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2. 9. 21. 08:14

<쌍화별곡 (Song of Two Flowers)>

시 : 2012.09.11. ~ 2012.09.30.

장소 : 유니버설 아트센터

출연 : 김다현, 박완 (원효) / 김호영, 김순택 (의상)

        정선아, 이진희 (요석공주, 선묘낭자)

        정영주, 이성훈, 이종성

대본 : 이희준

작곡 : 장소영 

작가 : 이희준

연출, 안무 : 이란영

무대디자이너 : 오필영

제작 : 핀엔터테인먼트

 

연극 <꿈>에 이어 또 다시 원효와 의상 이야기다.

그리고 또 김다현이다!

갑자기 배우 김다현의 작품욕(?)이 범상치 않다.

<M.Butterfly>, <라카지>에 이어 <쌍화별곡>에 연달아 출연중이고, 이 작품 지방공연(대구, 부산)이 끝나면 또 다시 곧바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락 오브 에이지>로 이어진다.

그야말로 쉼없는 행보다.

확실히 군대를 가기 전과 후의 김다현은 좀 달라졌다.

뭐랄까, 조금 더 과감해지고 조금 더 강해졌다고 할까?

꽃다현이라는 이미지때문에 은근히 배역에 한계가 있는듯 했는데

지금은 그걸 많이 깨고 있는 중인것 같다.

무대를 책임지는 현명하고 아름다운 배우로 열심히 진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한동안은 배우 김다현이 표현하는 다양하고 광대부면한 캐릭터를 기대해도 돼지 않을까?

(진보적인 진화는 항상 아름답다,)

 

한중수교 20주년 기념으로 창작된 뮤지컬 <쌍화별곡>

이 작품은 서병구와 함께 뮤지컬 안무의 쌍두마차로 활약중인 이난영의 첫 연출 데뷔작이다.

그래서 작품에 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런데 실제로 보고 난 느낌은,

1막 첫 장면 "죽음이란 무엇인가"에서 신라 화랑들의 군무장면 말고는 눈을 확 끌어담기는 안무는 없었던 것 같다.

(전체적으로 뮤지컬 <불의 검>이 많이 생각났다. 왜일까?)

음악은 "나가수"로 더 유명해진 장소영이 맡았다.

어찌됐든 인정할 건 인정하자!

개인적으로 장소영의 뮤지컬 작곡 실력은 뛰어나다.

"형제는 용감했다"나 "피맛골 연가"처럼 이 작품도 뮤지컬 넘버들이 다양하면서 재미도 있다.

오히려 왠만한 후크송보다 금방 귀에 담기고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이희준의 가사도 참 좋다.

그리고 무대와 조명, 의상 빼놓을 수 없겠다.

요근래 본 창작 뮤지컬 중에서 제일 괜찮은 무대 구성과 장치였다.

이런 경우가 참 애매해진다.

하나하나를 따로 떼어내서 보면 괜찮은데

이게 한 곳에 모이면 이상하게 뭔가 조화가 살짝 어긋나는 느낌!

김다현도 다분히 라카지의 앨빈 느낌이 중간중간 강하고 들고

노래와 진행방식은 어쩐지 "피맛골 연가"와 "불의 검"을 떠올리게 하고...

 

배우들의 연기는 전체적으로 좋았다.

<화성에서 꿈꾸다>에서 눈여겨 봤던 김순택의 모습을 오랫만에 무대에서 확인한 것도 개인적으론 즐거움이었다.

지금 약간 슬럼프인것 같은데 이 작품이 바닥을 차고 일어선느 계기가 되길 바래본다.

연기가 노래를 따라가지 못해서 늘 안스러웠는데

의상역에서는 그래도 가능성이 보여준 것 같다 다행이다.

정선아는 좀처럼 실망이라는 걸 시키는 않는 배우라는 걸 또 다시 확인시켜줬고

노래가 조금 더 많았으면 하는 아쉬움까지 남겼다.

오랫만에 무대에 선 <빌리 엘리어트>의 마이클 이성훈은 솔이 역과 설총역을 또 너무 기막히게 잘 해줬다.

빌리때로 생각했지만 이 녀석 참 대단한다.

이 녀석이 무대 배우를 계속 하게 된다면 아마도 범상치 않게 크지 않을까?

아이인데 어른 찜쩌먹을 만큼 능청스럽게 연기를 잘한다.

그리고 노래도 빌리때보다 훨씬 더 잘 불러 놀랐다.

이 녀석의 미래...

많이 기대된다.

그런데...그런데...

유니버설 아트센터 2층의 음향은 정말 최악이다. 

대략 난감에 할 말이 없다. 

 

극을 너무 가볍게 끌고 간 게 조금 아쉽다.

좋은 뮤지컬 넘버들이 코믹한 상황과 대사들, 때문에 오히려 빛을 잃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깨어있으라", "새벽이 오네", "일체유심조, "무애가", "그 누가 위로해주나", "금강삼매경론"

생각나는데로 꼽아봐도 좋은 넘버가 이렇게나 많은데...

