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9. 2. 05:36


<Rent>
일시 : 2011.08.28 ~ 2011.10.09.
장소 : 충무아트홀 대극장
출연 : 강태을(로저)/브라이언(마크)/김지우(미미)/ 김경선(조앤)/
        조진아(모린)/박주형(엔젤)/이든(콜린)/서승원(베니)
연출 : 박칼린
대본, 작곡 : 조너선 라슨

참 대단한 뮤지컬을 보고 왔다.
내 기억 속의 <Rent>를 속속들이, 무참하게, 구석구석, 샅샅히, 아낌없이 완벽하게, 예의도 없이 망쳐버린 2011년 <Rent>.
이건 어느 것 하나가 문제가 아니라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충무아트홀 대극장에서 <Rent>가 공연된다고 했을때 걱정스럽긴 했는데 그게 이렇게 구체적으로 거대하게 현실화되니 참 암담하다.
작곡가 조너선 라슨이 지금 공연되는 <Rent>를 봤다면 무덤에서 벌떡 일어나겠다.
(다시 대동맥이 파열될지도...)
이게 정말 내가 젊은 시절을 다 바쳐 만든 그 작품이 맞냐고...

2002년부터 음악 감독으로 참여했던 박칼린이 연출로 나서면서 말했다.
“전에 표현하지 못했던 스토리를 더 많이 보여주고 싶었다. 캐릭터의 배경과 그 친구들이 어디를 향하는지, 깊은 감정을 표현하려 했다”
연출과 배우가 완벽하게 따로 노는 뮤지컬을 만들어놓고 이런 말을 할 수 있다니...
욕심이 과했거나,
<Rent>를 너무 잘 안다고 과신했거나 
그것도 아니면 <Next to normal> 연습에 너무 치중했거나다.
아! 무지 화난다.
<Rent>의 그 주옥같은 넘버들을 단 한 곡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장면을 목격하고 있자니
어이 상실을 넘어 분노 게이지 상승이다.
어쩌다 <Rent>가 코믹버전의 막장으로 재해석(?)되는 비운을 겪게 됐을까 싶어 애도의 심정마저 생긴다.





박칼린 연출은 캐스팅 당시 역대 최고의 캐스팅이라고 자신했지만
미안하게도 보고 난 느낌은 역대 최악의 미스 캐스팅이다.
그나마 봐줄 수 있는 인물은(정말 "그나마"다) 전혀 기대하지 않았더 김지우(미미)와 조진아(모린) 정도.
역대 <렌트>와 따져보면 꼭 그런 것도 아닌데
지금껏 공연된 <렌트> 중에서 최고의 고령화 <렌트>가 탄생됐다.
가난에 찌른 젊은 예술가들이 아니라
젊지도 않고 예술가도 아닌 그냥 찌든 사람들, 그 자체다.
(<렌트>를 보면서 이런 느낌을 받는다는 게 가능해?)
 
브라이언(마크)의 발음은 김조한이나 박정현을 떠올리며 억지로 참아준다고 해도
(그런데 자막 넣어줬으면 정말이지 골백번 감사하겠다)
강태을(로저)의 안스럽던 노래와
본인은 시크하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시종일관 변함없이 한 우물을 파던 일관된 표정은
저 사람이 과연 배우가 맞나 의심스럽게 한다.
경력이 꽤 됐음에도 불구하고 어쩜 볼 때마다 한결같이 나를 어이없게 만드는지...
(그래서 기본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나보다. 기본기부터 어떻게 다시 안 되겠니???)
김호영 엔젤과 성기윤 콜린이 얼마나 완벽하고 아름다운 커플이었는지
박주형과 이든을 보면서 골백번 느꼈다.
엔절이 죽는 장면은 또 어찌나 사이버틱하던지...
어제 공연이라면 앤절은 요양원이 아니라 정신병원에서 죽은거다.
(몰라! 알 수가 없어!)
김경선 조앤도 대략 난감이다.
역할 자체에 너무나 어울리지 않아 수시로 당황스러웠다.
김경선과 조진아가 김선영 모린과 김영주 조앤의 1/10 만큼만 해줬어도 이렇게 암담하고 당황스럽진 않았겠다.
미미의 시원하다못해 천박한 옷은 또 어떻고...
정말이지 쓰고 있는 나도 미치겠다!
어떻게 눈에 보이는 게 다 "아! 옛날이여~~"를 읊게 하는가 말이다.
(정말 이러기도 힘들다)

