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과 김영하.
늘 마음에 담아 두고 있는 젊은 작가다.
참 다른 두 사람인데 이렇게 연달아 읽고 나니 묘하게 닮아있다.
이 두 사람...
앞으로도 계속 내내 소설가였으면 좋겠다.
내가 이 사람들을 계속 읽을 수 있으면 좋겠다.
다만 바라는 건 그것 뿐 ^^
2005년 한강이 <몽고반점>으로 제 29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을때
그 단편을 읽고 좀 황당했었다.
그로테스크하고 싸이코적인 내용이 그닥 호감가는 작품은 분명 아니었다.
형부와 처제의 미친 행각이 도통 이해가 되지 않았다.
당연하지!
연작 소설 중 가운데 토막만을 덜렁 읽었으니 앞뒤가 황량한 벌판 같았던 게 그러니까 이상한 게 아니었다.
채식주의자 - 몽고반점 - 나무 불꽃
연작들을 차례로 읽으니 비로소 소설들이 갖는 무게감과 존재감에 어깨가 뻐근하다.
이상문학상 작품집 출판 당시 작가 자선 대표작에 <채식주의자>를 수록했다면
나처럼 미련 떠는 독자가 좀 줄지 않았을까 뒤늦은 아쉬움을 토로해본다.
2011년에 영화로도 만들어진 것 같은데 본 사람이 거의 없는 모양이다.
일본에서도 이 책이 출판되고 큰 반향이 있었단다.
읽어 보니 확실히 문제작이긴 문제작이다.
1970년 출생한 작가 한강.
따지면 나와 동시대쯤에 태어난 사람인데 어쩌면 이렇고 풍부하고 가차없고 기괴하고 아름다울까?
한때 나는 우리 세대는 작가가 되기엔 너무 평탄한 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내 오만과 아둔함에 진심으로 미안해하고 있다.
어느날 꿈에서 본 핏빛 환영때문에 갑자기 모든 육류를 먹지 않게 된 몽고반점을 가진 여자 영혜.
<채식주의자>는 그 여자의 남편이
<몽고반점>은 그 여자의 형부가,
그리고 마지막 <나무 불꽃>은 그 여자의 언니가 화자로 등장한다.
고기를 먹느니 차라리 자신의 동맥을 그어버린 여자.
그 여자와는 도저히 함께 살지 못하겠다는 남편.
이혼한 여자는 온 몸에 꽃으로 바디페인팅을 한 채 작품을 찍어달라는 비디오 아트스트 형부의 부탁을 들어준다.
급기야 형부도 온몸에 꽃을 그리고 묘한 예술혼에 사로잡혀 체제와 성관계를 갖는다.
그 모습이 고스란히 담긴 영상을 보게 된 언니.
모든 가정은 그야말로 사단이 나고 결단이 난다.
추잡하고 사이코델릭한 막장 드라마?
아니다.
인간이 원초적인 식물로 정화되는 이야기라고 해두자.
그 여자는 분명히 깊고 굵은 뿔리는 내렸을테다.
물과 햇빛.
그걸로 삶은 충분하다!
그녀는 무덤처럼 지쳐있었다.
"언니! 나는 이제 동물이 아니야. 밥 같은 거 안 먹어도 돼. 살 수 있어. 햇빛만 있으면"
고속버스터미널 화장실에서 어미가 녹슨 가위로 탯줄을 잘라 세상에 나오게 한 아이 제이.
그리고 함구증(啣口症)을 앓았던 아이 동규.
세상 모든 것의 목소리와 고통을 듣는 제이.
이야기는 동화일까? 아니면 환상일까? 아니면 단지 소설일까?
확실히 나는 처음에 이 소설을 동화처럼 읽었다.
아주 순수하고이쁘게... ^^
그런데 젠장!
이 한 권의 책 속에 대한민국의 현주소가 비참하게 그려져있다.
난장을 까는 십대들,
야생에 가까운 무절제한 폭력과 섹스,
친구들에게 집단 구타당하고 학대받는 장애인 소녀,
가출한 소녀들이 원조교제를 통해 벌어온 돈으로 살아가는 소년들.
인간(人間) 에겐 무수한 틈(間)이 있고 무수한 타락의 본능(奸)이 있다.
마지막 부분은 사족같아 힘이 좀 빠지긴 했지만
매력적이고 집요한 이야기다.
처음에 이 책표지를 봤을때 촛불집회와 관련이 있나 싶었는데
김영하에게 또 여러 가지로 한 방 제데로 먹었다.
늘 느끼는 거지만
김영하의 한 방은 참 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