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기억한다.
2009년 2월 9일 성균관대학고 600주년 기념관에서
심환지에게 보낸 정조의 어찰 297통이 공개됐다는 기사를.
그때는 임금이 신하한테 보낸 편지가 뭐 그리 특별하다고...하면서 자세히 읽지 않았었다.
지극히 편애하는 정조와 관련된 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
흩어져 있는 것까지 합치면 모두 350편이나 되는 방대한 양의 편지다.
그것도 정조와 대립했던 인물로 알려진 노론 벽파의 핵심 인물 심환지 한 사람에게만 보낸 비밀편지.
정조는 편지에서도 폐기하라고 몇 번씩 명령했으나
심환지는 어떤 이유에선지 왕명을 거슬리고 이 편지들을 보존했다.
편지를 받은 날짜과 시각까지 따로 세세히 기록하면서까지...
정조 독살의 주도자로 알려진 심환지에게 정조가 그토록 많은 비밀편지를 보낸 이유는 뭘까?
그리고 심환지 역시 폐기를 명령한 편지를 온전히 보존한 이유는 뭘까?
시작부터 이 책은 내 흥미를 완벽하게 잡아 끌었다.
동일한 사건에 대해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같은 공식적인 사료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과는 사뭇 많이 다르다.
정조는 심환지를 조종하여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관철시키거나 사건에 대한 자신의 속내를 드러낸다.
실제로 심환지를 비롯한 많은 대신들의 상소문이
사실은 정조의 지시에 의해 올려졌다는 사실도 편지를 통해 알 수 있다.
정조는 여론을 청취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이런 편지들을 이용했는데 이 편지들은 비밀스럽게 오고갔으며
완벽히 폐쇄적인 형태의 의사소통이기도 했다.
(아마도 계산된 정치적 의도가 아니었을까?)
학구적인 성군으로 알려진 정조는 의외로 어찰에서는 거친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김매순에 대해선 "입에서 젖비린내 나고 미처 사람 꼴을 갖추지 못한 놈"이라고 표현했고
김이영을 향해선 "경박하고 어지러워 동서도 분간 못 하는 놈"이란 평가를 내렸다.
또 어용겸의 자제들에게는 "개돼지보다 못한 물건"이라는
상당히 걸죽한 표현도 마다하지 않았다.
(정말 새로운 정조의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많이 봤다.)
또 주둥아리를 놀린다든가, 호로자식이라는 욕설이라고 할 수 있는 표현까지도 서슴치않고 사용했다.
한 나라의 국왕쯤 되면 항상 격있는 문장으로만 편지를 썼을 것 같은 내 생각과는 다르게
정조는 이두문자와 한글까지도 함께 혼용해서 사용했다.
(아래 사진의 어찰을 자세히 보면 한글이 보일 거다. "뒤쥭박쥭"이라는....)
이 사람이 문예반정을 추진한 그 정조가 맞나 싶을 만큼 새로운 발견이다.
자신이 비판했던 소품문의 문체를 그대로 비밀편지에 사용한 정조!
개인적으로 반전도 이런 반전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도 편지를 쓰면서 혼자서 껄껄 웃지 않았을까?)
...... 정조는 개혁을 추진한 학자풍 군주로서, 조선 전기의 세종과 더불어 성군 이미지로 한국인에게 각인되어 있다. 그런 정조가 보낸 비밀편지는 자신을 독살했다고 오해할 만큼 적대적 관계로 알려진 심환지를 적극적으로 회유하고, 막후에서 비밀스런 지시와 조정을 주도하는 노련한 정치가의 수완과 동태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민감한 정치적 사인이 담겨 있어서 국왕이 없애라고 명령한 문건인데도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사실이 관심을 한층 증폭시켰다. 게다가 비밀편지는 국왕 정조의 가볍고 다혈질적인 성미까지 폭로했다 ......
정조어찰은 정치사 사료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문학과 서예, 궁정의 문화와 생활사 같은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다고 한다.
그리고 정조의 사망과 관련된 숱한 의혹들에도 단서를 제공한다.
정조는 독살됐는가? 아니면 오랜 지병으로 인한 자연사인가?
1800년 6월 28일 사망한 정조는 6월 9일, 15일에도 심환지에게 편지를 보내 병세의 심각함을 알렸다.
책을 쓴 저자 안대회는
이덕일이 <조선왕 독살사건>에서 주장한 정조 독살설에 대해 6가지 논리를 들어 반론한다.
(이덕일의 책 역시도 오래전에 재미있게 봤었다)
어쩌면 사실 심환지는 정조의 명으로 노론 벽파의 핵심인물이 된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모든 게 다 정조의 놀라운 정치적 계획이었다면?
이 책을 읽고 정조에 대해 내가 실망했을까?
정답은 "No" 다. 그것도 Never!
성군 정조가 더 인간적으로 다가왔다면 이해가 될까?
덕분에 정조에 대한 애정이 더 생기고 말았다.
이러다 편애가 극심을 넘어 지극해질까봐 심히 걱정스럽다.
<정조> <심환지>
* 정조의 초상화는 현재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 없단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정조의 초상화는 거의가 현대에 제작된 것들이다.
