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6. 7. 25. 10:09

 

<코펜하겐>

 

일시 : 2016.07.14. ~ 2016.07.31.

장소 : 동숭아트센터 동숭소극장

작가 : 마이클 프레인 (Michael Frayn)

번역 : 양영일

연출 : 윤우영

출연 : 남명렬(닐스 보어), 서상원(베르너 하이젠베르그), 이영숙(마그리트)

제작 : 극단 청맥

 

내가 이 연극을 처음 봤던게 2010년 3월이다.

혹시나 싶어서 블로그를 뒤적였더니 다행히 그때 쓴 후기가 있더라.

어려운 작품이라 꽤 곤혹을 치른 흔적이 역력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이해하려고 애쓴 모습이 보인다.

전체적으로 삼각형 구도를 보여준 무대에 대한 개인적인 평은 지금봐도 꽤 그럴듯 했다.

기억을 되돌리면,

이 작품에 대한  전체적인 느낌은 불안함에서 균형으로 가는 여정이었다.

 

"기억이란건 일기장처럼 묘한 놈이야. 기억의 시간 속으로 실제처럼 걸어 들어가게 되지"

보어의 대사 처럼 지금 내 머릿속에도 두 개의 장면이 자리잡는다.

2010년 <코펜하겐> 공연 장면과 1941년 하이젠베르그와 닐스 보어가 코펜하겐에서 만나는 장면이.

2010년엔 미처 몰랐었는데 이 작품위트있고 재미있다.

세 명의 등장인물은 수시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고

숱한 독백과 대화들 역시도 수시로 장면과 시점을 넘나들며 사방으로 튄다.

마치 원자핵에 충돌된 중성자가 2의 제곱승으쪼개지는 것럼.

chain reaction.

결국 1막 후반부에 이 연쇄반응에 한 번의 폭발 위기가 닥친다.

감정이 고조된 하이젠베르그의 회상 장면.

(개인적으로 이 장면이 이 작품의 결정적 장면이라고 생각하는데

 감정이 앞선 서성원 배우의 딕션이 무너진건...  내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작품 묘하게 연극 <레드>와 겹쳐진다.

바하의 "Fugue in G minor"가 나와서기도 하지만

공통적인 하나의 명제가 숨겨져있다.

"자식은 아버지를 살해해야만 해!"

학문이나 예술에서 일가를 이루기 위해 필요불가분한 일. 

지독한 역설이고 모순이다.

절망의 극복이고 희망의 극복이다.

그래서 이 작품이 내게 이렇게 매혹적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2010년 보다 훨씬 더!

 

그렇다면 이 이야기에 답은 있을까?

아니 답이라는게 과연 필요할까?

모든게 끝이 났지만

언제 다시 시작될지 그 누구도 모르는데...

 

* 내가 처음 남명렬 배우의 작품을 본 건 2005년 <에쿠우스>의 다이사트였다.

  그때 나는 막 짝사랑에 빠진 사람처럼 연극을 보는 내내 두근대고 설랬었다.

  그런데 이 작품을 보면서 그때의 설렘이 또 다시 재현됐다.

  내가 보고, 느낀건 물리적인 "청춘"을 뛰어넘는 생명력이자 매혹이었다.

  다이사트와 닐스 보어.

  대책없는 삼각관계가 시작되는 순간이다.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