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6. 1. 8. 08:20

프랑스 작가 서머싯 몸(1874~1965)에 의해 화가 폴 고갱(1848~1903)의 삶은 부활됐다.

생전에 빛을 보지 못한 고갱의 작품들은 

서머싯 몸이 1919년 발표한 <The moon and Sizpence> 소설로 인해 재평가되기 시작했고

그림값까지 무섭게 치솟았다.

"달과 6펜스"라는 제목은 예술가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딜레마를 뜻한다.

사실 이 책은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를 통해 알게 된 책이다.

작가와 제목은 알고 있었지만

이 소설이 고갱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이라는건 몰랐었다.

2013년도에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고갱 기획전시를 했었다.

그때 전시 제목이 "낙원을 그린 화가 고갱"이었다.

당연하겠지만 그림 속 배경은 고갱의 마지막 낙원 타이티섬이었다.

직업과 가족을 버리고 늦은 나이에 화가의 길로 들어선 고갱은 타이티섬으로 떠나면서 말했다.

"나는 고요함을 찾아, 그리고 문명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떠난다. 나는 단순한, 아주 단순한 예술을 하고 싶다."

말년에 불화가 생기긴 했지만 고흐는 고갱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는 멀리서 온 사람이고 또 멀리 갈 사람이다.."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고갱은 확실히 무책임하고 비열했다.

뭐가 됐든 그는 가족을 버리고 열대지방으로 도망쳤다.

인과응보였을까?

가난, 매독, 다리 부상, 전시 실패, 질병, 소송, 실연, 자식의 죽음, 자살 시도... 

그리고 결국은 심장마비로 홀로 사망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나는 고갱의 색채 속에 강렬한 "살의(殺意)"를 느낀다.

내게 고갱의 삶은 그렇다.

<달과 6펜스>의 고갱은 당당하고 자유롭고 무례하고 거침없다.

살의가 아인 버팀이 읽혀진다.

그래서 사실 다행이었다.

 

...... 나는 이런 생각이 든다. 어떤 사람들은 자기가 태어날 곳이 아닌 데서 태어나기도 한다고. 그런 사람들은 비록 우연에 의해 엉뚱한 환경에 던져지긴 하였지만 늘 어딘지 모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가지고 산다. 태어난 곳에서도 마냥 낯선 곳에 온 사람처럼 살고, 어린 시절부터 늘 다녔던 나무우거진 샛길도, 어린 시절 뛰어 놀았던 바글대는 길거리도 한갓 지나가는 장소에 지나지 않는다. 어쩌면 가족들 사이에서도 평생을 이방인처럼 살고, 살아오면서 유일하게 보아온 주변 풍경에도 늘 서먹서먹한 기분을 느끼며 지낼지 모른다. 낯선 곳에 있다는 느낌, 바로 그러한 느낌 때문에 그들은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뭔가 영원한 것을 찾아 멀리 사방을 헤매는 것이 아닐까 ......

 

이 책에 나오는 구절 중 고갱을 표현한 가장 정확한 문장.

"낯선 곳에 있다는 느낌"

고백컨데 고갱의 색채에서 내가 느끼는 "살의" 역시 이 문장과 무관하지 않다.

비참하고 가난하게 살았지만 고갱은 타이티라는 낙원을 찾아냈고 그곳에서 생을 마쳤다.

나는...

고갱이 찾아낸 그 낙원이 죽도록 부럽다.

 

소설을 읽는 내내 고갱의 질문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녔다..

"나는 낙원에서 살아봤어!

 그런데 너는?

 너는 한 번이라도 낙원이란걸 꿈꿔보기라도 했어?"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