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0. 9. 15. 05:49

양화진 문화원 목요강좌가 다시 시작됐다.
지난주 목요일 가야금 연주자 황병기 선생님의 강의가 있어서 오랫만에 양화진을 다녀왔다.
<침향무>, <비단길> , <미궁>, <춘설>, <달아 노피곰>
"황병기의 음악은 모순을 명상하는 것이다"
"하이스피드 시대의 정신적인 해독제다"
그의 음악에 대해서 사람들은 말한다.
나 역시도 그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저절로 가만히 있게 된다.
그리고 그건 책을 읽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만드는
완벽한 고요함이자 경건함이다.
바짝 다가와있는 내면과의 조우...
때로는 현실처럼 섬득하고 때로는 꿈결같이 황홀하다.



황병기 선생님은 1936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사회자 김종찬님이 청중들에게 정통적인 서울 사투리를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뭐랄까, 말씀하시는 게 꼿꼿하고 단정하셨다.
(그런데 지금 서울 사람들이 서울 사투리를 알까?)
가야금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황병기 선생님은 음악이 아닌 법학을 전공하셨다.
서울대 법대 2학년 때 KBS 주최 전국 국악 공쿠르에서 1등을 하면서 음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단다.
사실 본인은 가야금을 업으로 삼게 되리라고 생각하지 않으셨다고 한다.
극장지배인, 화학공장 관리인, 영화사 사장 등 여러 직업을 거쳤고
38살에 음악을 직업으로 삼을 것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때까지 가야금을 놓치 않았고 대학에서 계속 가야금을 가르쳤다고 한다)
본인은 15살에 가야금을 처음 알게 됐는데
모든 악기 연주는 정신적인 수양이나 연주가 아니라 육체적인 연주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매일 단련해야만 한다고...



선생님은 한국음악을 두고 음 하나하나가 마치 붓글씨를 쓰는 것 같다는 표현을 하셨는데
강연을 듣는 모든 사람들이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했다.
청구영언에 나온 시조 한 소절을 불러주셨는데
정말 딱 그 느낌이었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한국의 소리는 실한 소리, 영근 소리, 공력이 담긴 소리라고 한다.
그래서 공든 힘이 담겨있기 때문에 아름답다고.
그런 소리를 우리는 얼마나 이해하고 느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씁쓸할 뿐이다.
어쩌다 우리는 클래식보다 국악에서 더 멀어지게 됐을까?
소위 가방끈이 길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오히려 우리 음악을 더 안 듣는다는 선생님의 지적은
스스로도 면목없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가방끈도 길지 않으면서 나는 왜 국악을 모르는가...)



한국음악이 지향하는 것은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희열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말씀도 하셨다.
우리 음악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점점 듣지 않게 되고 멀어지게 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마음을 여는 게 중요하단다.
음악을 듣는 것도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편견을 없애는 것이 그 시작이라고...
더불어 예술을 향유하는데까지 애국심을 발휘할 필요는 없다는 충고도 남기셨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솔직히 우리나라 음악 교육은 전혀 애국심 운운할 꺼리조차 없긴 하다.
멀리도 아니고 내가 중고등학교다닐 때만 생각해도
음악시간에 국악을 배웠던 기억은 고작 서너번에 불과했던 것 같다.
어릴때부터 배우고 접해야 들을 줄도 안다는데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은 우리 음악과 오히려 멀어지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달라졌으리라고 생각되진 않는다)
 

                                                <황병기의 "비단길">

황병기 선생님은 지금 74세다.
강연이 끝난 후 누군가가 질문을 했다.
만약에 음악을 업으로 삼기로 결정한 38세로 돌아간다면 어떻게 하시겠느냐고...
선생님의 대답이 참 멋지셨다.
"늙어 가는 재미가 활홀하다"
그러고 싶다.
나중에 나 역시도 고희가 훨씬 지났을 때
스스로에게 늙어가는 재미가 황홀하다 말할 수 있기를...
그렇다면
일가를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겠지.
황병기 선생님의 말씀은
그분의 해왔던 가야금 연주만큼이나 청연했고 고요했고
그리고 평온했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