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10. 31. 08:32



아름다운 한 편의 시였다.
두고두고 눈에 아른거리는 묵향 가득한 단백한 수묵화였다.
마음을 그대로 훔쳐서 그 자리에 멈추게 하는 음악이었다.
숨통을 쥐고 흔드는 애뜻한 몸짓이었다.
여백이 그대로 몸 속을 울리고 마침내 오래 머무는 대사들이었다.
<바람의 나라>는 그랬다.
확실히 <바람의 나라> 무휼펀은 그랬다.
내게는 충격에 가까운 파격이며 세상에 다시 없을 반전이었다.
그런데 어쩌자고 호동편을 이렇게 만들었냔 말이다.
일말의 예의도 없이 전편의 그 장중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을
어쩌자고 이 정도로 송두리째 무너뜨릴 수 있느냔 말이다.
이건 거의 재앙 수준의 파괴고 몰염치한 퇴보다.
미안하다.
도저히 이렇게 밖에는 말 할 수 없어서... 나도 민망하고 미안하다.
차라리... 차라리...
무휼편을 다시 올리지...
그랬다면 그동안 <바람의 나라>를 목마르게 기다렸던 사람들이
오랫만에 해갈(解渴)의 기쁨을 맞봤을텐데...
아! 정말 절망적이다. 
심한 피곤과 노곤함 때문에 앉아있는 내내 힘들었다.



개인적으로 유희성 연출이 요즘 참 너무하다 싶다.
<바람의 나라> 호동편도 유희성 연출의 전작 <피맛골 연가>만큼 황당하다.
왠지 어디서 본 듯한 장면들이 많고
극의 분위기는 너무 발랄하다못해 경박의 수준까지 도달했다.
격조까지 바란건 아니지만,
그래도 무휼편의 감동을 이렇게 삭막하고 무자비하게 깎아버리지는 말았어야 했다.
아니면 차라리 <바람의 나라>라는 타이틀을 버리는 게 옳았다.
그랬다면 무률편에 애절함을 마음에 담고 있던 사람들이
지금처럼 배신감을 느끼지는 않았을텐데...
유희성 연출은 인터뷰에서 <피맛골 연가>에 이어 한국적인 요소를 담았다고 했다.
이런 경박함과 번잡스러움이 정말 한국적인 요소가 맞나?
무률편의 전투씬이 얼마나 장중하고 절박했는데...
그런 애타는 감정과 그 감정의 공유가 호동편에서는 전혀 드라나지 않았다.
메튜본의 백조의 호수를 떠올리게 하는 국적불명인 의상을 걸친(?) 호동의 신수(身守) 봉황은
그대로 나이트클럽에 가서 스피커를 붕등켜 안고 격한 춤을 춰도 되겠다.
누군가는 그러더라.
그 복장 그대로 <미스 사이공>에 바로 투입되도 되겠다고...
왕의 운명을 상징하는 신령한 신수에게서 닳고 닳은 작부의 이미지가 풍겼다면?
그렇다면 차라리 제대로 농염하기라도 하던가!
봉황은 호동을 지키는 신수가 아니라 호동을 유혹하기위해 싸구려 몸짓을 난발하는 요괴가 되고 말았다.
(제일 고생하긴 했다. 그 무거운 속눈썹을 깜박거리면서 한쪽팔을 들고 온몸을 끊임없이 배배 꼬느라고...)
음악도 귀에 들어오는 건 두어곡 밖에 안 되고.
더더군다나 난데없는 초등학교 학예회같은 음악들이 너무 자주 나와 정말 심장이 덜컹덜컹하더라.
스토리는 또 어찌나 빈약하던지 차마 눈뜨고 못보겠더라.
결국 광녀(狂女)가 되어 아비의 칼에 죽는 사비의 모습은 순간 개그콘서트로의 완벽한 빙의가 이루어진다.
헛헛한 웃음....
확실하게 꽃이라도 달던가...
아! 정말 심장이 여러번 덜컹거려 이 작품 도저히 두 번은 못보겠다.
높은 원통의 단위에서 "낙랑의 깃발을 가져오라!"며 호동을 고무시키던 사방신의 모습은 또 어떤가? 
레이스와 원색으로 치장된 옷은 <피맛골 연가>에 이어 또다시 롯데월드 페러이드를 떠올리게 했다.
특히나 고미경이 입었던 의상은 "인어공주"의 문어 마녀를 떠올리게 한다.
사방신에 문어가 새롭게 포함됐다는 소식 듣어본적 없고...
급기야 원색의 미역줄기 의상 사이사이로 레이저가 불꽃처럼 춤추는 장관이 연출될까봐 정말 조마조마했다.
허무하다.
속상하다.
그리고 화가 난다.
그대로 소리내서 억울한 통곡이라도 하고 싶다.
엉~~엉~~
서울예술단의 그 아름다운 <바람의 나라>는
정녕 어디로 사라져버렸는가 말이다!
흔적도 없이...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1. 10. 27. 08:06

<꿈속의 꿈>

일시 : 2011.10.08. ~ 2011.10.28.
장소 :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출연 : 길해연, 문형주, 장용철, 강일, 송현서, 이혜원 외... 
제작 : 극단 작은 신화
연출 : 신동인