 

내가 아담 파스칼과 안소니 랩의 연기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그래도 무대에 올렸는데 기본은 해줘야하지 않나?
그것도 <렌트>인데....
2007년 조승우 로저 <렌트>를 보면서도 2% 부족하다고 느꼈었는데
2011년 <렌트>에 비교하면 2007년 아주 훌륭하고 완벽하다고 칭찬할만 하다.
앉아서 보고 있는데 도저히 박수를 칠 수가 없더라.
(심지어 <랜트>를 보면서 졸기까지 했다)
어쩌면 주연 배우들 사이에 발란스가 그렇게 안 맞던지...
오히려 앙상블이 백배는 더 잘하더라.
그리고 앙상블을 돋보이도록 연출한 박칼린의 연출력은 인정!
(이것 하나만!)
런 로저에 조형군 마크, 윤공주 미미가 이날 공연자들과 얼마나 다를지는 모르겠지만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투껑보고 놀랄까봐
도저히 두 번은 못 보겠다.
도대체 이들은 <렌트>를 어쩌자고 이 모양으로 만들어버렸을까!
아이고~~~
정말 막막하다!
"탄탄해진 스토리와 강력해진 음악으로 돌아왔다"는데
돌아온 애들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걸까?
혹시 렌트해줬나???



- OST

1. Seasons Of Love 
2. Rent
3. One Song Glory
4. Light My Candle
5. Today 4 U
6. Tango: Maureen
7. Out Tonight
8. Santa Fe
9. I'Ll Cover You
10. La Vie Boheme A & B
11. I Should Tell You
12. Take Me Or Leave Me
13. Without You
15. What You Own
16. Finale B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1. 2. 8. 05:54
2005년 LG아트센터 초연 당시 참 많이 망설이다 지나친 공연이었다.
장장 8개월이라는 대장정이었는데...
옥주현, 문혜원이 아이다 더블 캐스팅이었고 라다메스는 이석준과 이건명.
조세르는 이정열, 성기윤, 암네리스는 배혜선, 유채정이었다.
솔직히 옥주현이라는 가수에 대한 선입견때문에 <아이다> 관람을 포기했었다.
5년이 지난 지금,
이제와서 <아이다>를 보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원캐스팅이라는 매력때문이기도 하다.
국내협력 연출자인 박칼린은 극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원캐스팅을 고집했다는데 
정말이지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아이돌까지 가세하면서 더블에 트리플, 쿼드까지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요즘은
관객뿐 아니라 앙상블들에게도 죽을 맛을 안겨준다.
그런 의미에서 3개월이 넘는 공연 기간을
김우형, 옥주현, 정선아, 문종원 원캐스팅으로 끌고간다는 게 결코 쉬운 결정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세상에 정말 이런 사랑이 있을까?
누군가와 함께 하기 위해서 모든 것을 내던지는 그런 사랑.
하긴 라다메스도 "Not me"에서 스스로 인정하더라.
자신도 몰랐다고, not me ~~ not me ~~
Every Story is A Love Strory.
암네리스 정선아의 노래로 시작되는 아이다는 확실히 오프닝부터 귀를 확 끌어잡는다.
초연의 배혜선의 암네리스를 보지 못해서 알 수 없지만
정선아의 암네리스는 탁월한 선택이다.
싱크로율 100% 그 이상이라고 말하고 싶다.
시원시원한 가창력과 거침없는 철부지 공주 연기는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그녀가 "롸~~다~~메~~스"를 외칠때면 그 모습이 어찌나 사랑스럽고 귀엽던지...
그런 그녀가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비밀스런 사랑을 목격한 후 "I Know The Truth"를 부르는 모습은
"My Strongest Suit"를 부르는 철없고 화려한 공주의 모습과는 또 완전 딴판이다
그 노래를 들으면서 암네리스 참 불쌍한 여자구나...
진심으로 위로해주고 보듬어주고 싶었다.