뭐랄까?

개인적으로 <피맛골 연가>보다 느낌이 훠~~얼~~씬 좋아서 그래서 아쉬움이 더 많이 남는다.

원효와 의상, 

신라시대의 지성이었다는 두 사람의 고민과 우정 꿈이 보여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동성애 느낌이 강해서 당황스럽다.

(다분한 선입견일지 모르겠지만...)

이 작품...

잘 됐으면 좋겠는데...

song through musical의 장점만을 더 부각시키고

너무 과하게 산재되어있는 코믹 요소들을 과감하게 쳐내면 좋겠다.

넘버가 너무 아깝다...

이 작품이 어떻하든 잘 살아남아서 정말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다면 좋겠다.

진심으로 이 작품이

깨어있어 차갑고 단단한 겨울밤을 뚫고 새벽을 맞이할 수 있길...

 

 

 

깨어있으라! 새벽처럼

살아있는 날 결코 길지 않으리니.

깨어있으라! 새벽처럼

문득 죽음이 다가오는 그 순간에도

깨어있으라.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1. 5. 9. 08:55


어쩌다보니 참 오래 묵혔다 쓰게 됐다.
너무 여운이 길고 깊어서?
안타깝게도 그 반대다.
이걸 써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다 그래도 본건데 몇 자 끄적여 보자는 맘에서...
용산에서 공연됐을 때는 그래도 평가가 좋았던 모양인데
(안봐서 당췌 모르겠고!)
대학로로 다시 넘어와서는 용산에서 만큼의 평가를 받기는 아무래도 어려울 것 같다.
공연 사진만으로 비교해도 규모 자체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 같고,
객석도 너무하다 싶을만큼 많이 비어있어 안스럽다.

사실 계획에 전혀 없던 관람이긴 했지만
그래도 조금 기대를 했던 작품이다.
일단 캐스팅도 괜찮았고 좋아하는 "Jazz"를 들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쁘지 않을거란 기대감이 있었다. 

거기다 대한민국 최고의 안무가로 알려진 서병구 선생이 연출과 안무를 맡았다니 그 신선함도 기대가 됐었고...
이 작품으로 작년에 뮤지컬시상식에서 안무상도 받았던 걸로 기억한다.
문종원, 전수미, 심재현, 문예신 그리고 올댓걸과 올댓보이...
 

 

다 보고 기억에 남는 건
멋진 재즈 댄스도, 멋진 재즈 음악도 아니라
조금은 민망하고 과하게 흔들어대던 올댓댄서들의 심하게 볼륨업 된 엉덩이였다.
좌석이 맨 앞인 탓도 있었겠지만
솔질히 불쾌감이 느껴질 정도의 안무였다.
무대와 객석간의 거리가 멀었다면 좀 달랐을라나???
안무가 전체적으로 너무 과하다 못해 차라리 그로테스크(?) 하다.
이걸 재즈댄스라고 하는 게 맞나?
정말 열심히는 추는데 뭐랄까 난발되는 기교 앞에서 처참하게 난사당하는 느낌이다.
지금 생각해도 등골이 다 오싹했다.
그리고 음악도 재즈스럽긴 했었나???
차라리 공연 시작 전에 대기하는 공간에서 연주하던 음악이 훨씬 더 좋았던 것 같다.
솔직한 심정은,
딱 낚인 것 같은 기분!


2010년에도 문종원이 이 역을 했다는데
어이없게도 참 라다메스적으로 연기를 하더라.
(제발 이날만 컨디션 난조로 그랬던거였길...)
그게 또 신경에 몹시 거슬렸다.
팔이 빠져라 흔들어도 결코 섞이지 않는 물과 기름을 보는 난감함이랄까?
뭔가 붕 뜨고 겉멋이 잔뜩 들어있는 느낌.
그래서 그 속에 예술가의 고뇌와 절망감 같은 게 드러날 틈이라고는 바늘 끝만큼도 없다.
오히려 양아치같은 느낌이랄까? (죄송... 하지만 정말 그랬어요.. ㅠㅠ)
전체적으로 다 문제긴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스토리가 너무 빈약하다는 거!
흔하디 흔한 칙릿 소설의 그렇고 그런 뻔한 러브 스토리.
그렇게 대놓고 심파로 가겠다 작정을 했다면
춤이라도 끝장이던가 아니면 음악이라도 끝장이던가 둘 중 하나로는 승부수를 띄웠어야 했는데
그것조차도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카메라맨 심재현의 감초같은 코믹 연기와
데이비드 문예신의 춤은 그런 중에도 눈에 들어오긴 하더라.


퓨전도 아니고, 동서양의 만남도 아니고
이걸 뭐라고 말해야 하나???
사실 보고나서 끄적이는데 한참을 망설인것도 
<All That Jazz>가 내게 준 정체성의 혼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이 뮤지컬에서 뭘 봤어야 했을까???
아직도 나는 혼란 속에 있다.

이제 그만 All That Jazz를 보여줘....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