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사람에게는 그 사람 각자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시련과 고통만 찾아온다고 합니다.
그러나 누구든 생각하게 되죠.
“이건 정말 너무 심한 거 아냐?”
때론 신조차도 그 공평성에서 살짝 벗어나신 게 아닌가 하며 야속하고 원망스러운 마음이 생길 때도 분명 있습니다.
여기 우리가 보기엔 참 힘든 삶을 사는구나 생각하게 만드는 사람이 있습니다.
생후 1년 때 앓은 척수성 소아마비로 두 다리의 자유를 잃은 1급 장애인.
2001년 유방암 판정, 방사선 치료로 완치.
그러나 다시 2004년 척추암으로 전이, 2년간의 투병 생활.
1년 만에 다시 간으로의 암 전이....
그렇게 다시 시작된 투병 생활 중에 그녀는 이 책을 씁니다.
결국 책의 출판을 하루 앞 둔 5월 9일 57세의 일기로 타계를 한 문학 전도사.
장.영.희!
<문학의 숲을 거닐다>로 잘 알려진 서강대 영문학 교수 장영희.
<내 생애 단 한번> 이후 9년 만에 내놓은 에세이집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은 그렇게 그녀의 유고작이 되어 이 세상에 출판됐습니다.
그녀는 “천형(天刑)의 삶”을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에 주눅듬 없이 자신의 삶이 “천혜(天惠)의 삶”이었다고 당당하게 고백하며 오히려 그들의 지친 어깨를 다독입니다.
어쩌면 병상에서 이 글을 쓰면서 그녀는 정말로 “살아온 기적”들을 되짚어 보면서 “살아갈 기적”을 간절히 꿈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카르페 디엠!
(carpe diem : 매 순간에 최선을 다하라! 매 순간이 당신 삶의 마지막인 것처럼... )
그녀는 계속되는 장애와 긴 투병 생활 속에서도 진정으로 카르페 디엠의 삶을 하루하루 실천하며 온 몸으로 느꼈던 사람으로 기억됩니다.
세 번째 암 판정 이후 그녀는 말합니다.
"신은 우리가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넘어뜨린다. 나 역시 넘어질 때마다 어떻게 다시 일어서야 할지를 생각한다."
그녀가 찾아낸 방법은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열심히 살며 잘 이겨냄으로써 아름다운 기적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녀의 글 속엔 스스럼없이 장애와 투병의 흔적이 보입니다.
그러나 그 글들은 모두 하나같이 밝고 심지어는 유머러스하기까지 합니다.
양지바른 곳에 쪼그리고 앉아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던 유년의 기억 속으로 빠져들게 만들 만큼요.
이야기가 끝날까봐 조마조마하며 “그래서~~~”로 되묻던 그 어린 기억...
60을 바라보는 여자가 도대체 이렇게 귀엽고 순수해도 되는가 싶은 만큼 깨끗하고, 밝고 그리고 심지어 장하기까지 합니다.
장영희! 이 여자!
급기야 깰 수 없는 내공으로 집을 짓고 말았네요.
가끔 우리는 저울질을 합니다.
마음의 장애와 신체의 장애 둘 중에 어느 게 더 치명적인가를...
그딴 저울질이나 하고 있는 제게 “날 좀 봐라! 나는 그 두 가지를 완벽하게 다 가지고 있다!”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그녀를 처음 알게 됐을 때의 당혹감이라니...
내 “배부름의 옹졸함”이 드러나는 걸 보면서 스스로 얼굴 화끈거리기도 했더랬죠.
문학 전도사, 희망 바이러스, Positive thinking 의 실천가!
그녀의 이름 앞에 붙는 이 단어들이 제게는 문학박사, 교수, 영미문학사의 간판보다 더 애뜻하게 다가옵니다.
그녀가 타계했다고 했을 때,
저는 그녀의 어머니가 걱정됐습니다.
