 박완서의 산문집을 앞에 두면 나는 망설이지 않고 손에 잡는다.
당신의 산문집은 따뜻하다.
정성이 가득 담긴 방금 한 따뜻한 집밥을 한 숟가락 가득 퍼서 입 안에 넣는 것 같다.
달달하고 그리고 편안하다.
집밥이 주는 포만감은 오래오래 지치고 힘들었던 고약한 허기를 냉큼 달랜다.



1부 - 내 생애의 밑줄
2부 - 책들의 오솔길
3부 - 그리움을 위하여


이 글들을 쓰면서 작가 박완서는 또 한 번 자신의 길을 반추했으리라.
전쟁의 공포도 혈육의 죽음도 겪어보지 못한 내게도
그녀의 일생은 안스럽고 안타깝다.
그래서 그녀는 작가가 되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녀의 글은 사람을 가리지 않고 내내 보듬어 안는 게 아닐까?

...... 쓰는 일은 어려울 때마다 엄습하는 자폐의 유혹으로부터 나를 구하고, 내가 사는 세상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지속시켜주었다 ......

하나의 생명의 소멸은 그들에게 있어서는 우주의 소멸과 마찬가지란다.
80의 생애동안 수많은 우주의 소멸을 지켜봤을 박완서 선생.
이기적으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나는 이 모든 것들이 다행스럽다.
그 모든 소멸로부터 내가 위로받고 있으니까...



특히 2부와 3부의 내용들이 진솔하고 담백하다.
당신이 읽은 책에 대한 이야기인 2부는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으면서 실제로 혹독한 추위를 느꼈다는 부분이 나온다.
자신의 과거사와 묘하게 일치되는 추위는 결국 박완서의 몸을 아프게 한다.
책은 정말로 그럴 수 있다.
책으로 살갗을 도려내는 추위를 실제처럼 체감할 수도 있고
책으로 늙은 몸에 젊은 피를 수혈받아 영생을 꿈꿀 수도 있다.
확실히 나는 그 사실을 전적으로 믿는다.

3부의 글들.
김수환 추기경 선종, 문학의 대모 박경리 선생의 추모글,
그리고 나목의 화가 박수근에 관한 이야기.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막상 활자로 인쇄된 글로 보니
부모잃은 아이의 막막함이 더 많이 느껴진다.
80의 나이로도 그럴 수가 있구나...
진심으로 놀랐고 당신의 마음이 부럽기까지 하다.

기억이 많은 사람은.
또 얼마나 행복할까?
부러움이 절망처럼 밀려온다.
훔치고 싶다... 훔치고 싶다...
당신의 기억 모두를...
정말로 그럴 수만 있다면...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3. 22. 06:25
지난 주 합정동에 있는 양화진문화원을 다녀왔다.
매주 목요일마다 강좌가 있는데 이 날 연사가 소설가 박완서님이었다.
사람은 누구라도 한 번쯤 소설가(작가)가 되기를 꿈꾼다.
그리고 마흔의 나이에 문단에 등단한 박완서님은 그런 사람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박완서님은 모든 사람의 로망이 되는 셈이다)
1931년 10월 20일 생이니까 올해 여든이 되셨다.
그런데 너무 정정하고 정말 고운 모습이라서 놀랐고
그 수줍던 미소가 따뜻하고 평화로워서 또 다시 놀랐다.
수줍은 소녀같은 대가의 모습은 향기로웠고 그리고 더불어 잔잔한 물결의 흐름같았다.



<나는 왜 소설가일 수밖에 없는가?>
연좌에 앉아서 옛기억을 반추하며 이야기하는 모습은
아주 달고 시원한 시골집 우물물을 방금 길어와 마시는 것처럼 청량하기까지 했다.
80의 노구(老軀)가 말하는 어릴 적 부모에게 사랑받은 깊은 기억은
울컥울컥 당신의 눈가를 붉게 만들었고
나는 그런 당신의 유년이 탐이나서 할 수 있다면 송두리째 훔쳐내고 싶었다.
<나목>이 서 있는 <유년의 뜰>에서의 <엄마의 말뚝>,
그 기억이 결국은  <친절한 복희씨>까지 쓰게 하는 힘이 됐음을 당신의 고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당신의 이 모든 이야기는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고스란히 담겨있기도 하다.



강연에서 박완서님은 자신이 소설가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아니 소설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네 가지 정도 언급했다.
첫째, 어릴적 부모님에게서 받았던 지극한 사랑.
둘째, 항상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던 당신의 어머니.
셋째, 동네 여인들의 편지를 써 주시던 어머니의 모습을 자랑스럽게 바라봤던 기억.
그래서 당신이 그 엄마의 딸이었기에 "엄마를 흉내내는" 소설가가 될 수 있었노라 고백했다.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
6.25 전쟁을 겪으면서 당신이 겪었던 상황을 도저히 용서할 수 없어서였단다.
그 당시 버리지 취급받았던 모욕과 기만, 박해의 기억들을 절대 잊지않고 기억해서 
언젠가는 꼭 글로 쓰리라 다짐하게 됐다고.
그리고 그 다짐이 당신의 시대를 견디게 만들었노라고... 
글로 남기는 게 인간으로서의 최후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이라고 당신은 생각했단다.
그게 바로 쓰는 사람에게도 읽는 사람에게도 힘이 되는 "소설의 힘"이노라고...



모든 걸 뒤섞는 전쟁은 사람들의 마음 속에 깊은 "미움"을 박아 놓는다.
그러나 작가 박완서님은 또 분명히 말하기도 했다.
"미워하는 마음만으로는 그러나 글을 쓸 수 없다"라고... 
80의 노구(老軀)의 입을 통해 발음되는 "엄마"라는 단어는
미움을 넘어서 완전하게 풍요로웠으며 사랑으로 충만했다.
마치 꿈을 꾸는 듯한 표정으로 남긴 당신의 말들은 아직까지도 내 가슴 속에 생생하게 담겨있다.
"나는 환영받는 생명이었다"
당신의 입을 통했던 모든 이야기들,
미군 PX에 서울대라는 간판으로 직원이 됐던 이야기,
그 당시 1년간 함께 일햇던 초상화를 그리며 생계를 연명했던 박수근 화백의 모습,
(이 기억은 훗날 당신의 소설 <나목>의 모티브가 되기도 한다)
오빠의 죽음과 아들 이야기까지...
글보다 말이 두렵다며 조심스럽게 강연을 시작한 당신의 말들은
당신의 글만큼이나 따뜻했고 그리고 진실하고 다정했다.
(당신의 촉촉해진 눈가를 내가 어떻게 잊을까!)
이 세상에 허가된 거짓말이 바로 "소설"이란다.
그러나 그 거짓말 속에 진실이 담겨져 있기에 당신의 글을은 이유가 있고 가치가 있고, 믿음이 있다.
아! 이렇게 한 사람때문에 많은 사람이 풍요로울 수 있구나.
감동했고 그리고 진심으로 감사했다.
당신의 글들을 이제 나는 마디마디 조목조목 돒아보고 하나하나 쓰다듬으며 읽어내리라.
내게 당신의 글들이 "진심으로 환영받는 생명"이 됐음을 어떻게 의심할까?
당신이 더 곱기를, 더 소녀같기를, 더 꿈꾸기를 
돌아오는 내내 나는 감히 바라고 또 바랐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