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1. 4. 18. 06:22
폴 오스터의 소설은 흥미롭고 매력적이다.
폴 오스터의 세계는 항상 몇 가지의 세계가 함께 공존한다.
그리고 그런 연결되어 있기도 전혀 그렇지 않기도 하다.
그의 소설 제목처럼 그건 보이는 세계이면서
동시에 보이지 않는 상상과 공상이 만들어낸 세계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부적인 스토리텔러 폴 오스터를 거쳐가면
그 세계는 현실보다 더 생생해서 지금 살고 있는 세계를 공상화한다.
그을 읽고 있으면 내가 화자가 되고 서술자가 되어 주도적으로 이야기 속으로 파고든다.
이건 일종의 마력이고 중독이다.
때론 진심으로 궁금하다.
내가 지금 몹쓸 흑마술에 걸린건 아닌지가...


각 장마다 시점과 서술자가 달라지고
믿어지지 않는 새로운 사실의 등장과 폭로는
읽는 사람을 불연듯 섬득하게 만든다.
어쩌면 소설 속 인물 워커의 말처럼 좀 혐오스러운 이야기일수도 있겠다.
그렇다고 읽기를 그만둔다면,
보른의 말처럼 후회하게 될지도 모른다.
지금 보이는 세상에서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은?
혹은 지금 보이는 세상이 내게 보이지 않는 것은?
책은 철학적인 질문으로 나를 내몬다.
나는 이 모든 사람들이 쏟아내는 폭로같은 진실들을 믿을 수 있을까?
아니면 진짜 진실이라는 게 이 중에 있기는 한걸까?
오스터의 글은 점점 재미와 함께 무거운 중압감을 남긴다.
그의 앞으로의 글들이 그래서 나는 조금씩 무서워지기 시작했다.
그의 세계가 내겐 moon hill 이다.

이 소설에서 오스터가 주장하는 바에 의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현실 속에 어떤 사건이 벌어졌기 때문에 그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이 벌어졌다고 <생각하기> 때문에(기억이든 환상이든 우연이든) 그 사건이 존재한다. 이렇게 볼 때 나라는 존재가 먼저 있는 게 아니라 내가 생각해 내는 이야기가 먼저 있고 그 이야기 속의 나는 얼마든지 <그>로 대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어떤 사람이 갖고 있는 - 꾸며낸 것이든 혹은 꾸며내지 않은 것이든 - 일관된 이야기가 그 사람의 자아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인간들은 모두 호모 파블라토르(Homo fabulator, 이야기를 말하는 사람)다 

작품 속에서 <보이지 않는 invisible>이라는 단어가 명시적으로 사용된 문장을 이러하다.
.... 나 자신을 1인칭으로 서술함으로써, 나는 나 자신을 질식시켰고 <보이지 않는> 존재로 만들었다. 그리하여 내가 찾고 있던 것을 찾는 게 불가능해졌다. 나는 나 자신으로부터 떨어트릴 필요가 있었고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나 자신과 나의 주제(바로 나 자신)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두는 것이 필요했다. 그래서......<나>는 <그>가 되었다.
나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나를 <그>나 <너>라고 보게 된다는 것이다.



작가 김연수를 이야기할 때 항상 나오는 책이 바로 이 책 <나는 유령작가입니다>였다.
문단계에서 오래전부터 주목받고 있는 그의 작품을 그래도 몇 편 찾아 읽었고,
읽고 나서 혀를 내눌렀었는데
공교롭게도 이 책은 매번 놓였었다.
드디어... 드디어.. 읽어버렸다.
김연수.
그는 아무래도 신내림을 받은 사람인 것 같다.
그것도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그의 몸 속에 웅크리고 있는 게 분명하다.
참 볼품없는 억지스런 엉김이지만 내 또래의 나이다.
고작 그정도의 나이테밖에 갖지 못한  그가
조선 시대를 이야기하고, 신민지 시대를 이야기하고
만주 지역을 이야기하고, 혜초의 왕오천국국전을 이야기한다.
그것도 기록된 역사를 철저히 불신하면서 완벽하게 고립의 언어로 말이다.
그의 글들은 비극적이라는 표현이 희극적으로 들릴만큼 비의적이다.
이미 늙어버린 그의 언어는 세상 그 어떤 생물보다 생명력있게 펄덕인다.
그 펄덕임이 문득 무섭다.
마치 그게 유일한 생명력 같아서...
꼭 태고의 눈으로 뒤덮인 낭가파르파트 꼭대기에서 홀로 조난당한 느낌이다.
참. 비.극.적.이.다.
인간도, 인간이 만든 모든 역사도 신기루가 되는 순간이다.
그렇다면 그만둘까?
그만둘 용기도, 허세도 없는 인간은
신기루라는 걸 뻔히 알면서도 그 신기루 속으로 자진해서 들어간다.
별 수 있나!
인간은 이해될 수 없는 존재고,
역사는 믿을 수 없는 존재인데...
달리 무슨 방법이 있을까!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09. 12. 4. 06:11
<공중그네>의 작가 오쿠다 히데오.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마니아 층이 있지 않을까 생각되는 일본 작가.
이 사람의 소설은 톡 쏘는 탄산 음료 같다.
입 안의 맛과 배 속에서 느껴지는 맛이 다르다.
마냥 재미있다고 말하기엔 미안한 그런 내용.
특별한 이야기가 아닌데도 뭔가 사람을 끌어들인다.
소시민의 매력과 능청이라고나 할까?
계산된 웃음이 아니라 일상의 단면을
아주 기발하고 재치있고 캐치한다.



그의 신착 <오 해피데이>
소소한 일상에서 의외의 순간에 해피함을 느끼는 6명의 사람을 그리고 있다.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무릎을 치며 동의하게 된다.
"맞아! 맞아!" 하면서...
30, 40대 중년의 문턱에 서 있는 사람들이 꿈꾸는
일탈, 그리고 생활!
일탈과 생활을 나란히 써 놓고 보니 어울리지 않는 조합같지만
여기에 코믹과 상상이 첨가되면서
놀라운 재미를 선사한다.



인터넷 경매가 삶의 낙이 된 주부,
그 삶의 낙은 여자에게 활기를 주고 젊음을 되돌려준다.
여자는 온 집을 뒤적이며 옥션에 올린 물건이 없는지 고심한다.
그녀 일생에 포인트가 된 옥션 경매..,
느닷없는 회사의 도산에 전업주부가 된 남자.
이런데 이런!
"전업주부"가 그 남자의 "청산"이 될 줄이야...
별거를 선언한 아내 덕분에 남자의 로망인
아지트를 만든 남자.
로하스에 빠진 아내.
그 이야기를 소재로 소설을 썼으나 가정의 평화(?)를 위해
출판사에 원고 파기를 간청하는 소설가...
읽다보면 참 재미있는 군상들이란 생각도 하게 되지만
딱 내 옆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이기에 더 공감을 하게 된다.



무엇보다 표지에 있는 이 아이의 표정이 너무 재미있어
자꾸 책을 덮게 된다.
상당히 "개죽이(?)"스럽게 느껴지는 아이의 표정.
귀엽기도 하고, 의뭉스럽기도 하다.
책의 내용과 딱 어울리는 그런 표정을 얼굴 가득 짓고 있는 아이...
딱 오쿠다 히데오 스러운 표정이 아닐 수 없다.
담장 위에 앉아 있는 고양이의 표정도 결코 예사롭지 않고...
이거 은근히 중독성 있다.
오쿠다 히데오처럼...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