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후 끄적끄적2017. 12. 11. 08:44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인적으로 제일 가고 싶으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

Zentiralfriedhof.

"거대한 평온의 뜰"이라는 뜻의 빈 중앙묘지.

아침 일찍 지하철 U3를 타고 종점 simmering에서 내려 트램을 기다렸다.

6번과 71번 중 6번이 먼저 왔다.

빈 사람들은 그런단다. 

"그 사람 어제 71번 트램을 탔어..."라고 말하면 "그 사람 어제 사망했어..."나는 의미라고.

슬픔을 가리는 다정한 말이라고 생각했다.

마치 죽음이라는게 끝이 아니라 또 다른 곳으로의 시작이나 여행처럼 느껴져서...

 

 

중앙묘지는 거대한 뜰 답게 입구가 무려 4개나 된다.

그 중 음악가의 묘역과 가장 가까운 곳은 Zentralfriedhof 2 Tor.

두 개의 거대한 오벨리스크 기둥 사이로 출입문이 보인다.

그 길을 따라 좌우로 펼치는 죽은 자들의 도시를 거닌다.

이른 아침이었고,

사람들도 거의 없었고,

날씨도 잔뜩 흐렸고, 심지어 춥기까지해서

마치 이곳과 저곳 경계 어디쯤에 있는 느낌이었다.

간간히 지나가는 자동차 소리가 아니었다면 현실감을 잃었을지도...

 

죽은 자들의 도시는 늘 나를 사로잡는다.

저기 어디쯤에 몰래 숨어있다 나란히 눕고 싶다는 간절함.

이뤄질 수 없는 열망으로 늘 몸이 단다.

 

 

32-A "Musiker"로 들어서면

초록 잔디 위 맨 앞에 길게 Liechtenstein이 누워있고

뒷편으로 Veethoben, Mozart, Schubert의 묘가 삼각형 형태로 모여있다.

음악의 신동 Mozart는 가매장이 되는 바람에 유골을 찾지 못해 비어있는 상태지만

클래식의 대가 세 분이 이렇게 가까이 있으니 외롭지 않고 참 좋겠다.

어쩌면 도란도란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을지도...

헌화된 꽃들도 예쁘고

묘소 주위에 소담스럽게 모여있는 노란 가을잎들도 탐스럽다.

존경과 사랑으로 보살펴지고 있다는게 느껴져 부럽고 다행스러었다.

고요하고 장중한 레퀴엠 같은 곳.

 

 

요한 스트라우스와 브람스를 비롯한 음악가들조차도

베토벤, 모차르트, 슈베르트 앞에선 빛을 잃는다.

유명(有名)이라는게 이런거구나...

이름 끝자리 흔적조차 남기지 못할 내가 할 걱정은 감히 아니겠지만

안스러워 몇 번씩 눈길이 갔다.

오래 기억됐고, 앞으로도 오래 기억될 죽음.

그 죽음 자리가...

머릿속에서, 눈 속에서 내내 서걱거린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4. 7. 28. 08:37

<살리에르>

일시 : 2014.07.22. ~ 2014.08.31.

장소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극본 : 정민아

작곡, 음악감독 : 이진욱 

연출 : 김규종

출연 : 정상윤, 최수형 (살리에르) / 박유덕, 문성일 (모짜르트)

        김찬호, 조형균 (젤라스), 곽선영, 이민아, 김도진 외

제작 : HJ컬처(주)

 

창작뮤지컬 <살리에르>

정상윤의 출연만으로 프리뷰를 선택했던 작품.

공교롭게도 세종문회회관 대극장에서는 라이선스 뮤지컬 <모차르트>와 공연기간이 겹쳐지면서 원하든 원치 않든 비교가 될 수밖에 없다.

결과의 처참함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런 승부수를 띄운 HJ컬처의 뚝씸이 나는 솔직히 대견스럽더라.

창작 VS 라이선스

대극장 VS 중극장

모차르트 VS 살리에르

스타급 배우 VS 스타급은 아니지만 실력있는 젊은 배우

이 외에도 제작사와 작사, 작곡, 대본, 제작비까지 들먹이면 끝이 없겠지만

이 정도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결과는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

게다가 프리뷰 기간 내내 <살리에르>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도 못했다.

실제로 확인한 작품도 솔직히 내가 생각한 기대치를 충족시키지는 못했다.

장점보다 단점을 많이 보였고,

스토리도 엉성했고 "살리에르"라는 제목을 달고 있음에도 살리에게 충분히 포커싱이 되지도 못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작품이 가능성을 말하고 싶다.

넘버의 가사들를 좀 수정하고

등장인물도 다 없애고 오로지 살리에르, 모차르트 젤라스 3인만 등장시켜

좀 더 내밀하고 섬세한 심리물로 바꿔버리는거다.

지금보다 훨씬 더 다크하게 이야기를 끌어가면 훨씬 더 좋은 작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모차르트에게 가려져 평생을 2인자로 평가받은 살리에르.

그렇다면 살리에르에게 천재성이라는게 전혀 없었을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노력만으로 "살리에르" 가 탄생될 수 있다면

세상엔 숱한 "살리에르"로 가득할거다.

100% 노력하는 살리에르, 200% 노력하는 살리에르, 80% 노력하는 살리에르... 살리에르... 살리에르...

살리에르에게도 모차르트만큼은 아니지만 천재성이 있었고

모차르트에게도 살리에르 천재성으 향한 불타는 질투심이 있었을거다.

거기에 두 사람 내부에서 매번 치열하게 싸우는 스스로에 대한 질투심도 있었을테고...

불같은 질투가 없다면!

불같은 예술도 없다.

모차르트가 불운했다면 마찬가지로 살리에르도 불운했고,

모차르트가 천재였다면 살리에르 역시도 천재일 수밖에 없다.

두 사람 다 죽을 듯이 치열하게 자신의 삶을 살았다.

죄책감도, 환상도, 질투도 그 치열함 속에 여전히 살아 숨쉰다.

 

안타깝게도 정상윤, 박유덕, 김찬호 배우를 제외한다면

여배우와 앙상블들은 이 작품에 기여도는 재앙에 가깝다.

특히 곽선영 배우는 동명이인의 신인배우가 아닌가 착각할 정도였다.

소리를, 연기를 컨트롤하지 못하는 뮤지컬 배우를 견뎌내는 건...

미안할 말이지만 참 고역이더라.

아마 그래서 더 남성 3인극을 꿈꾸게 됐는지도 모르겠다.

소화하지 못하는 고음은 언제나 귀를 극도로 피로하게 만든다.

 

그럼에도 정상윤은 여지없이 실망감을 안겨주지 않는다.

세종 M씨어터 2층에서도 그 표정과 몸짓, 심리상태가 그대로 전달됐다.

개인적으로 살리에르 단독 장면들은 연기도, 노래도, 표현도 나쁘지 않았다.

김찬오 젤라스와의 장면들도 상당히 임펙트 있었고....

이 작품.

어찌됐든 남자 배우들 섭외는 성공한 것 같다.

이 배우들이 아니었다면!

아마도 지금보다 훨씬 더 안 좋은 평가를 받지 않았을까 싶다.

어찌됐든 이 작품으로선 참 다행한 일 ^^

 

* 아마도 당분간은 <비스티 보이즈>의 충격을 넘어서는 작품은 쉽게 나오지 않을 것 같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