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09. 9. 9. 06:17
한.일 문화예술교류를 위한 뮤지컬.
한국과 일본의 뮤지컬 배우들이 한 무대 위에서
각자의 언어로, 혹은 상대방의 언어로 노래하고 대사하는 모습...
낮설다. 그리고 뭐랄까 왠지 촘촘하지 않다는 느낌?



하지만 민.영.기
그가 선택한 작품이었기에
참 많이 궁금했었다.
그리고 기다렸었다.



대사가 거의 없는 노인 "동진"을 연기했던 일본 배우 카나오.
눈빛이 정말 과거의 어느 한 때에 멈춰있는 것 같다.
대사 없이도 존재감을 주어야 한다는 거,
배우로선 참 힘겨운 작업이지 않을까?



"미와" 역의 일본배우 하츠네...
글쎄 일본에선 어느정도 입지의 배우인지는 알 수 없지만
(아마 인지도가 있는 배우는 아닐거라는 생각이....)
민영기의 파트너로는 어울리지 않아 속상했다.
두 사람의 듀엣 곡들이 허술하게 느껴진다.
보조가 맞춰지고 있지 않다는 느낌.



"동진"의 민영기는....
훌륭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훌륭하다고 말하기엔 작품과 무대가 너무 틈이 많이 보인다..)
배우로썬 참 이뻤다.
조명 아래 흘리는 땀 방울들, 그리고 여전했던 소리의 선명함과 열정.
그러면서도 자꾸 궁금해진다.
뭐였을까?
그가 <침묵의 소리>를 선택한 이유가.



김수영의 시 <풀>을 인용한 노래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 더 빨리 눕고, 
 바람보다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동요적인 그 느낌이 참 좋았다.
(실제로 이 시로 동요를 만들면 참 좋을 것 같다는 바램을 갖는다.)
동요 <반달>과  <비행기>의 삽입도 그렇고...
특히 동진의 귀환 편지를 받고 히로시마역에서 기쁜 마음으로 미와가 서성이고 있을 때
원자폭탄이 떨어지기전 아이가 불렀던 동요 <비행기>
일본어로 불렀는데도 느낌이 너무 좋다.
(아무래도 나는 피터팬 신드롬인가보다. 크고 싶지 않는 욕망, 아이로 남고 싶은 욕망....)



꼭 살아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돌아가겠다고 다짐했던 한 남자
결국 살아는 남았지만 돌아가지 못한, 아니 돌아갈 곳이 없어진 그 남자는 말을 잃는다.
고향같은 가야금 소리에 의지해 과거의 기억을 반추하며 살아내는 그 사람.
90분의 시간 동안 너무 많은 것을 담고,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싶었던 뮤지컬.
줄거리는 있지만 명확한 내용을 전달하기엔 역부족이었던,
그래서 아직은 부족함이 더 많은 뮤지컬이라고 말해야 할 것 같다.
그 부족함이 보완될지는  미지수로 남긴 하지만....
그런데 왜 테라피 뮤지컬이지?
(도대체 무슨 치료들을 하신 건지.....)



배경과 조명이 너무 아마추어적이다
코믹하기까지 했던 어머니와 미와의 등장.
90분 내내 거의 변화가 없었던 무대(엔딩에 딱 한 번 옆으로 살짝 움직이더라....)
치열하지도 절박하지도, 그리고 간절하지도 않았던 전쟁 장면.
처음 시작 장면에서 초라히 떨어지는 나뭇잎들,
중간쯤 뒷 배경에 날아다니던 한 쌍의 학을 보여주던 무대 스크린.
좀 충격적이다.(왜 그러셨어요~~~~?)
그것보다 더 완벽하게 충격적이었던 건,
엔딩 장면에서 남여 주인공이 "입고"가 아니라 "덮고" 나온 의상 (이걸 의상이라고 해야 하나?)
한 번 인연을 맺으면 짝이 죽어도 남은 한마리는 끝까지 절개를 지킨다는 학.
국경을 넘은 그들의 사랑을 학에 담아 표현하고 싶었던 건 백만배 이해하겠는데.
한지로 붙인 듯한 상당히 푸닥거리스럽던 옷과
심지어 상당히 깡충하기까지한 길이.
"기억해주세요. 우리 사랑 
 이제 다시는 헤어지지 않으리...."
그 덮개(?)를 보는 순간 실소를 머금다.
내겐 분명 확실한 반전이긴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민영기가 부르는 노래에 두 번 찡했다.
그래도 여전히 이 사람은... 
무대에 서면 이쁘구나......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