옥주현의 아이다는 전체적으로 아주 훌륭했다.
감정선이 실린 노래들도 너무 훌륭했고 딕션 역시나 정확했다.
(도대체 누가 이 역할을 옥주현과 더블로 하고 싶을까?)
연기적인 면에서 조금 더 완숙해진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옥주현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선입견이 조금씩 열리는 느낌이다.
"Dance Of The Robe"에서 누비아 백성들을 향해 다짐하며 부르는 격정적인 보컬과
"The Gods Love Nubia"는
거룩하고 신비로움에 제의적인 느낌까지 갖게 한다.
(내 몸은 찢겨져도 내 혼은 불타올라~~)
2막 사막의 무덤에 생매장 되기 전에 부르는 "Elaborate Lives"
1막에서 라다메스가 메인으로 부르는 이 노래를 2막에서는 아이다가 메인으로 부른다.
애절하고 절절하고 그리고 안타까운 옥주현의 목소리는 모든 감정들을 하나씩 하나씩 쏟아낸다.
천천히 물이 흐르고 그 물에 다시 몸 전체가 천천히 젖어드는 것 같이 아득해진다.
(나 또 울컥했다. 이 부분은 정말 슬프더라)
누비아 동포를 위해 라다메스를 잊겠다고 결심하면서 부르는 넘버 "Easy As Life"
옥주현은 아이다의 심정을 그대로 담아 노래한다.
<아이다>라는 뮤지컬을 통해 지금 나는 비로소
가수가 아닌  배우로서의 옥주현을 느끼고 있는 중이다.
상당히 충실하구나, 그리고 배역에 정말 깊이 몰두하고 있구나가 진심으로 느껴진다.




<지킬 앤 하이드>, <미스 사이공> 등 굵직한 작품을 많이 한 김우형의 라다메스.
라다메스를 맡은 배우는 4~5시간씩 매일 운동을 해서 몸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일단 그런 점에서 김우형은 축복받은 몸이다.
(물론 본인은 부단히 노력해서 만든 몸이겠지만)
"Fortune Favors The Brave"를 부를 때는 괜찮은데
안타깝게도 아이다와 듀엣을 부를 때는 목소리가 거칠어서 감미롭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게 단점이다.
소리를 쥐어짜면서 부른다고 느낀 건 비단 나 혼자만은 아닐거다.
1막에서 아이다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Elaborate Lives"가 더 절절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다.
아담 파스칼과 헤더 헤들리의 듀엣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다행히 후반부에 옥주현 목소리가 덧입혀지면 격정적인 러브테마가 된다.
옥주현의 힘인지, 두 사람의 발란스인지는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가사처럼 정말 안타까웠던 "Radames' Letter"에서 김우형의 쥐어짜기는 좀 안습이었다.
(짧지만 정말 중요한 넘버였는데...)






엘튼 존의 음악과 작사가 팀 라이스의 콤비로 탄생한 뮤지컬 <아이다>
두 사람은 <라이온 킹>으로 이미 큰 성공을 거둔바 있다.
<아이다> 역시도 2000년도에 브로드웨이 초연되면서 파란이 되기도 했다.
그해 토니상 작곡상 외에 3개를 차지했고, 그래미 상에서도 베스트 뮤지컬 앨범상을 수상했다.
그래서 꼭 뮤지컬을 직접 보지 않고 OST만 듣더라도 넘버들이 전부 다 귀에 쏙쏙 들어온다.
아담 파스칼과 헤더 헤들리의 보컬은...
참 꿈처럼 달콤하고 아름답다.
헤더 헤들리의 아이다는 뭐랄까 좀 더 강하고 혁명가적인 느낌이고
옥주현의 아이다는 사랑과 동포, 조국애로 끝없이 고민하는,
훨씬 더 모성적이고 여성적인 느낌이다.
(그래서 막판 비극적인 결말에서 그 슬픔이 더 배가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Easy As Life"는 헤더 헤들리보다 옥주현 버전이 더 애절하고 슬프다.
더불어 아담 파스칼과 옥주현이 "Elaborate Lives"를 부른다면 정말 아름다울 것 같다는 개인적인 바람도 잠깐 ^^




