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3. 8. 21. 08:47

<낙원을 그린 화가 고갱>

일시 : 2013.06.14. ~ 2013.09.29.

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주최 : 서울시립미술관, 한국일보

주관 : 한국일보문화사업단

 

지난 봄에 예술의 전당에서 고흐전을 봤을 때

한 옆에 6월에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고갱전이 열릴거란 포스터를 확인했다.

고흐와 고갱.

꼭 잊지 말고 챙겨봐야지 생각했다.

일요일의 서울시립미술관.

여유있게 관람하고 싶어 10시 개관시간보다 일찍 도착했는데 놀랐다. 

이미 기다리고 있는 관람객이 꽤 많아서...

지난번 고흐전에서도 놀랐었는데 우리나라 부모들의 교육열(?)은 참 대단하다.

꼭 유치원 야외수업장에 온 느낌.

전시장에서 꼬마녀석들을 보면 늘 신선하고 부럽다.

이해를 하든, 못하든 어릴 때부터 이런 문화를 접할 수 있다는 거.

이 녀석들은 아직 실감하지 못한테지만 확실히 축복이다.

 

이번 전시는 고갱의 3대 걸작을 비롯해서 총 60여점의 작품이 전시됐다.

늘 고갱의 사진과 작품을 보면서 이국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전시회를 보면서 그 이유를 충분히 알았다.

출생과 성장과정, 화가로서의 전향, 이 모든 게 고갱에게 이국을 꿈꾸게 했다는 걸.

고갱은 고흐와는 또 다른 의미로 불행한 예술가다.

그리고 후대에는 고흐에게 밀려서 상대적으로 그의 불행은 가려지고 흐려졌다.

어쩌면 고갱에게 있어 고흐는 사후 트라우마가 아닐까?

두 사람은 지금 서로 어떤 모습으로 재회하고 있을까...

 

 

가난, 매독, 다리 부상, 전시 실패, 질병, 소송, 실연, 자식의 죽음, 자살 시도...

고갱의 삶도 고흐의 삶만큼이나,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숨가쁘다.

타이티섬에서의 원주민과의 삶.

그 세게가 정말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고갱의 낙원이었을까?

고갱은 가족을 버리고 열대지방으로 도망갔고

그 댓가로 가난과 불행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심장바미로 홀로 쓸쓸히 사망했다.

고갱에게는...

더이상 돌아갈 곳이, 도망칠 곳이 없었다.

나는 고갱의 색채 속에서 숨겨져있는 어쩔 수 없는 깊은 슬픔.

그걸 선명하게 목격했다.

아.팠.다.

고갱의 3대 걸작을 한번에 본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데

나는 오히려 이 세 작품보다는 다른 작품들이 더 맘에 담겼다.

이상했던 건,,

이 세 작품 모두에서 나는 "살의(殺意)"를 느꼈다.

혹시 내 심리상태의 투영이었을까?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139.1 x 374.6 cm)를 대면하면서는 세 번 압도당했다.

(운이 좋게도 꽤 오랜 시간 이 작품을 혼자 독식할 수 있었다)

첫번째는 엄청난 규모에.  

두번째는 색채에

그리고 마지막에는 제목이 주는 존재감에 압도당했다.

그림을 마주하기가... 버거웠다.

(결국 눈싸움에서 처절하게 패배하고 도망쳤다)

그런데 나는 왜  저기 뒤쪽 청록의 세계가 더 눈에 들어왔을까?

마치 사후의 세계같던 그곳이...

 

<여인과 백마>

<세 명의 타이티인>

<타이티의 여인들>

<파아 이헤이헤(아름다움을 위하여), 타이티의 목가>

<소녀의 초상>, <안녕하세요 고갱씨>

 

맨 위의 그림 <여인과 백마>를 제외하고 모두 표정이 암울하다.

고갱이 그린 "낙원" 속 사람들은 왜 한결같이 저런 표정이어야 했을까?

혹시 고갱이 찾은 낙원은 "낙원"이 아니었던건가!

어쩌면 그랬을지도....

 

"나는 고요함을 찾아, 그리고 문명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떠난다.

 나는 단순한, 아주 단순한 예술을 하고 싶다"

 

고갱은 도대체 어디로, 얼마나 멀리 떠나버렸던 걸까?

