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1. 1. 20. 06:27
하나의 단어에 시만큼 많은 세계와 의미를 담고 있는 게 있을까?
어쩐지 시인들은 나와는 다른 언어를 쓰는 제 3의 사람들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다른 언어라는 게 다행스럽게도 이해불가는 아니다.
가령 오규원에게 "여자" 라는 단어는 얼마나 깊고 넓고 그리고 애틋하고 여린가.
정현승에게 "눈물"은 한 세상의 탄생만큼 크고 위대하다.
천상병에게 "새"라는 한 음절의 단어는 또 어떤가?
누군가에게는 스쳐 지나가는 단어에 불과할 뿐인데
시인에게 그 단어는 세계의 모든 것 보다 더 모든 것이다.
그래서 시를 성큼성큼 빠르게 읽으면 왠지 그 단어들에 많이 미안해진다.
누군가에게 한 편의 짧은 시는 평생을 읽어도 읽어도 다 못 읽는 완결되지 않는 대하소설이 될 수도 있겠다.
문득 시 속 단어가 담고 있는 세계가 너무 넓고 깊어
그 안에서 길을 잃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나는 하게 된다. 거침없이...
시를 읽는 눈은 그래서 차지게 야무지면서도 듬성듬성하다.
시인 김승희는 말했다.
"시인은 천형을 앓는 무당이다"
가슴에 날이 바짝 선 작두 하나 올라온다.
맨발로 그 위를 올라서란다.
비릿하고 섬뜩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길.
천형의 삶!



시인들은 천성적으로 오래된 미래를 볼 줄 아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그들은 마지막 순간에도 시를, 글을 놓치 못하고 제자의 손바닥에까지 쳔형의 문신을 새긴다.
한적한 오후다
불타는 오후다
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
나는 나무 속에서 자본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다 2007년 타계한 시인 오규원은
제자의 손바닥에 유언같은 마지막 문장을 남겼단다.
어쩐지 처연하면서 쿨럭하고 잔기침이 쏟아지는 문장이다.
어디선가 한 잎의 쬐그만 여자 낙엽처럼 또르르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그 여자 남기고 시인은 정말 눈을 감았을까?
어쩌면 지금도 시인은
자신의 단어들과 함께 만나지지 않는 두 철길에 나란히 서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 길에 자갈돌처럼 깔려 있는 숱한 기다림들.
눈 앞의 삶은 끝나도 기다림은 결코 끝이 없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