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2. 7. 13. 08:05

드디어 <토지>를 완독했다.

그야말로 방대한 분량이었고 장구한 역사였고 대단한 노고였다.

<태백산맥>, <장길산>, <아리랑> 처럼 10권으로 된 대하소설을 읽고 나서도

한참이나 그 뿌듯함과 마치 뭔가를 해낸 것 같은 기분을 들게 하는데

토지는 무려 21권의 분량이었다.

작가 박경리가 문학적으로 어떤 일을 해낸건지

읽으면서 그 경외감이 들었다.

박경리는 위대한 사람이다.

단지 <토지>를 탈고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미 범인일 수 없다.

내 기억에 드라마도 두 번 제작됐던 것 같다.

1980년대 KBS에서 제작했었고 그 때 서희 역을 최수지였다.

(지금 뭘하고 사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2004년 SBS에서 제작했었고 김현주가 서희 역을 했었다.

드라마에 대한 기억은 그러나 전혀 없다.

작가 박경리는 문학을 업으로 삼는 후배들에게 참 많은 것을 남겼다.

지금도 원주에 있는 "토지문학관"에는 매일 박경리가 김매던 논밭을 보며

열심히 글을 쓰고 있는 작가들이 많으리라.

둥지 속에 있는 어린 새처럼.

 

 

...... 외치고 외치며, 춤을 추고, 두 팔을 번쩍번쩍 쳐들며, 눈물을 흘리다가는 소리 내어 웃고, 푸른 하늘에는 실구름이 흐르고 있었다  .......

 

장구한 <토지>의 21권의 마지막 문장이다.

오랜 억압이 일시에 풀렸을 때 사람들은 어떤 심정이 될까?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나는 맥이 순간 빠져나가는 느낌이었다.

장중하고 비장한 마무리를 예감했던 것도 아닌데

평사리의 최서희가 되버렸다.

온 몸을 위감은 쇠사슬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땅에 떨어지는 느낌.

후련하면서도 아득했다.

일시에 혼백이 잠시 몸을 빠져나간듯한 혼몽함.

그래서 일부러 다른 책을 얼른 펼쳤다.

빠져나와야 할 것 같아서... 

<토지> 5부작은 참 이력도 분분하다.

1부는 1969년부터 1972년 9월까지 "현대문학"에 연재,

2부는 1972년 10월부터 1975년 10월까니 "문학사상"에,

3부는 1978년부터 "주부생활"에 연재

4부는 1983년부터 "정경문화"와 "월간경향'에 나눠서 연재

5부는 1992년부터 "문화일보"에 연재해서 1994년 8월 15일 완결됐다.

무려 25년 동안 6개 문예지와 잡지를 거쳐온 셈이다.

이 긴 시간동안 이야기의 흐름을 놓지 않고 산다는 게 어떤 느낌일까?

때론 지긋지긋했을테고 때론 감당하기 버거울 수도 있었겠다.

잉크를 채우는 만년필로 원고지에 꾹꾹 자필로 이야기를 엮었을 박경리의 손끝이 마냥 위대하고 신성스럽다.

10병 중 8병의 잉크를 다 쓰고 열리지 않은 2병의 잉크를 사용하기 위해

박경리는 뚜껑에 송곳을 대고 구멍을 뚫었단다.

그러면서 안심했단다.

그 심정 감히 불경스럽게도 조금 이해가 된다.

개인사도 결코 수월하지 않았던 박경리.

아마도 그는 다른 세상에서도 이곳에서처럼

자신이 키운 고추를 타고 갈무리하면서 만년필을 꾹꾹 눌러 글을 쓰고 있지 않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문학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면,

그가 누구든그들의 인생엔 아무런 죄 없다.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11. 3. 28. 06:35

조정래의 1970년대  초기작품을 모아 재판된 책 <상실의 풍경>
그를 두고 왜 대가라는 말을 거침없이 쓰는지 충분히 알 것 같다.
<태백산맥> 10권, <아리랑> 12권, 그리고 한강 <10권>
나는 그동안 그의 대하소설이나 장편소설에만 너무 익숙했었는지도 모른다.
그건 분량이 주는 위대함과 동시에 내용이 주는 거대함의 압도이기도 했다.
그의 단편들을 눈에 담는건,
조금은 당혹스럽고 익숙하지 않는 일이었다.
그런데 이런,
몇 장을 읽지도 않았는데도 그만 그 속에 푹 빠지고 만다.
작가 조정래는 또 다시 70년대 그 격변의 현장 속으로 밀어 넣었다.
그 역사가... 그 시간이...
명확하고 분명하게 실감된다.
그의 글들은 내가 결코 알지 못할 시간들을 직접 체험하고 육화하게 한다.
어떻게 이런 일들이 가능할까???

누명
선생님 기행
20년을 비가 내리는 땅
빙판
어떤 전설
이런 식(式)이더이다
청산댁
거부 반응
상실의 풍경
타이거 메이저 

이젠 전부 역사 속의 일이다.
여순반란사건, 베트남 전쟁,
그리고 월북한 아비로 인한 대를 이은 빨갱이 낙인,
연좌제라는 몰상식의 폭력은 아들의 소위 임관 자격을 박탈함으로써
건장하고 유망한 청년의 일생을 하루 아침에 바닥으로 내동댕이친다.
조정래는 말한다.
"유전병치고도 아주고약한 유전병"이라고...
그런데 지금 이 모든 것들은 정말 과거의 이야기에 불과할까?
전쟁, 피난, 미군, 카투사. 그리고 한국군에 대한 차별...
전후복구 세대들의 지독한 가난과 살아가기 위한 치열함.
한 편 한 편의 역사와 시간을 읽는 건,
곤욕이었고 비참함이었고 억울함이었다.
그리고 아련하게나마 이런 느낌을 갖을 수 있는 마지막 세대가 지금의 나인 것 같다.

