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 정병설
학교다닐 때 교과서에서 읽었던 <구운몽>
생각해보니 그 이후에 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성진과 팔선녀가 돌다리에서 서로 희롱하다
육관대사에 의해 인간세상에 양소유와 여덟 부인으로 태어난다는 내용.
불(佛)법의 세계에서 속세로 그리고 다시 볼법의 세계로 돌아와
성진과 팔선녀 모두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내용.
그 <구운몽>을 그린 <구운몽도>에 대한 해설서다.
잘 아는 것처럼 <구운몽>은
유복자로 태어난 서포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어머니 한씨 부인을 그리워하며 하룻밤만에 지은 소설이다.
이 소설은 영조까지도 찬사를 보냈던 작품으로
위로는 임금뿐만 아니라 아래로는 기생까지 조선 사람들이 가장 애호한 한글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을 그래도 꽤 정확하게 알고 있는 걸 보면
아마도 어릴 때 읽었을 때 꽤나 재미가 있었던 모양이다.
<구운몽>이 그리는 세계는
하늘과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고, 남자와 여자가 함께 누리며,
제왕부터 천인까지 자신이 원하는 바를 모두 자유롭게 행하는 조화의 세계와 연결된단다.
그래서 그걸 그림으로 표현해 늘 보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구운몽도"를 본 적이 없어서
직접 대면한다면 어떤 느낌이 들지 궁금하긴 하다.
현실에 대한 피난처,
하나의 유토피아적인 세상.
그러나 결국 그 모든 건 하룻밤 꿈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인간은 그 하룻밤 꿈을 위해 산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살아갈까?
환상같은 구운몽도를 병풍으로 두르고 한 잠 자고 싶다는 소망 ^^
아마 나 뿐만은 아니지 않을까?
<왕세자의 입학식> - 김문식
꽤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왕세자의 입학례.
정말 무지했던 부분인데 흥미로운 부분이 많이 단숨에 읽어나갔다.
세종 대 이후로 왕세자나 와세손으로 책봉된 사람들은
반드시 성균관에서 입학례를 거행했다고 한다.
이 책은 1817년(순조17) 3월 11일,
8살 효명세자 입학례를 기록한 <왕세자입학도첩>를 중심으로 그 내막을 설명해준다.
이 책자에는 4종의 의식 절차와 6종의 기록화가 담겨있다.
입학례는 왕세자가 성균관을 방문하여 박사에게 수업을 받는 의식으로
조선 왕실 최초의 입학례는 1403년(태종3) 10세 된 양녕 대군의 입학례다.
그리고 1882년 순종 황제의 입학례를 마지막으로 조선왕실에서 전통적인 입학례는 사라졌다.
한 가지 일을 실천하여 세가 선을 이루는 것이 바로 왕세자 입학례이다. 사람들은 세자가 입학하여 나이에 따라 양보하는 것을 보면서 부자(夫子)의 도리, 군산(君臣)의 도리, 장유(長幼)의 도리를 깨닫게 된다. 백성들이 왕세자가 성균관에 도착한 이후 스승에게 제자로서의 예를 갖추면서 입학하는 의식을 지켜보면서 자신들도 일상생활에서 윤리를 실천할 것을 자극받게 된다 ------ <예기>의 문황세자 편
조선 왕실의 입학례 절차는 크게 세 가기로 구분할 수 있다.
출궁의(出宮儀), 입학의(入學儀), 수하의(受賀儀)가 그것인데,
출궁의는 입학자가 궁궐을 나와 성균관에 도착하기까지의 의식이고,
입학의는 입학자가 성균관에 도착한 이후 치르는 일련의 의식들을 말하며,
수하의는 입학례를 마친 입학자가 궁궐로 돌아와서 문무 관원이나 종친 들의 축하를 받는 의식이다.
입학의는 다시 몇 개의 의식으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작헌의(酌獻儀) 또는 알묘의(謁廟儀)로
입학자가 성균관의 대성전(문묘0에 들어가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신위에 직접 술잔을 올리는 의식을 말한다.
