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3. 10. 5. 16:07

<광부화가들>

일시 : 2013.09.13. ~ 2013.10.13.

장소 : 명동예술극장

극작 : 리 홀 (Lee Hall)

번역, 연출 : 이상우

출연 : 강신일(올리버), 김승욱(조지), 김중기(라이언), 민복기(해리),    

        채국희(헬렌), 송재룡 (지미), 이원호, 권진란, 김용현

제작 : 명동예술극장

 

2010년 명동예술극장에 올려졌을때 꼭 봐야지 하면서 놓쳐버린 작품이다.

다시 올려지길 기다리고 있었는데 고맙게도 더 매력적인 캐스팅으로 돌아왔다.

강신일 한 명 만으로도 망설일 이유가 전혀 없는 그런 작품.

연극 <레드>에 이어 두번째 화가 역할.

개인적으로 강신일의 대사톤을 너무나 좋아한다.

조근조근하면서 사람을 단번에 사로잡아 극 속으로 빨려들게 만드는 목소리.

그래서 강신일이 출연하는 연극은 꼭 놓치지 않고 보는 편이다.

그가 연말에 다시 <레드>의 마크 로스코로 돌아온단다.

강필석과 한지상과 함께...

덕분에 올 연말은 좋은 작품으로 마무리할 수 있겠다.

<광부화가들>은 강신일 뿐만 아니라 믿을 수 있는 극단 차이무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그래서인지 연극 <거기>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이상우 연출이 초연보다 전체적으로 유머러스하게 끌고 가고 싶었다는데 의도만큼 된 것 같다.

아주 무겁지도, 아주 가볍지도 않으면서 때때로 묵직한 뭔가를 던져준다.

보면서 계속 뮤지컬 <빌리엘리어트>가 떠올랐는데 역시나 리 홀의 극작이었다.

(사전 정보 전혀 없이 갔더니만...)

실제 광산촌 출신인 리 홀(Lee Hall)에게 광부와 광산의 이야기는 절대적인 트라우마이자 창작의 근원인 모양이다.

올리버 킬번을 연기한 배우 강신일의 인터뷰 내용도 아주 인상적이다.

 

“제가 2,30대였을 때 연기하면서는 배우 개인적으론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내 안에 어떤 이가 들어온다는 느낌을 받았던 적이 많았어요. 연극 속 ‘올리버’가 겪게 되는 비슷한 경험이죠. 이제 나이 50이 지나서 배우로서 그런 것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지만, 더 크게 발전을 시키지 못한 건 아닌가. 그 동안 영화나 드라마에서 여러 역을 맡으면서 너무 타성에 젖어있던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게 됐어요. 제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면서 연습하고 있습니다.”

 

작품을 보면서 나 역시도 유사한 질문들과 여러번 대면했다.

꼭 예술이 아니더라도...

꼭 정답이 아니더라도...

 

무대 위 3개의 대형 스크린으로 직접 그림을 보여주는 방식도 아주 흥미로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고흐, 세잔느의 명화들도 있지만

우드홀 탄광박물관이 영구 소장하고 있다는 실제 애싱턴 그룹의 그림 10점을 직접 볼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색감의 차이가 많이 나긴 하지만

정규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광부들이 그렸다는 그림은 충격 그 자체였다.

적어도 내 눈에 이들은 광부가 아닌 천재로 보인다.

"애싱턴 그룹(The Ashington Group)"은 1934년부터 1987년까지 꽤 오래동안 활동했던 실제 광부화가들의 그룹이다.

당시 이들이 영국 화단에 큰 충격을 안겨줬던 것 역시도 사실.

이 작품을 보면서 예술과 노동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했다.

만드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서도...

이들은 유명세를 탔음에도 불구하고 전업화가가 아닌 끝까지 광부라는 직업을 고수했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공포와 불안으로 가득한 어둡고 좁은 갱도를 파내는 일을 그들은 왜 그만두지 못했을까?