미술관을 나오면서 나는 고갱의 화두를 숙제처럼 받아 안았다.

 

<숲 속의 작은 터, clearing>

<창가의 꽃병>

 

내 마음을 가장 많이 잡았던 그림은 이 두 작품.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갱풍의 그림은 아니지만

이 정물화가 풍기는 따스함과 청량함은 지금도 내내 잊혀지지 않는다.

특히 "숲 속의 작은 터"는 한글 제목보다 "clearing"이라는 원제의 느낌 그대로다.

그림 앞에 한참을 서있었다.

숲의 냄새가 나는 것 같고, 흙의 향이 나는 것 같고, 구름이 실제로 움직임이는 것 같다.

급기야 나는 저 작은 터에 오롯이 앉아있는 사람을 무작정 나라고 믿어버리기로 했다.

"창가의 꽃병"은 테이블보의 구김에서 삶의 냄새가 맡아졌다.

작은 정물화가 이렇게까지 인간적일 수 있다는 걸 고갱이 내게 보여줬다.

어쩌면 이런게 고갱이 말한 "단순한 예술"이 아닐까?

고갱의 낙원을 나는 이 작은 정물화에서 읽었다.

 

전시장을 들어가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고흐의 문구.

"고갱은 멀리서 온 사람이고 또 멀리 갈 사람이다!"

고흐는 고갱의 삶이 부러웠었던 모양이다.

고갱전을 보면서 나는 내내 고흐의 질투라는 말도 안되는 환상에 사로집혔다.

그건 고흐를 향한 고갱의 질투일수도 있고...

그게 비록 이해되지 못하는 일방적인 질투일지라도

그게 있다면 삶은 살아질 수 있는거다.

질투가 끝나는 순간,

고흐와 고갱의 예술도 끝났다.

고갱과 고흐는 그렇게 스스로의 결말을 선택했다.

삶은 두 사람을 그렇게 묶었다.

적어도 내게 있어 고갱과 고흐는 동일하다.

 

"Vivre c'est chanter et aimer"

(삶이란, 노래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11. 1. 19. 06:19
<그남자 그여자> 이미나가 쓴 책이다.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고 나름대로 꽤 많은 사람들이 읽은 것 같은데
솔직히 그녀의 책을 읽은 건 이게 처음이다.
고백컨데 이미나의 여행서인지 알고 집아들었다.
그런데 이걸 뭐라고 할까?
여행을 다녀와서 쓴 조금은 귀엽과 깜찍한 소설?
책 속의 주인공은 공연기획이 업인 행복한 아이 "행아"다.
실제로 이미나도 공연기획을 심심찮게 하는 사람이니
행아가 이미나의 일부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거다.
쉬는 날이면 공항을 가는 사람.
비행기만 봐도 가슴 설레는 사람.
그리고 여행으로 하나의 시절을 끝내게 되는 사람.
어쩌면 영원한 유토피아란 "여행"에 있는지도 모르겠다.
김포에 가깝게 있는 근무처 덕분에 나 역시도 하루에 몇 번씩 하늘 위를 나는 비행기를 본다.
마음은 이미 그 비행기 안에 들어가있는데
몹쓸 놈의 몸은 여전히...



재미있다.
태호와 행아, 태희와 건호, 경우, 그리고 은수까지
주변에서 금방 찾을 수 있는 아주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이야기들.
무엇보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전초전 같은 부분들에 공감을 하게 된다.
친구 태호와 반 고호의 동생 테오의 못한 일치감.
그리고 두 개의 여행지가 하나로 만나는 그 합치감도
읽으면서 재미있고 다행이다 싶었다.
다른 것과 틀린 것을 구별할 줄 알면
그 여행은 또 얼마나 편안하고 풍성해질까?
10일간의 여행을 계획 중인 내겐 약간 느슨함을 안겨주는 책이었다.
솔직히 줄거리로만 따진다면 흔한 칙릿소설이자만
다른 것을 보고 나니 귀여운 동네 꼬맹이들이 재잘거림같다.
요즘 세대들의 통통 뛰는 대사들을 읽는 것도 뭐 그런대로 재미있었고...
올 가을,
계획했던 터키로의 여행이 끝나면
개인적으로 이런 여행의 기록 하나 만들어야지 싶다.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