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6. 2. 17. 08:03

 

<나무 위의 군대>

 

일시 : 2015.12.19. ~ 2016.02.28.

장소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원작 : 이노우에 하사시

대본 : 호라이 류타

연출 : 강량원

출연 : 윤상화, 김영민 (분대장) / 성두섭, 신성민 (신병) / 강애심, 유은숙 (여자)

제작 : (주)연극열전

  

예당 오페라극장에서 3시 <레베카>를 본 후에

자유소극장으로 내려와서 연달아 연극 한 편을 봤다.

연극열전 시즌 6 첫번째 작품 <나무 위의 군대>

개인적으론 일본 작품은 잘 안보는 편인데 (코드가 나랑 정말 안맞아서...)

김영민이 출연한다니 그냥 지나쳐지지가 않더라.

보고 난 느낌은...

확실히 일본 작품은 나랑 잘 안맞는다는거!

재미있는건지, 슬픈건지, 아픈건지, 심각한건지... 모르겠다.

사전 정보없이 가긴 했지만

처음엔 식인나무에 대한 이야긴가 생각했고,

그 다음엔 나무의 정령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는 이야기인가 생각했고,

그러다 간혹 스탠딩 허무 개그 같다는 생각도 했고,

인간의 수치심에 대한 이야기 싶다가 허깨비같은 국가에 대한 이야기인가 싶기도 하고...

뭐가 됐든 무대를 꽉 채운 커다란 나무의 존재가

어딘지 무색하게 느껴지더라.

 

톡특한 작품이라는 것도 알겠고,

주옥같은 좋은 대사들도 정말 많았고,

배우들의 연기도 시종일관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좋았지만

보는 내내 뭔가 개운치 못한 이 느낌적인 느낌을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

마치 벵골나무 위에 있는 사람이 나인것 같다.

나무에서 내려가야 하는지, 그대로 있어야 하는지.

솔직히 지금까지도 결정을 못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신병은 대사가 딱 내 심정이다.

"완전히 뒤죽박죽입니다.

 지켜주고 있는게 무섭고, 무서우면서도 매달리고, 매달리면서도 미워하고, 미워하면서도 믿는 겁니다.

 완전히 뒤죽박죽입니다"

이 말을 하고 신병은 웃는 것도, 우는 것도 아닌 소리를 낸다.

나무의 정령은 그걸 "모순의 소리"라고 부르더라.

 

모순의 소리,

이 작품이 말하고 싶었던게 이거이지 않았을가!

"모순(矛盾)"

그래서 이런 형식과 이런 대사들이 필요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끝나도 끝난게 아니라는 말,

진심으로 진심이다.

 

* 찌질한 연기에 관해서라면 김영민은 비교불능 갑(甲)이다. 

  김영민의 찌질함은 격(格)이 다르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0. 9. 15. 05:49

양화진 문화원 목요강좌가 다시 시작됐다.
지난주 목요일 가야금 연주자 황병기 선생님의 강의가 있어서 오랫만에 양화진을 다녀왔다.
<침향무>, <비단길> , <미궁>, <춘설>, <달아 노피곰>
"황병기의 음악은 모순을 명상하는 것이다"
"하이스피드 시대의 정신적인 해독제다"
그의 음악에 대해서 사람들은 말한다.
나 역시도 그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저절로 가만히 있게 된다.
그리고 그건 책을 읽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만드는
완벽한 고요함이자 경건함이다.
바짝 다가와있는 내면과의 조우...
때로는 현실처럼 섬득하고 때로는 꿈결같이 황홀하다.



황병기 선생님은 1936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사회자 김종찬님이 청중들에게 정통적인 서울 사투리를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뭐랄까, 말씀하시는 게 꼿꼿하고 단정하셨다.
(그런데 지금 서울 사람들이 서울 사투리를 알까?)
가야금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황병기 선생님은 음악이 아닌 법학을 전공하셨다.
서울대 법대 2학년 때 KBS 주최 전국 국악 공쿠르에서 1등을 하면서 음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단다.
사실 본인은 가야금을 업으로 삼게 되리라고 생각하지 않으셨다고 한다.
극장지배인, 화학공장 관리인, 영화사 사장 등 여러 직업을 거쳤고
38살에 음악을 직업으로 삼을 것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때까지 가야금을 놓치 않았고 대학에서 계속 가야금을 가르쳤다고 한다)
본인은 15살에 가야금을 처음 알게 됐는데
모든 악기 연주는 정신적인 수양이나 연주가 아니라 육체적인 연주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매일 단련해야만 한다고...



선생님은 한국음악을 두고 음 하나하나가 마치 붓글씨를 쓰는 것 같다는 표현을 하셨는데
강연을 듣는 모든 사람들이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했다.
청구영언에 나온 시조 한 소절을 불러주셨는데
정말 딱 그 느낌이었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한국의 소리는 실한 소리, 영근 소리, 공력이 담긴 소리라고 한다.
그래서 공든 힘이 담겨있기 때문에 아름답다고.
그런 소리를 우리는 얼마나 이해하고 느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씁쓸할 뿐이다.
어쩌다 우리는 클래식보다 국악에서 더 멀어지게 됐을까?
소위 가방끈이 길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오히려 우리 음악을 더 안 듣는다는 선생님의 지적은
스스로도 면목없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가방끈도 길지 않으면서 나는 왜 국악을 모르는가...)



한국음악이 지향하는 것은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희열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말씀도 하셨다.
우리 음악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점점 듣지 않게 되고 멀어지게 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마음을 여는 게 중요하단다.
음악을 듣는 것도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편견을 없애는 것이 그 시작이라고...
더불어 예술을 향유하는데까지 애국심을 발휘할 필요는 없다는 충고도 남기셨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솔직히 우리나라 음악 교육은 전혀 애국심 운운할 꺼리조차 없긴 하다.
멀리도 아니고 내가 중고등학교다닐 때만 생각해도
음악시간에 국악을 배웠던 기억은 고작 서너번에 불과했던 것 같다.
어릴때부터 배우고 접해야 들을 줄도 안다는데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은 우리 음악과 오히려 멀어지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달라졌으리라고 생각되진 않는다)
 

                                                <황병기의 "비단길">

황병기 선생님은 지금 74세다.
강연이 끝난 후 누군가가 질문을 했다.
만약에 음악을 업으로 삼기로 결정한 38세로 돌아간다면 어떻게 하시겠느냐고...
선생님의 대답이 참 멋지셨다.
"늙어 가는 재미가 활홀하다"
그러고 싶다.
나중에 나 역시도 고희가 훨씬 지났을 때
스스로에게 늙어가는 재미가 황홀하다 말할 수 있기를...
그렇다면
일가를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겠지.
황병기 선생님의 말씀은
그분의 해왔던 가야금 연주만큼이나 청연했고 고요했고
그리고 평온했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