조정래를 생각하면 <태백산맥>의 논란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보안법상의 이적 표현물과 적에 대한 고무 찬양!
한때 이 책은 절판이 되기도 했었다.
1992년에는 이런 웃지 못한 대검 발표도 있었다.
"학생이나 노동자들이 읽으면 불온서적 소지, 탐독으로 의법 조치할 것이며,
  일반 독자들이 교양으로 읽는 경우에는 무관하다"
정말 황당하지 않나?
누가 읽느냐에 따라 위법의 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이...
시덥잖은 권력에서 시작된 폭력은 그 몰상식으로인해 더 잔인하고 비열하고 비겁하다.
그 비바람의 폭력을 고스란히 받으면서 버텼던 직기 조정래가
그래서 나는 신화처럼 위대하고 거대하고 신비롭다.

확실이 전후의 우리 문단은
그로 인해 풍성했고 의미심장했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09. 12. 17. 13:42
이렇게 봐도 되는 건가?
자금의 압박을 받으면서 중독처럼 다시 찾게 된 뮤지컬 영웅.
개그맨, TV 연기자를 거쳐 성공적으로 뮤지컬 배우의 자리에 안착한 정성화.
그와의 첫 인연을 나는 <영웅>으로 맺었다.



그가 말했었다.
계속 개그맨이나 TV 연기자를 했다면 결코 주인공은 해보지 못했을거라고...
그러나 지금 자신은
돈키호테가 될 수도, 안중근이 될 수도 있으니 너무 행복하다고...
그의 인터뷰 내용을 보면서 나는 생각했다.
우리도 역시 다행이라고...
그를 TV 브라운관이 아니라 무대 위에서 볼 수 있어서...



이토 히로부미의 이희정, 설희의 이상은
조승룡 이토 히로부미와 김선영 설희만을 봤던 나는 궁금하기도 했다.
느낌은...
이희정의 이토는 너무 강하다고 생각했다.
핏발을 세우는 그의 모습에 혹시 혈압이라도 올라가는 건 아닐지 혼자 걱정했더랬다.
같은 인물을 이렇게 서로 다르게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다는 게 놀랍다.
그래도 역시 나는 조승룡의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이토가 더 좋다.
설희는...
김선영 설희가 더 경국지색(?)이었고 게다가 춤까지 일품(?)이었다고 해두자.
어쩌면 나는 이상은 설희에게서 명성황후같은 강인함과 단단함을 기대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내 기대치와는 너무나 많이 어긋난 느낌...
김선영 설희의 여성스러움과 노래가 그리웠다.
17세 소녀 링링의 소냐는 여전히 발육상태 남다른 몸매를 과시했지만
그래도 노래 하나는 절절하다.
표정이 좀 덜 과장스러웠으면 하는 바램.
몸매도 남다른데 표정도 남달라서 간혹 37세 처럼 느껴지기도... ^^


우덕순역의 문성혁과 조도선 역의 조휘
체가구역에서 그들이 만들어낸 아리랑의 신명과 풍류(?)는 정말 오랫동안 기억하게 되지 않을까?
그리고 어쩌면 풍류는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는 힘이 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17살 유동하 역의 임진웅님의 커튼콜 때 감격스러워하던 모습...
안중근 어머니 조마리아역의 민경옥님은 매번 사람을 통곡으로 이끈다.
안중근이 환생해서 그녀가 부르는 노래를 듣게 된다면 
아무 망설임없이 "어미니"라고 부를 것 같다.
정말 안중근 어머니의 모습이 이랬을지도 모르겠다 생각하니 먹먹해진다.
"너의 길을 가라"며 정말 등을 떠밀었을 것만 같아서...



커튼콜 때 배우들의 모습은
한결같이 감격이 담겨있다.
거의 모든 관객들이 기립박수를 치는 모습을 보는 무대 위 그들의 가슴은
또 얼마나 벅차고 아득했을까?
<영웅>의 커튼콜을 보면서 나는 또 얼마나 기도했던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 브랜드로 아름답게 자리잡아 달라고...


 
누구보다도 감격스럽고 감동스러웠을 안중근역의 정성화.
놀라웠다.
무대 위에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한다는 이야기는 전부터 들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바로 코 앞에서 그의 모습을 확인하니 역시나 대단하다 싶다.
노래도 딕션도, 그리고 표정과 연기도 그는 너무나 진지하고 정성스러웠다.
더불어 나는 그의 방향 전환과 그리고 성공적인 안착이
여러 면에서 win win이었다는 생각을 했다.
대사의 강약과 어투에 조금만 더 신경쓴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
그에겐 많은 시간이 남아있다.
(아직 그는 시작을 조금 지나왔을 뿐이니까...)
무대 위에서 여우가 되는 법을 아마도 그는 스스로 찾게 되리라.
다른 누구와도 같지 않은 정성화만의 모습을
기어이 찾아낼거라 믿는다.


잊혀질 수도 있는 역사를 이렇게 기억하는 방법이 있다는 거.
최고는 아닐지라도 최선의 방법임을 느낀다.
그저 잠시 동안의 벌떡임일지라도
한 번도 심장이 아리지 않은 것보다는 그래도 나을 것이기에...
<영웅>은 내겐 많은 생각과 말을 하게 만드는 공연이다.
언젠가는 내 거칠고 산발된 생각들을 차곡차곡 정리해보리라 혼자 다짐해본다.
그리고 이들에게도 말하고 싶다.
살아 있으라.... 살아 있으라.....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