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2. 7. 13. 08:05

드디어 <토지>를 완독했다.

그야말로 방대한 분량이었고 장구한 역사였고 대단한 노고였다.

<태백산맥>, <장길산>, <아리랑> 처럼 10권으로 된 대하소설을 읽고 나서도

한참이나 그 뿌듯함과 마치 뭔가를 해낸 것 같은 기분을 들게 하는데

토지는 무려 21권의 분량이었다.

작가 박경리가 문학적으로 어떤 일을 해낸건지

읽으면서 그 경외감이 들었다.

박경리는 위대한 사람이다.

단지 <토지>를 탈고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미 범인일 수 없다.

내 기억에 드라마도 두 번 제작됐던 것 같다.

1980년대 KBS에서 제작했었고 그 때 서희 역을 최수지였다.

(지금 뭘하고 사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2004년 SBS에서 제작했었고 김현주가 서희 역을 했었다.

드라마에 대한 기억은 그러나 전혀 없다.

작가 박경리는 문학을 업으로 삼는 후배들에게 참 많은 것을 남겼다.

지금도 원주에 있는 "토지문학관"에는 매일 박경리가 김매던 논밭을 보며

열심히 글을 쓰고 있는 작가들이 많으리라.

둥지 속에 있는 어린 새처럼.

 

 

...... 외치고 외치며, 춤을 추고, 두 팔을 번쩍번쩍 쳐들며, 눈물을 흘리다가는 소리 내어 웃고, 푸른 하늘에는 실구름이 흐르고 있었다  .......

 

장구한 <토지>의 21권의 마지막 문장이다.

오랜 억압이 일시에 풀렸을 때 사람들은 어떤 심정이 될까?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나는 맥이 순간 빠져나가는 느낌이었다.

장중하고 비장한 마무리를 예감했던 것도 아닌데

평사리의 최서희가 되버렸다.

온 몸을 위감은 쇠사슬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땅에 떨어지는 느낌.

후련하면서도 아득했다.

일시에 혼백이 잠시 몸을 빠져나간듯한 혼몽함.

그래서 일부러 다른 책을 얼른 펼쳤다.

빠져나와야 할 것 같아서... 

<토지> 5부작은 참 이력도 분분하다.

1부는 1969년부터 1972년 9월까지 "현대문학"에 연재,

2부는 1972년 10월부터 1975년 10월까니 "문학사상"에,

3부는 1978년부터 "주부생활"에 연재

4부는 1983년부터 "정경문화"와 "월간경향'에 나눠서 연재

5부는 1992년부터 "문화일보"에 연재해서 1994년 8월 15일 완결됐다.

무려 25년 동안 6개 문예지와 잡지를 거쳐온 셈이다.

이 긴 시간동안 이야기의 흐름을 놓지 않고 산다는 게 어떤 느낌일까?

때론 지긋지긋했을테고 때론 감당하기 버거울 수도 있었겠다.

잉크를 채우는 만년필로 원고지에 꾹꾹 자필로 이야기를 엮었을 박경리의 손끝이 마냥 위대하고 신성스럽다.

10병 중 8병의 잉크를 다 쓰고 열리지 않은 2병의 잉크를 사용하기 위해

박경리는 뚜껑에 송곳을 대고 구멍을 뚫었단다.

그러면서 안심했단다.

그 심정 감히 불경스럽게도 조금 이해가 된다.

개인사도 결코 수월하지 않았던 박경리.

아마도 그는 다른 세상에서도 이곳에서처럼

자신이 키운 고추를 타고 갈무리하면서 만년필을 꾹꾹 눌러 글을 쓰고 있지 않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문학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면,

그가 누구든그들의 인생엔 아무런 죄 없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