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3. 2. 27. 08:07

<Trace U>

일시 : 201.02.05. ~ 2013.04.28.

장소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

대본, 가사 : 윤혜선

작곡 : 박정아

연출 : 김달중

음악감독 : 신경미

출연 : 최재웅, 이창용, 김대현 (이우빈) 

        이율, 윤소호, 손승원 (구본하)

 

작년 말 3주라는 긴 기간 동안 프리뷰 공연을 한 것도 이례적이었지만, 그 프리뷰 공연을 정말 무시무시하게 성공리에 마친 뮤지컬 <Trace U>

이 멋지고 괴물같은 2인극이 본공연으로 돌아왔다.

스탠딩의 압박은 부담스럽지만 그래도 결코 놓칠 수 없는 작품 <Trace U>

본경연을 앞두고 김달중 연출이 그랬다.

"프리뷰 공연때보다 더 친절해졌다고"

이게 무슨 뜻일까 궁금했는데 직접 관람하니 이해됐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프리뷰의 불친절한 전개가 훨씬 마음에 든다.

전체적으로 더 싸이코틱해서...

캐스팅 선택에 대한 고민은 전혀 없었다.

최재웅 이우빈과 윤소호 구본하!

띠동갑인 이 두 배우의 호흡은 정말이지 믿어지지 않을만큼 환상적이다.

프레스콜에서 윤소호가 그랬단다.

"최재웅 연기학원에 다니는 것 같았다고...."

확실히 윤소호 구본하는 프리뷰때보다 훨씬 더 자유로워지고 대담해지고 명확해졌다.

그리고 넘버 소화력도 그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았다.

최재웅 이우빈!

심리극의 대가답게 장면 하나하나를 섬세하게 터치하면서 드러나지 않게 주도해간다.

매번 감탄을 거듭하게 되지만 딕션은 정말 소름까칠만큼 좋다.

최재웅이 연기하는 걸 보고 있으면

대사톤이나 감정표현, 표정, 성량의 조절과 액팅 타이밍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그걸 열심히 쫒아가다보면 어느틈에 "황홀"에 빠진다.

2인 심리극에서 최재웅만큼 명확하고 섬세한 느낌을 주는 배우는 아무래도 없는 것 같다.

누가 뭐래도 최재웅이 단연코 top이다!

 

해리성 인격 장애를 가진 이우빈과 구본하.

프리뷰때부터 누가 주인격인지 고민이 되긴 했는데

주인격이 구본하고 부인격이 이우빈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본공연을 보고 그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았다.
혼자 이 엄청난 반전에 뒷통수를 제대로 맞았다.

(극중 이우빈의 대사처럼 불feel요한 feel에 혼자 빠져있었던거다.)

김달중 연출의 "더 친절해졌다"는 표현이 이걸 뜻하는 거였나보다.

그런데 구본하가 주인격이라고 생각하는 관객 꽤 있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고 이해를 돕기 위해 더 친절해지진 않았으면 좋겠다.

관객들에게 끊임없는 혼란과 혼동을 주는 게 훨씬 <Trace U> 스러우니까!

무대나 영상은 개인적으로 필링때가 훨씬 좋았던 것 같다.

가령 시작부분은 사족같은 느낌이 들었고

무대위 두 배우를 되비추던 영상도 색감이 너무 화려해졌다.

반면에 우빈의 회상장면에서 빈객석에 홀로 앉아있는 여자의 모습을 보여준 건 이번 공연이 더 좋았다.

그리고 밴드가 전면으로 나와준 것도 훨씬 좋았다.

구본하의 의상은 프리뷰 공연때보다 좋아졌다.

공연장 앞에 프리뷰 의상이 전시돼 있기도하지만

구본하의 의상은 너무 화려해서 살짝 밤무대 트롯가수스러웠다.

이우빈 의상은 프리뷰때가 조금 더 좋았던 것 같고...

 

<Trace U>의 넘버들!

이 징글징글하게 멋진 넘버들을 진정 어찌할까!

데스크에 OST 제작 계획을 물었더니 없단다.

