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0. 6. 11. 06:30
신경숙이 새로운 장편소설을 썼다.
<엄마를 부탁해>로 공전의 베스트셀러를 만들었던 그녀가 1년만에 다시 선보인 소설.
놀랍다. 그녀의 바지런함이...


"엄마를 잃어버린지 일주일째다"
<엄마를 부탁해>는 첫 문장부터 이미 내 숨을 턱 조여 왔었다.
차마 다음 줄을 읽지도 못하고 한참을 허망해하던 기억...
엄마를 잃음으로서 놓쳐버린 그 가족들이 원망스러웠고 그런 이야기를 쓴 신경숙이 원망스러웠었다.
엄마에게 그래서는 안 된다고...
왜 당신은 늘 비극보다 더 아픈 이야기만 만드냐고...
책 장을 한장씩 넘길 때마다 마디마디로 날카로운 얼음이 박이는 것 같이 아프고 얼얼했었다.
예수를 안고 있는 마리아의 피에타 상 앞에서
나는 차마 고해성사도 하지 못했다.
내가 엄마를 놓친 것 같아서...

그런 그녀가 이제 뭘 이야기하고 싶었을까?
신경숙의 일곱 번 째 소설의 시작은 이랬다.

......그가 나에게로 전화를 걸어온 것은 팔 년 만이었다.
나는 단 번에 그 목소리를 알아들었다.....



그녀는 이제 놓쳐버린 청춘을 이야기하려는가?
일곱 번째 장편을 앞에 두고 그녀는 말했다.
"여러 개의 종이 동시에 울려 퍼지는 것 같은 사랑 이야기. 청춘소설을 쓰고 싶었노라" 고...
한국어를 쓰는 작가로서 우리말로 씌어진 아름답고 품격 있는 청춘소설이 있었으면 했었노라고...
그녀가 선택한 단어가 나는 당황스럽다.
책장을 넘기면서 자꾸 그 "품격"이라는 낱말이 발목을 잡는다.
(그녀가 이런 단어를 사용하던 사람이었던가????)
"이번 소설은 멀어져가는 가까운 사람들을 보내주는 마음이 읽혔으면 좋겠고
슬픔에 빠진 사람들을 위로하려는 나의 마음이 전달되었으면 합니다"

정윤 - 단이, 이명서 - 홍미루
그리고 마치 시인 오규원을 떠올리게 하는 윤교수.
그녀의 글 속에서 이렇게 많은 인물들을 동시에 만나야 했던 적이 있던가?
놀랐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에 이름이 주어져서...
그녀의 K와, P, J에 익숙했던 나는 또 다시 당황한다.
그녀는 청춘을 현실화하고 싶었던 걸까?
남산 밑에 있던 과거의 서울예전을 떠올리는 풍경들과 거리들,
그리고 주말이면 내가 숱하게 헤매고 다니는 대학로의 골목들...
나도 늘 궁금했옸다.
다들 어떻게 견디고 있는지...

...... 팔 년 전이나 지금이나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그냥 흘러가는 법 또한 없다. 팔 년 만에 전화를 걸어온 그에게 어디야? 하고 담담하게 묻는 순간, 이제 내 마음속에 그에게 하지 못한 말들이 쌓여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남아 있는 격렬한 감정을 숨기느라 잘 지내고 있는 시늉을 할 필요도 없었다. 나는 정말 담담하게 그에게 어디야? 하고 묻고 있었으니까. 의문과 슬픔을 품은 채 나를 무작정 걷게 하던 그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그 쓰라린 마음들은. 혼자 있을 때면 창을 든 사냥꾼처럼 내 마음을 들쑤셔대던 아픔들은 어디로 스며들고 버려졌기에 나는 이렇게 견딜 만해졌을까. 이것이 인생인가. 시간이 쉬지 않고 흐른다는 게 안타까우면서도 다행스러운 것응 이 때문인가. 소용돌이치는 물살에 휘말려 헤어나올 길 없는 것 같았을 때 지금은 잊고 그 누군가 해줬던 말. 지금이 지나면 또다른 시간이 온다고 했던 그 말은 이렇게 증명되기도 하나보다. 이 순간이 지나간다는 것은 가장 큰 고난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이에게나 지금 충만한 시절을 보내고 있는 이에게나 모두 적절한 말이다. 어떤 이에게는 견딜 힘을 주고, 어떤 이에게는 겸손한 힘을 줄 테니까 ......