두 다리를 못 쓰는 둘째 딸을 초등학교 3학년 때까지 매일 업어서 등하교시켰던 어머니. 비가 오면 부서진 우산살이 딸에게 향할까봐 그 우산살의 방향을 매번 자신에게 향하게 해 옴 몸을 적셨던 어머니. 진눈깨비 내리는 날이면 행여 딸을 학교에 못 데려다주게 될까봐 새벽에 일어나 연탄재를 부숴서 집 앞 골목길에 뿌려놓았던 그 어머니.
역시 그녀도 어머니가 마음에 걸렸던 모양입니다.
임종 직전 노트북 컴퓨터로 어머니 이길자(82) 여사에게 남긴 짧은 편지에 그 마음이 그대로 담겨있습니다.
이 몇 줄의 글을 그녀는 혼미한 정신과 싸워가며 3일간 아주 힘겹게 썼다고 합니다.
"......엄마, 미안해. 이렇게 엄마를 먼저 떠나게 돼서.
내가 먼저 가서 아버지 찾아서 기다리고 있을게.
엄마 딸로 태어나서 참 좋았어.
엄마! 엄마는 이 아름다운 세상 더 보고 오래오래 기다리면서 나중에 다시 만나......"
눈을 감는 마지막 순간에 그녀의 입에서 나온 마지막 말도 “엄마 !...”
이 두 글자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저 또한 옴 몸의 힘이 빠졌습니다.
세상의 모든 딸은 모든 어머니에게 빚을 지며 살고 있다는데......
저 역시도 어머니의 두 손에서 다시 삶을 시작했기에 그녀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다 말한다면 허세일까요?
그녀는 짧지만 참 긴 삶을 성실히, 그리고 최선을 다해 살아냈습니다.
“흔적이 남는 사람”
저는 장영희라는 사람을 그렇게 기억하렵니다.
지치고 힘들어 혼자 징징거리고 있을 때 그녀는 어느새 제게 말합니다.
"...... 그렇게 야단법석 떨지 마라. 뼈만 추리면 산다.
아무리 운명이 뒤통수를 쳐서 살을 다 깎아 먹고 뼈만 남는다 해도 울지 마라.
기본만 있으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살이 아프다고 징징대는 시간에 차라리 뼈나 제대로 추려라.
그게 살 길이다......"
먼저 간 사람들은 믿음을 가지고 떠난다고 합니다.
남겨진 사람들이 자신이 못 다한 사랑을 해주리라는 믿음, 진실하고 용기 있는 삶을 살아주리라는 믿음,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 주리라는 믿음, 그래서 나중에 다시 만날 때까지 이곳에서의 귀중한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으리라는 믿음....
그 믿음에 걸맞게 살아가는 것은 이곳에 남아 있는 사람들의 몫이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서로 치고받고 싸우기도 하지만 또 서로 도와 가며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이 세상.
나쁜 운명을 깨울까 봐 인생을 내내 살금살금 걷듯이 살아간다면 좋은 운명 또한 평생을 살아도 깨우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나쁜 운명, 좋은 운명 모조리 다 깨워 가며 저벅저벅 당당하게, 큰 걸음으로 걸으며 살아내라고 평생을 휠체어와 목발에 의지해 살았던 한 여자가 말합니다.
두 발의 자유를 잃고 신체의 구석구석을 원치 않았던 동반자에게 차례차례 내주면서도 매 순간을 세상 누구보다 큰 걸음으로 걸었던 한 사람...
그녀가 “살아온 기적”을 보면서
저 또한 “살아갈 기적”을 부지런히 탐하게 됩니다.
이제 넘어져 또 다시 뼈가 부서진다고 해도 더 이상 징징대지 않으렵니다.
그 시간에 오히려 더 열심히 뼈를 추려야겠죠.
하나라도 더 잘, 더 제대로 추려내야 잘 맞춰질 수 있을 테니까요...
모든 사람의 모든 순간이
전부 온전한 “기적”임을 기억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