(너무 명랑하게 "아직 없다"고 말해서 진짜 참담했다.)

특히 최재웅 이우빈의 넘버들은 압권이다.

곡마다 느낌이 전부 다르고,

그 변화되는 느낌을 따라가면 극의 흐름이 명확히 파악된다.

주인격이 이우빈이라는 것도..

이우빈의 미세한 표정과 그에게 향하는 조명의 명암을 유심히 보는 것도 극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꽤 도움이 된다.

어느 소년 이야기 -> 태양에 눈이 멀어서 ->그 여잔 널 버렸어 -> Trace U reprise

특히 이 네 곡은 이우빈의 표정과 눈빛을 놓치지 말고 봐야만 한다.

그리고 최재웅 이우빈이 표정과 얼굴빛을 싹 바꾸고 구본하를 향해

"나는 너야. 내가 너야, 바로 너!~~"라고 찌르듯 노래하는 장면,

정말 섬득함이 느껴질 정도다.

우빈이 약이름을 되뇌이며 하나씩 세차게 내던지는 모습는

정신착란적인 불안감과 떨림이 그대로 전달된다.

우빈이란 인물을 최재웅이 안 했다면?

글쎄... 아마도 나는 지금같은 강력함을 느끼지 못했을거다.

그만큼 최재웅의 존재감은 이 작품에선 가히 절대적이다!

처음 등장부터 마지막 커튼콜의 깨알같은 재미까지...

커튼콜에서는 까마득한 후배 윤소호를 향해 아빠미소를 지으며 얼마나 흐뭇해하던지.

(윤소호처럼 발전이 눈에 보이는 후배를 앞에 두면 선배로써 기쁘고 뿌듯하긴 하겠다.)

두 배우의 커튼콜 호흡은 본공연과는 또 다른 모습과 느낌으로 환상적이다.

신선하고 재미있고, 에너지 넘친다.

 

이 작품,

확실히 사람을 "또라이"로 만들어 버리는 강력함이 있다.

그것도 아주 과감히, 그리고 확실하게!

10여분 동안 이어지는 커튼콜 스탠딩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정말 다시 보고 싶게 만드는 중독성 강한 작품이다.

특히 최재웅 이우빈 때문에 더욱 더!

다음 시즌에도 최고령(?) 최재웅 우빈을 볼 수 있을까?

그 생각을 하면 한번쯤은 더 봐야 할 것도 같고.

물론 구본하는 윤소호!

최재웅과 윤소호 페어!

이 둘은 정말 최고라는 표현이 턱없이 부족할만큼 최고다!

이 작품도, 이 두 사람의 호흡도 정말 할 말을 잃게 한다.

정말 최고다!

 

* 나, 이 작품 정말이지 너무너무 사랑한다!

  진정으로 사람을 crazy하게 만드는 본좌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2. 24. 06:27
처음엔 임태경의 모차르트가 궁금했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점점 박은태 그의 모차르트가 궁금해졌다.
티켓 가격의 압박에서 불구하고 정말 다행스럽게 그의 모차르트를 만났다.
여전히 EMK의 티켓 가격 장난질을 계속됐고
불쾌하고 황당해서 안 보리라 생각했는데
결국은 이렇게 보게 되더라(^^)
참 많은 이야기를 들었었다.
뮤지컬 모차르트의 주인공 4명(임태경, 박은태, 박건영, 김준수) 중에
유난히 그의 노력과 그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다.
오디션에서 떨어졌다고 했던가?
<노트담 드 파리>의 한국어 버전 그랭그와르로 무대에 섰던 박은태는
모차르트라는 역할이 너무나 탐이 났고 그리고 너무나 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오디션에 탈락한 박은태는 그러나  결국 모차르트가 됐고
이런 역할을 10년 안에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생각했단다.
뮤지컬 <모차르트>
썩 훌륭한 작품은 아니지만 어쨌든 상당히 매력적인 작품임에는 분명하다.