너무 많은 인물들이 나오고,
너무 많은 사건들이 나오고,
(실종, 분신, 거식, 죽음, 상처, 흔적, 군 의문사, 시위대.... 아, 숨차다!)
너무 많은 대화들이 오가고,
너무 많은 암시들과 시간들이 나온다.
그리고 결국 이 모든 것들은 눈군가의 "죽음"으로 실종되고,
그 실종을 누군가는 또 찾아나서고,
남겨진 사람들은 견디듯 살아간다.
그러다 때론 견딘다는 것조차 의도적이든 아니든 잊혀짐으로 성큼성큼 넘어가기도...

그랬던가?
죽음을 앞에 둔 윤교수가 남긴 손바닥 글씨처럼
모든 것엔 끝이 찾아오던가!
소설 속 청춘인 명서는 윤에게 말한다.
"어서 세월이 많이 흘러갔으면 좋겠다. 용서할 수는 없어도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아주 힘센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나이가 들면 용서할 수 없는 게 이해가 됐던가?
그러나 내 세월은 자주 곡해를 이해라고 아득바득 우기게 만들더라...
그래서 오해할 수 있는 시간이 차라리 덜 빡빡했노라고...


모르겠다.
나는 이 "청춘"들을 이해하고 싶지 않아 지금 어깨가 뻐근하다.
아니 오히려 털어내고 싶다.
그들 청춘의 마지막 모습처럼.
한 밤 중에 산에 올라 소나무 위의 더깨처럼 쌓인 눈을 장대로 힘껏 털어내듯.
그랬었나?
나의 청춘도 섬처럼 고립되어 블멸의 풍경으로 각인되어 있었나?
것도 아니라면,
아직까지 내 청춘은 내내 현재진행형으로 고립중인가?
Posted by Book끄-Book끄
달동네 책거리2008. 12. 21. 10:55

  <엄마를 부탁해> -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그녀가 낸 작품들은 모조리 읽었습니다.

하다못해 산문집까지도...

제게 있어 신경숙은 질투의 대상이이기도 했고, 동경의 대상이기도 했고, 그리고 실망의 대상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결국은 그녀만의 독특한 감성과 글쓰기에 얼추 젖어버렸다고 할까요?

하지만 분명한 건 지금의 제 느낌들이 작가로서의 그녀에 대한 종착역은 결단코 아닐 거라는 사실입니다.


이 사람...

평범한 일상을 너무 아프게 써 어느 날은 혼자 화가 났던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이면은... 나를 들여다보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뜨끔한 자괴함과 부끄러운 속내를 들킴에 대한 막무가내의 억지였던 건 같네요.

“풍금이 있던 자리”

가령 그녀의 글쓰기는 그렇습니다.

풍금이 있는 자리가 아니라 풍금이 있던 자리인 거죠.

화자가 바로 <나>여야 하는 이야기를 그녀는 <당신>으로 바꿔놓습니다.

그녀의 모태 신앙 같은 도시 정읍, 그리고 차마 분명한 이름조차 갖지 못한 체 등장하는 이니셜의 인물들...

게다가 대화조차도 문장부호 없이 그대로 써버리는 당혹감...

<리진>이라는 소설을 통해서 잠깐 다른 방식의 글쓰기를 시도했던 그녀가 다시 초기작으로 돌아왔네요.

지극히 “신경숙다운” 소설과 함께요...


철들기 시작한 딸들 중 “엄마”라는 이름에 가슴 아프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요?

이 책은 모태로부터 시작된 자식들의 원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총 5장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엄마를 잃어버린지 일주일째다”.....

지독한 두통과 점점 잃어가는 기억들, 수시로 찾아오는 통증을 숨기고 노부부는 자식이 있는 서울로 올라옵니다.