개인적으로 극단 작은 신화의 작품들을 좋아한다,
내 기억이 맞다면 올해만해도 이미 여섯 작품이나 무대에 올렸고, 내가 본 작품만도 세 작품이나 된다. 
<돐날>, <황구도>에 이어 <꿈속의 꿈>까지.
세 작품 모두 독특했고 상당히 괜찮았다.
벌써 창단 25주년이 됐다는데 그 저력이 대단하고
끊임없이 창작을 발표하는 노력에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다.
11월에도 <해뜨기 70분 전>과 <우주인> 두 개의 창작이 또 공연될 예정이다.
참 부지런하고 건실한 행보 ^^

<꿈속의 꿈>
2008년 서울연극제 대상, 희곡상, 연기상을 받았던 작품.
2010년에 보고 싶었던 걸 놓쳤는데 다행히 올해에는 시간이 맞았다.
특히나 드라마센타는 내게도 향수와 추억이 있는 장소라 찾아갈 때마다 좀 묘한 기분이 젖게 된다.
많이 변했다는 적요감(寂擾感)?
그런데 가장 많이 변한 게 다름 아닌 나라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래, 이 곳에서 철학개론 수업을 들었었지!'
옛기억이 꿈처럼 떠오른다.
나 역시도 꿈속의 꿈에 빠져버린거다.
참 아득하고 먼 기억이구나 싶다.



2011년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선정작" <꿈 속의 꿈>
(이해하기 절대 어려운 프로젝트다.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는데 거의 언어유희 수준의 조합이다.)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는
총 5명의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추천위원의 추천을 받은 17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가 이루어진단다.
5명의 외부전문가가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 작품이 중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아 선정됐다고 한다.
작은 <삼국유사> 속의 "매몽설화"를 재조명한 작품이다.
"매몽설화"는 ‘춘추공(김춘추)’과 김유신의 두 여동생 ‘보희’, ‘문희’의 이야기다.
언니인 ‘보희’는 어느날 꿈을 꾸게 된다,
서학에 올라서 오줌을 누는데 그 오줌이 온 나라 안을 가득 채웠다는 내용의 꿈.
동생 ‘보희’는 언니에게 자신이 입고 있던 치마를 벗어주고 그 꿈을 산다.
그리고 ‘김춘추’의 배필이 됐다는 이야기.
연극은 ‘김유신’과 ‘김춘추’의 욕망에 이용당한 두 자매의 삶에 초점을 맞춰진다.
무대는 어딘지 음험한 무덤 속 같고 스멀스멀 기분나쁜 귀기(鬼氣)가 느껴지기도 한다.
중간중간 조그많게 들리는 빗소리도 착시효과를 준다.
(실제로 이날 비가 와서 처음엔 바깥에서 들리는 빗소리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음향효과더라.)
섬득섬득 이 세상이 아닌 곳 같은 느낌.
조명과 음악, 음향이 너무 효과적이었고
무채색의 의상은 담백한 수묵화를 보는 느낌이다.
그 옷이 또 조명과 만나면 마치 시신을 감싼 수의(壽衣)같다.
대사는 때로는 칼같고 때로는 시같다.
난장(亂場)같기도 하고 제의(祭意)같기도 한,
현재같기도 하고 과거의 회상같기도 한,
이승같기도 하고 저승같기도 한,
몽환적이지만 그렇다고 비현실적이지도 않다.
어떻게 이런 느낌의 작품을 만들었을까?

 
장중하면서도 해햑이 있고
그림자 인형극같은 서글픔도 있다.
무엇보다 엄청난 몰입으로 작품을 끌어가는 배우들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웠다.
억지를 쓰자면 동생 문희역의 길해연이 언니 보희역의 문형주보다 훨씬 노숙한 느낌이라서 민망한 정도 ^^
문희와 젊은 화랑과의 모습도 살짝 유한 부인과 미소년같기도 하고...
그러나 길해연의 독특한 어투와 톤은 나이든 문희 역에 적격인 것 같다.
<기묘여행>에서 코디네이터였던 장용철.
<기묘여행>에서 그의 톤이 하도 독특해서 아마 어떤 역을 하든 그 톤은 변하지 않을거라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톤을 보여줘서 놀랐다.
그래도 장용철의 독특한 톤이 김유신을 살짝 사악하고 모사꾼같은 인물로 보이게 하더라.
그게 나빴다는 의미는 아니고 작품과는 잘 어울렸다.
이번 공연에서는 극중극의 형태로 광대들의 난장 부분이 새롭게 추가가 됐단다.
그런데 이게 또 별미(別美)다.
너무 진중하고 무거운 내용인데 이 부분이 나오면
이야기가 쉽게 정리되면서 오히려 극의 흐름까지도 전화시킨다.
그것도 과하거나 유난스럽지 않게.

개인적으로 이런 한국적이 작품들이 많이 창작됐으면 좋겠다.
대사를 조금 쉽게 풀 수 있다면 이런 류의 작품들은 이방인들에게 엄청 신선하게 느껴질거다.
실제로 이날도 외국인이 꽤 관람하고 있어서 놀랐다.
특히나 한국적인 소재의 작품은 색채와 조명으로도 느낌 전달이 용이해서
여러가지로 impact 줄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라고 했던가?
조산아(早産兒)를 인큐베이터에서 건강한 아이로 키워내듯
이 작품이 좋은 양분과 좋은 지원을 받아 무럭무럭 잘 육성됐으면 좋겟다.
그러면 정말 "꿈꾸는 인큐베이터"가 될텐데!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