문화의 르네상스를 만들었던 정조 입장에서 볼 때 참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2009년 2월 9일 성균관대학고 600주년 기념관에서
심환지에게 보낸 정조의 어찰 297통이 공개됐다는 기사를.
그때는 임금이 신하한테 보낸 편지가 뭐 그리 특별하다고...하면서 자세히 읽지 않았었다.
지극히 편애하는 정조와 관련된 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
흩어져 있는 것까지 합치면 모두 350편이나 되는 방대한 양의 편지다.
그것도 정조와 대립했던 인물로 알려진 노론 벽파의 핵심 인물 심환지 한 사람에게만 보낸 비밀편지.
정조는 편지에서도 폐기하라고 몇 번씩 명령했으나
심환지는 어떤 이유에선지 왕명을 거슬리고 이 편지들을 보존했다.
편지를 받은 날짜과 시각까지 따로 세세히 기록하면서까지...
정조 독살의 주도자로 알려진 심환지에게 정조가 그토록 많은 비밀편지를 보낸 이유는 뭘까?
그리고 심환지 역시 폐기를 명령한 편지를 온전히 보존한 이유는 뭘까?
시작부터 이 책은 내 흥미를 완벽하게 잡아 끌었다.
동일한 사건에 대해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같은 공식적인 사료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과는 사뭇 많이 다르다.
정조는 심환지를 조종하여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관철시키거나 사건에 대한 자신의 속내를 드러낸다.
실제로 심환지를 비롯한 많은 대신들의 상소문이
사실은 정조의 지시에 의해 올려졌다는 사실도 편지를 통해 알 수 있다.
정조는 여론을 청취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이런 편지들을 이용했는데 이 편지들은 비밀스럽게 오고갔으며
완벽히 폐쇄적인 형태의 의사소통이기도 했다.
(아마도 계산된 정치적 의도가 아니었을까?)
학구적인 성군으로 알려진 정조는 의외로 어찰에서는 거친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김매순에 대해선 "입에서 젖비린내 나고 미처 사람 꼴을 갖추지 못한 놈"이라고 표현했고
김이영을 향해선 "경박하고 어지러워 동서도 분간 못 하는 놈"이란 평가를 내렸다.
또 어용겸의 자제들에게는 "개돼지보다 못한 물건"이라는
상당히 걸죽한 표현도 마다하지 않았다.
(정말 새로운 정조의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많이 봤다.)
또 주둥아리를 놀린다든가, 호로자식이라는 욕설이라고 할 수 있는 표현까지도 서슴치않고 사용했다.
한 나라의 국왕쯤 되면 항상 격있는 문장으로만 편지를 썼을 것 같은 내 생각과는 다르게
정조는 이두문자와 한글까지도 함께 혼용해서 사용했다.
(아래 사진의 어찰을 자세히 보면 한글이 보일 거다. "뒤쥭박쥭"이라는....)
이 사람이 문예반정을 추진한 그 정조가 맞나 싶을 만큼 새로운 발견이다.
자신이 비판했던 소품문의 문체를 그대로 비밀편지에 사용한 정조!
개인적으로 반전도 이런 반전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도 편지를 쓰면서 혼자서 껄껄 웃지 않았을까?)
...... 정조는 개혁을 추진한 학자풍 군주로서, 조선 전기의 세종과 더불어 성군 이미지로 한국인에게 각인되어 있다. 그런 정조가 보낸 비밀편지는 자신을 독살했다고 오해할 만큼 적대적 관계로 알려진 심환지를 적극적으로 회유하고, 막후에서 비밀스런 지시와 조정을 주도하는 노련한 정치가의 수완과 동태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민감한 정치적 사인이 담겨 있어서 국왕이 없애라고 명령한 문건인데도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사실이 관심을 한층 증폭시켰다. 게다가 비밀편지는 국왕 정조의 가볍고 다혈질적인 성미까지 폭로했다 ......
정조어찰은 정치사 사료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문학과 서예, 궁정의 문화와 생활사 같은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다고 한다.
그리고 정조의 사망과 관련된 숱한 의혹들에도 단서를 제공한다.
정조는 독살됐는가? 아니면 오랜 지병으로 인한 자연사인가?
1800년 6월 28일 사망한 정조는 6월 9일, 15일에도 심환지에게 편지를 보내 병세의 심각함을 알렸다.
책을 쓴 저자 안대회는
이덕일이 <조선왕 독살사건>에서 주장한 정조 독살설에 대해 6가지 논리를 들어 반론한다.
(이덕일의 책 역시도 오래전에 재미있게 봤었다)
어쩌면 사실 심환지는 정조의 명으로 노론 벽파의 핵심인물이 된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모든 게 다 정조의 놀라운 정치적 계획이었다면?
이 책을 읽고 정조에 대해 내가 실망했을까?
정답은 "No" 다. 그것도 Never!
성군 정조가 더 인간적으로 다가왔다면 이해가 될까?
덕분에 정조에 대한 애정이 더 생기고 말았다.
이러다 편애가 극심을 넘어 지극해질까봐 심히 걱정스럽다.
<정조> <심환지>
* 정조의 초상화는 현재 전해져 내려오는 것이 없단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정조의 초상화는 거의가 현대에 제작된 것들이다.
문화의 르네상스를 만들었던 정조 입장에서 볼 때 참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