2005년 국내 초연당시 <아이다>는 무대와 의상때문에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브로드웨이 Palace Theater에서 공연되었던 <아이다>의 무대와 의상을
공연이 끝난 후 그대로 한국으로 공수하는 이력을 세워서...
지금은 심심치 않게 그렇게 하고 있지만
브로드웨이 본 무대와 의상을 직접 공수해서 공연한 건 <아이다>가 최초였다,
무대 셋업만도 자그만치 6주의 시간이 걸린단다.
그래서 대극장에서도 선듯 대관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은 작품이라고...
우리나라에도 5년이 지나서야 성남아트센터가 고마운 결정을 해서
6주간의 무대 셋업을 마치고 <아이다>는 원케스팅의 향해를 과감히 시작했다.
(성남아트센터 음향을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미스 사이공>과 <아이다>를 보면서 선입견이 좀 깨졌다)
개인적으로 옥주현이 몸관리를 계속 잘 해줬으면 좋겠다.
120% 환불의 불운이 다시 없기를 바라는 게 아니라
옥주현이 아니면 <아이다>가 의미가 없을 것 같기 때문에...
놀랍게도 뮤지컬 배우로서의 옥주현의 존재감이 이 정도까지다.
그리고 그건 확실히 이유있는 존재감이다.
(좋겠다. 그녀 ^^)




공중의 수영장에서 2명의 여자가 수영하는 장면,
화려한 패션쇼를 방불케 하는 "My Strongest Suit"는 눈을 황홀케 했다.
3분 30초 동안 4.2초마다 조명이 바뀐다는 "Another Pyramid"
(무대감독은 무래 50여회의 큐싸인을 보내야 한단다)
검정과 붉은색 두 가지 색감만으로도 엄청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게 신비롭기까지 하다.
박물관에서 시작되는 처음과 마지막 모습도 인상적이고
두 연인이 무덤 속에 갇히면서 사각의 틀이 조금씩 작아지는 엔딩 모습도 아련하고 어쩐지 신화적이다.
무대 연출과 매커니즘이 화려함과는 또 별개로 아주 신비롭고 새롭다.
조명과 의상, 무대 배경도 전체적으로 아주 조화가 잘 됐고...
그렇다고 시종일관 엄청난 셋트로 물량공세를 하는 것도 아니고 화려한 색채의 향연이 내내 펼쳐지는 것도 아닌데
시선을 끄는 매력이 분명히 있다.
재즈, 팝, 락, 포크송, 블루스, 가스펠까지 아우르는 엘튼 존의 음악도 
그 다채로움이 주는 묘한 조화가 신비감까지 느껴진다.
따지고 보면,
참 그렇고 그런 뻔한 love story일 뿐인데...
그걸 알면서 점점 <아이다>에 현재진행형으로 빠져들고 있는 중이다.
아직도 사람들은 진정한 사랑을 여전히 꿈꾸는 건가?
그래 어쩌면 정말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다 사랑 이야기인지도 모르겠다.
<아이다>의 처음과 끝이 Every Story Is A Love Story 인 것 처럼 어쩌면 그게 정말 진실인지도...
아이다,
그 뻔하고 뻔한 사랑 이야기가 참 아프다.
성남까지 너무나 멀고 먼 여정이지만 어쨌든 꼭 다시 만나고 싶은 작품이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