두번째는 왕복의(往復儀)인데,
입학자가 명륜당의 문밖에 서서 스승에게 수업을 청하고 문 안으로 들어오는 의식이다.
세번째는 수폐의(脩弊儀) 또는 속수의(束脩儀)라고 하는데,
입학자가 스승에게 예물을 올리는 의식이다,
네번째는 입학의(入學儀)로 입학자가 명륜당에 올라가서 박사에게 수업을 받는 의식이다.
이때 스승은 책상위에 책을 펴놓고 강의를 하며, 왕세자는 바닥에 엎드려 책을 본다.
스승이 동쪽에 앉아 책상을 사용하는 반면에 왕세자는 서쪽에 꿇어 앉아 바닥에 엎드리는 것은,
스승이 왕세자보다 우위에 있음을 의미하는 의식이다.
이러한 의식은 장차 왕위에 오를 왕세자일지라도
유학을 배우는 학생으로서 스승에 대한 예절을 지켜야 하며,
이런 수련을 통해서 학문과 덕망을 갖춘 성군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란다.
왕세자는 대략 10세 전후로 시행되는 성균관 입학례를 통해
소학(수신, 제가) 또는 대학(치국, 평천하)을 수업받게 된다
그리고 왕세자의 입학례가 있을 때에는
정규시외에 별시를 개최해 인재를 등용했고
중죄를 제외한 경미한 범죄자들에게 모두 사면령을 내렸다.
나는 왕세자들은 궁궐 안 세자궁에 편안하게 있다가
각계각층의 손꼽히는 선생님들이 직접 입궐해 세자를 가르쳤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신기했다.
왕세자라도 스승 앞에서는 엎드려 책을 읽어야 했다는 사실은 놀라울 따름이다.
작고 짧은 책들이지만
문학동네 키워드 한국문학 시리즈는
두루두루 괜찮은 책인 것 같다.
꼭 만화책을 읽는 느낌이다.
키득키득!
읽으면서 참 많이 웃었다.
이제 마지막 란 권만 남았다.
<조선인의 유토피아>
빨리 읽자! ^^
학교다닐 때 교과서에서 읽었던 <구운몽>
생각해보니 그 이후에 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성진과 팔선녀가 돌다리에서 서로 희롱하다
육관대사에 의해 인간세상에 양소유와 여덟 부인으로 태어난다는 내용.
불(佛)법의 세계에서 속세로 그리고 다시 볼법의 세계로 돌아와
성진과 팔선녀 모두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내용.
그 <구운몽>을 그린 <구운몽도>에 대한 해설서다.
잘 아는 것처럼 <구운몽>은
유복자로 태어난 서포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어머니 한씨 부인을 그리워하며 하룻밤만에 지은 소설이다.
이 소설은 영조까지도 찬사를 보냈던 작품으로
위로는 임금뿐만 아니라 아래로는 기생까지 조선 사람들이 가장 애호한 한글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을 그래도 꽤 정확하게 알고 있는 걸 보면
아마도 어릴 때 읽었을 때 꽤나 재미가 있었던 모양이다.
<구운몽>이 그리는 세계는
하늘과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고, 남자와 여자가 함께 누리며,
제왕부터 천인까지 자신이 원하는 바를 모두 자유롭게 행하는 조화의 세계와 연결된단다.
그래서 그걸 그림으로 표현해 늘 보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구운몽도"를 본 적이 없어서
직접 대면한다면 어떤 느낌이 들지 궁금하긴 하다.
현실에 대한 피난처,
하나의 유토피아적인 세상.
그러나 결국 그 모든 건 하룻밤 꿈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인간은 그 하룻밤 꿈을 위해 산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살아갈까?
환상같은 구운몽도를 병풍으로 두르고 한 잠 자고 싶다는 소망 ^^
아마 나 뿐만은 아니지 않을까?
<왕세자의 입학식> - 김문식
꽤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왕세자의 입학례.
정말 무지했던 부분인데 흥미로운 부분이 많이 단숨에 읽어나갔다.
세종 대 이후로 왕세자나 와세손으로 책봉된 사람들은
반드시 성균관에서 입학례를 거행했다고 한다.