예전의 우리네 아버지들의 발걸음.

아내와 같은 속도로 함께 나란히 걸어가는 게 마치 무슨 대단한 흉이라는 되는 냥 성큼성큼 앞서 갑니다.

자식들의 마중을 마다하고 지하철을 탄 남편의 등골이 순간 오싹합니다.

글조차 읽지 못하는 그 아내가 열차를 타지 못했던 거죠.

성급히 남편은 남영역에서 되집어 전철을 타고 서울역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아내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렇게 4명의 다 큰 자식들은 속수무책으로 어미를 잃습니다.

 

각각의 장은 큰딸, 맏아들,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 다시 큰딸의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큰딸의 이야기는 “너(2인칭)”의 시점으로, 맏아들의 이야기는 “그(3인칭)”의 시점으로, 아버지의 이야기는 “당신(2인칭)”의 시점으로, 그리고 어머니의 이야기는 “나(1인칭)” 시점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엄마를 찾는 전단지를 만들기 위해 모인 가족들은 서로에게 긁힌 상처를 드러내며 새로운 상처를 만듭니다.

그들에게 던져진 화두 두 가지!

“엄마는 어떤 사람이었나?”

“엄마가 홀로 남겨지고 있을 때 나는 무엇을 했는가?”

이제 그들은 전단지를 보고 연락한 내용을 따라 엄마를 찾아 헤맵니다.

그들이 찾아간 곳은 예전에 그들의 첫 직장이 있었던 곳이고, 본인 명의의 첫 집을 장만했던 곳 등, 모두 그네들의 흔적이 스친 곳이기도 합니다.

엄마는 정말 그 곳을 다녀갔던 걸까요?

파란 슬리퍼에 뼈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상한 발을 끌고...


우리 자신도 그렇게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엄마에겐 사연이 없다고... 엄만 그냥 처음부터 엄마일 뿐이라고...

어쩌면 이해할 마음조차도 미처 갖지 못할 만큼 자식으로서의 이기심이 너무 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엄마에게도 돌아가 편히 쉬고 싶은 집이 있었을 테고, 그리고 그 엄마에게도 무릎을 베고 누우면 다독여 줄 엄마가 일평생 필요했을 거라는 걸, 우리는 정말 알고 있었을까요???

그런 엄마가 어느 날, 우리들에게 말합니다.

“나는 이제 갈란다... 잘 있으시오”


엄마를 잃어버린 지, 9개월째...

작가인 큰딸은 이탈리아 성 베드로 성당에 들어와 있습니다.

그녀는 그 곳에서 여동생의 편지를 떠올리며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상 앞에 섭니다.

“....... 엄마는 엄마가 할 수 없는 일까지도 다 해내며 살았던 것 같아. 그러느라 엄마는 텅텅 비어갔던 거야. 나는 엄마처럼 못 사는데 엄마라고 그렇게 살고 싶었을까?......”
감히 누가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까요?

“엄마니까....엄마란 다 그런 존재니까....”

저는 죽어도 이렇게 말 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소리조차 죽이며 흐느꼈던 내 어미의 아픈 통곡과 내 손을 붙잡고 놓지 않던 내 어미의 거친 손이 지금 저를 여기에 있게 했으니까요...

결국,

이 책은 또 제 이야기이기도 한 셈이네요.


피에타 상...

죽은 예수를 품에 안고 고통과 절망의 순간을 이겨내고 있는 성모 마리아.

어미의 무릎, 제 2의 모태 속에서 아들은 드디어 평온을 맞이합니다.

어미의 손길이 스치기만 하면 이제 모든 고통과 절망은 사라져 흔적도 없어질 테죠.

비로소 모든 잃은 생명 또한 비옥해져 싹이 틀 것이며 자라나 열매를 맺게 될 겁니다.

내 어머니...

어미의 생명은 그렇게 나에게로 옮겨옵니다.....

아무래도 저는 이제 제 자신에게도 말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엄마를 부탁해...” 라고요...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상>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