작품 속에서 지미(송재룡)가 10살에 처음 광부를 하면서 느낀 공포를 눈물로 회상하는 장면을 떠올리면서

나는 올리버 킬번의 선택이 이해되지 않았다.

그 역시도 결혼도 못한채 갱도에서 사망한 형의 처자식을 부양하는 입장이었다.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거절한 이유가

자신의 본질을 지키고 싶어서?

모르겠다.

나라면 헬렌(채국희)의 제안에 고민없이 당장 OK를 했을텐데... 

 

대사들이 가진 힘이 정말 어머어마하다.

어떻게든 이 작품의 대본을 구해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라이언 : 혹시 미술관에 가본 적이 있나요?

광부 : 우리, 이 동네를 떠나본 적이 없습니다!. 광부예요!

라이언 : 그럼, 그림을 본 적이 한 번도 없습니까? 평생?

광부 : 없는데요!

 

헨리 : 아름다움이라고요? 농담해요? 이 동네에 살아 봤어요? 이 동네 삶에 아름다움이라는 거 없어요!

라이언 : 예술은 나 자신이예요, 예술은 나 자신을 아는 거예요.

 

데이트 미술관 견학 장면에서 고흐의 그림앞에서 광부화가들이 나눈 대화는

개인적으로 이 작품의 정점을 찍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조지 : 반 고희의 "방"을 보고 있으면 그냥 구경하는 느낌이 아니야!

지미 : 그래, 고흐 머릿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었어!

올리버 : 반 고흐가 말하는 거 같았어. "예술은 생활이다"

헨리 : 진정한 예술은 나누는 거야. 예술은 주인이 없어!

올리버 : 우리 자신을 변화시키는 거야. 바로 그게 예술이야!

 

이 작품은 자연스럽게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게 만든다.

작품 자체의 진행(과정)도, 배우들이 연기하는 방식(과정)도 정말이지 너무나 아름답고 황홀했다.

고의의 "별이 빛나는 밤"같은 작품이었다.

오랫동안 내 속에 밝게 빛날 그런 작품.

다행이다.

긴 여행 후 첫관람한 작품이 이 작품이어서...

노곤한 여독의 피로를 이 작품이 제대로 풀어줬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2. 12. 7. 08:43

<거기-이것이 차.이.다2>

부제 : 거기, 그 여자가 왔다, 난리가 났다.

일시 : 2012.09.07. ~ 2013.02.24.

장소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3관

원작 : 코너 맥퍼슨 (Conor McPherson) "The Weir"

개작, 연출 : 이상우

제작 : (주)이다엔터테인먼트, 극단 차이무

출연 : 강신일, 김승욱, 김중기 (장우)

        이대연, 민복기, 이성민 (춘발)

        정석용, 오용, 송재룡 (진수)

        박상우, 진선규, 김훈만, 류제승 (병도)

        송선미, 김소진, 오유진 (정)

 

2012년 차이무와 이다의 합작 연극 프로젝트 그 두번째 작품 <거기>.

참 예매하기 어려운 작품이었다.

TV 드라마 "추적자"의 강신일, "골든 타임"의 이성민, 정석용, 송선미까지 합세하면서 이 네 배우가 캐스팅된 날은 그야말로 광클의 전쟁터였다.

네 배우의 조합까지는 바라지도 않았지만 강신일, 이성민의 모습은 보고 싶었다.

다행히 어쩌다 눈 먼 자리가 생겨 네 배우 조합을 예매하면서 사실 좀 놀랐다.

솔직히 뭔가 횡재한 듯한 느낌도 들어서 기분도 좋았다.

나중엔 문자로 진수 역이 정석용에서 송재룡으로 변경됐다는 연락을 왔는데 그래도 땡큐한 캐스팅이었다.

게다가 송재룡 진수는 이 작품 속에서 정말로 연기의 "진수"를 보여줬다.

그런데 이분 정말 폭탄주 하신 건 아닐까???