극 속에서 모차르트의 비중은 상당하다.
<햄릿>과 <지킬앤하이드>보다 더 많은 분량.
그리고 위의 두 작품보다 더 클라이막스가 적어
배우 스스로도 표현하기가  난해하지 않았을까?
평이함 속에서 천재성과 소위 말하는 "또라이"적인 기질까지 함께 그려내야 한다는 게
분명 쉬운 일은 아닐테니까...
아버지의 죽음으로 감정선에서 너무 극명하게 달라지는 작품.
어찌보면 개연성이 부족해 보이기도하고 작위적인 냄새까지도 난다.
그래도 뭔가 한 방은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의 발로랄까?



배우의 의도였든(근데 과연?), 역량의 부족이었든
임태경의 모차르트가 찌질함의 전형이었다면,
박은태의 모차르트는 그래도 자아의 확립은 좀 되어 있는 것 같다.
늘 아버지의 등 뒤에 숨어 말을 하던 임태경 모차르트가
나는 못마땅하고 답답했는데 
박은태의 모차르트는
과장을 조금 많이 한다면
"이거 너무 아버지한테 막가는 거 아냐?"는 생각이 들만큼 쌈닭스럽다.
아버지(서범석)에게도 그리고 대주교(민영기)에게도...
그리고 다분히 "또라이" 스러운 기질도 보여준다.
박은태라는 배우가
적어도 배역에 대해 겁을 먹고 있지 않다는 건 충분히 알겠다.
그가 의도한 오버스러움과 과장된 웃음소리도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공감되고 이해가 된다.
임태경이 캐릭터를 만들어 가면서 충돌을 했다면
박은태는 캐릭터에 동화되면서 충돌이 생기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그의 충돌은 노래와 연기 사이의 간극으로 낌새를 남긴다.



뮤지컬 <모차르트>,
개인적으로는 스토리의 매력보다 뮤지컬 넘버의 매력이 더 큰 공연이라고 생각된다.
무대는 때로 풍성하기도 하지만 자주 여기 저기 빈 공간을 드러낸다.
마치 동굴이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 펼쳐지는 공연 같다고나 할까?
그런데 신기한 건,
그 동굴안에 메아리성 에코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게 공연 외적으로 몹시 테러블하고 시끄러운 모차르트를 보게 만드는 이유인 것 같다.



내가 박은태만큼이나 개인적으로 기대했던 민영기.
결혼 발표로 기쁨이 충만한 상태라는 게 작품에 보여진다.
(억지로 들릴지 모르지만 나는 그랬다)
그가 기교를 부리고 있다는 생각에 문득 겁이 났다.
모차르트와의 논쟁에서 그는 권위가 느껴지지 않았다.
민영기의 대주교는 유머러스하고 그리고 전체하는 모습이었다.
대주교가 모차르트에게 품어야 했던
탐욕에 가까운 질투가 그에게선 보이지 않았다.
100% 그의 능력을 보여주지 않은 민영기가
솔직히 나는 좀 밉다.



개인적으로 이경미의 베버 부인 역할이 너무 사랑스러웠다.
배역을 완벽하게 이해했다는 게 눈에 보인다.
자신의 모습이 어떻게 비칠지 상관하지 않고
경박스럽고 수다스럽고고 속물스러운 베버 부인을 너무 잘 표현해
오히려 나는 정말이지 베버 부인이 몹시 사랑스러웠다.
이 뮤지컬의 액센트 같은 존재.
베버 가족의 신들도 재미있고 그리고 경쾌하다.
5명 모두의 표정과 동작이 너무 재미있어
나도 슬쩍 그 안으로 들어가 가족인 척 하고 싶어졌다.



이제 지방 공연으로 이어질 뮤지컬 <모차르트>
그곳에서도 아마 잡음이 끊이지 않을테지만
이미 티켓은 손익 분기점을 넘은 상태란다.
조만간 또 EMK의 티켓 장난이 시작될 것 같아 좀 걱정스럽긴 하다.
더불어 <몬테크리스토 백작>도 걱정스럽다.
티켓 판매 장난만 하든, 좌석 장난만 하든 둘 중 하나만 해준다면
그나마 다행이겠다.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