이 책은 1817년(순조17) 3월 11일,
8살 효명세자 입학례를 기록한 <왕세자입학도첩>를 중심으로 그 내막을 설명해준다.
이 책자에는 4종의 의식 절차와 6종의 기록화가 담겨있다.
입학례는 왕세자가 성균관을 방문하여 박사에게 수업을 받는 의식으로
조선 왕실 최초의 입학례는 1403년(태종3) 10세 된 양녕 대군의 입학례다.
그리고 1882년 순종 황제의 입학례를 마지막으로 조선왕실에서 전통적인 입학례는 사라졌다.
한 가지 일을 실천하여 세가 선을 이루는 것이 바로 왕세자 입학례이다. 사람들은 세자가 입학하여 나이에 따라 양보하는 것을 보면서 부자(夫子)의 도리, 군산(君臣)의 도리, 장유(長幼)의 도리를 깨닫게 된다. 백성들이 왕세자가 성균관에 도착한 이후 스승에게 제자로서의 예를 갖추면서 입학하는 의식을 지켜보면서 자신들도 일상생활에서 윤리를 실천할 것을 자극받게 된다 ------ <예기>의 문황세자 편
조선 왕실의 입학례 절차는 크게 세 가기로 구분할 수 있다.
출궁의(出宮儀), 입학의(入學儀), 수하의(受賀儀)가 그것인데,
출궁의는 입학자가 궁궐을 나와 성균관에 도착하기까지의 의식이고,
입학의는 입학자가 성균관에 도착한 이후 치르는 일련의 의식들을 말하며,
수하의는 입학례를 마친 입학자가 궁궐로 돌아와서 문무 관원이나 종친 들의 축하를 받는 의식이다.
입학의는 다시 몇 개의 의식으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작헌의(酌獻儀) 또는 알묘의(謁廟儀)로
입학자가 성균관의 대성전(문묘0에 들어가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신위에 직접 술잔을 올리는 의식을 말한다.
두번째는 왕복의(往復儀)인데,
입학자가 명륜당의 문밖에 서서 스승에게 수업을 청하고 문 안으로 들어오는 의식이다.
세번째는 수폐의(脩弊儀) 또는 속수의(束脩儀)라고 하는데,
입학자가 스승에게 예물을 올리는 의식이다,
네번째는 입학의(入學儀)로 입학자가 명륜당에 올라가서 박사에게 수업을 받는 의식이다.
이때 스승은 책상위에 책을 펴놓고 강의를 하며, 왕세자는 바닥에 엎드려 책을 본다.
스승이 동쪽에 앉아 책상을 사용하는 반면에 왕세자는 서쪽에 꿇어 앉아 바닥에 엎드리는 것은,
스승이 왕세자보다 우위에 있음을 의미하는 의식이다.
이러한 의식은 장차 왕위에 오를 왕세자일지라도
유학을 배우는 학생으로서 스승에 대한 예절을 지켜야 하며,
이런 수련을 통해서 학문과 덕망을 갖춘 성군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란다.
왕세자는 대략 10세 전후로 시행되는 성균관 입학례를 통해
소학(수신, 제가) 또는 대학(치국, 평천하)을 수업받게 된다
그리고 왕세자의 입학례가 있을 때에는
정규시외에 별시를 개최해 인재를 등용했고
중죄를 제외한 경미한 범죄자들에게 모두 사면령을 내렸다.
나는 왕세자들은 궁궐 안 세자궁에 편안하게 있다가
각계각층의 손꼽히는 선생님들이 직접 입궐해 세자를 가르쳤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신기했다.
왕세자라도 스승 앞에서는 엎드려 책을 읽어야 했다는 사실은 놀라울 따름이다.
작고 짧은 책들이지만
문학동네 키워드 한국문학 시리즈는
두루두루 괜찮은 책인 것 같다.
꼭 만화책을 읽는 느낌이다.
키득키득!
읽으면서 참 많이 웃었다.
이제 마지막 란 권만 남았다.
<조선인의 유토피아>
빨리 읽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