의심을 확신으로 믿게끔 만든 연기라서 지금까지도 솔직히 음주 여부가 심하게 의심스럽다. ^^

얼굴도 점점 벌게지고...

 

부채끝 마을 세 명의 아저씨들과 한 명의 총각.

김정이라는 외지여자가 이사오면서 다섯명이 병도의 카페에 모이게 된다. 

한 여자로 인해 네 남정네가 쏠리고, 끌리고, 휘몰리는 모습이라니!

이제 사춘기가 막 접어든 남학교에 예쁜 여선생님이 찾아온 느낌이랄까!

도대체 이 아저씨들 이렇게 귀여워도 되나 싶다.

큰 파도도 아니고 소심한 파도들이 여기저기에서 우루루 찰싹 찰싹 밀려온다.

능청스런 연기와 표정들.

너무나 자연스럽게 불시에 튀어나오는 애드립까지...

급기야 이성민 배우의 갑작스런 사리걸림에

공연하는 배우들까지 웃음보가 터지고 말았다.

이 장면 외에도 과하지 않은 숱한 애드립으로 배우와 관객이 참 많이 웃었다.

작품 자체도 재미있지만,

역시나 배우들의 실생활같은 리얼한 연기는 보는 내내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마치 연극을 보고 있는 게 아니라

토막이들이 사는 시골 동네에 몰래 끼어 앉아 그네들 말을 옆에서 듣고 있는 느낌이다.

애드립을 애드립으로 맞받아치면서

돌발적인 상황에도 당황하지 않고 재치있고 순발력있게 대처하는 모습이 참 대단들했다.

누구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튀기 위해 기를 쓰는 게 아니라

완전히 아우려저서 한 덩어리로 작품을 끌고가는 모습은

작품의 내용보다 훨씬 더 진하고 감동적이었다.

그야말로 고수들이 보여주는 능청과 관록의 대향연이었다.

연극판에서 오래 고생하며 단련된 사람들이 갖는 신비함과 합(合)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아마도 TV 드라마의 인기가 큰 힘을 발휘했겠지만

원래 연말까지 예정되어 있던 이 작품이 내년 2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단다.

몇몇 배우들이 빠지긴 하는데

(그런데 그 빠지게 되는 배우들이 대부분 한창 유명세를 타고 있는 이분들이시다....)

작품 자체도 나쁘지 않으니까 객석이 비지는 않을 것 같다.

실제로 출연 중인 다른 배우들도 다들 연극판 관록과 경력이 만만치 않다.

(차이무 아닌가!)

어떤 캐스팅으로 보든

네 아저씨들이 구사하는 복작복작한 강원도 사투리의 매력에 아마도 풍덩 빠지게 될테다.

술한잔 못 마시는 나조차도 시원한 맥주 한잔이 간절해지는 그런 작품이었다.

것도 병따개가 아니라 손으로 돌려서 따는 맥주!

(그런데 이거 진짜 술 아니었을까?)

 

엄마할머니 집을 지나는 귀신 다니는 길을 따라

귀신들이 단체로 어깨동무하고 나온다는 부채끝 마을.

이 수다스런 아저씨들 만나러 금방이라도 달려가고 싶다.

귀신 이야기이 한아름 안고,

술이랑 안주 잔뜩 싸들고 병도의 카페에 들어서는거다.

장우의 톤으로 "생맥주 없나?" 한마디 하고 은근슬쩍 긴테이블 한 자리에 끼어앉으면...

어쩌나!

갑자기 현실감 무지하니 느껴진다.

어랍쑈! 진수가 들어오더니 카지노 얘기를 한다.

(지난번처럼 240만원 땄단다...)

조금 있으니까 춘발과 정이 찬바람과 함께 들어온다.

돌려따는 맥주가 냉장고에서 꺼내지고

정을 위해 복분자가 아닌 와인을 찾으러 병도가 급하게 집으로 뛰어간다.

와! 정말 살 맛 난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