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 파트리크 쥐스킨트
파트리크 쥐스킨트!
이 매혹적인 작가를 어떻게 소개해야 할까요?
<좀머씨 이야기>, <콘트라베이스>, <비둘기>, <깊이에의 강요>
우리나라에 번역된 그의 작품 모두 하나같이 다 문제작이긴 하지만 <향수>라는 책을 읽었을 때의 그 강렬함이라니...
작가가 만든 “신세계”의 미궁에 제대로 빠져버렸다고 한다면 이해가 되실까요?
이 책,
사연도 참 많습니다.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라는 부재를 달고 있는 이 책은,
1991년 12월 국내 초판 됐고(제가 가지고 있는 책이 파란 표지의 그 오래된 초판, 바로 그 거랍니다) 1995년, 2000년 두 차례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영화 개봉과 더불어 다시 신판이 출판되면서 폭발적인 판매 기록을 보였죠. 초스테디셀러에 등극한 이 소설은 지금까지 30쇄 이상 재판됐다고 합니다.
(영화 예술의 힘! 작년에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자들의 도시>를 베스트셀러 2위에 올려놓는 걸 보면서 또 다시 절감했죠)
그런데 이 사실도 아세요?
이 책이 “19금 이야기”의 선정 도서가 됐었다는 사실도요.
책의 후반부쯤에 나오는 사형집행장에서의 집단 난교 부분과 마지막 충격적인 결말들이 이런 영예(?)를 안겨준 셈이죠.
그것도 출판된 지 한참이 지난 후에 이런 에피소드가 생긴 걸 보면, 책은 정말 살아 있다는 환상을 여전히 품게 합니다.
“환상”이라는 말이 나왔으니까 하는 말인데요,
파트리크 쥐스킨트는 작가에 대한 극단적인 환상을 심어주는 사람이기도 하죠.
전세계의 집요한 매스컴의 추적을 거의 완벽하게 피하면서 숨어있는 사람.
대인공포가 있다는 소문, 동성연애자라는 소문, 그리고 흉한 장애가 있다는 소문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사람들과의 만남도 싫어해 문학상도 거절하고 인터뷰도 거절하며 철저하고 은둔하고 있는 작가!
그는 자기 작품에 대한 관리 전체를 형에게 맡긴 채 현재 프랑스 남부에 있는 작은 오두막집에 잠금장치까지 하고 살고 있다고 합니다.
친하게 지내는 사람도, 동료 작가도 없고 심지어 자신의 신상에 대해 발설한 사람이면 친구와 부모를 가리지 않고 누구와도 절연해 버릴 정도라고 하니 오래된 사진 한 장으로만 알려진 그를 세상에 불러낸다는 건 도무지 불가능해 보이네요.
그러나 생각합니다.
그는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작은 오두막에서 지금 <향수>보다 더 매혹적인 작품에 몰두하고 있을 거라고...
(사실 그의 새로운 책의 출판을 전 아주 많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책 <향수>의 줄거리는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있을 거예요.
질긴 생명력으로 생선 내장 더미 위, 아무 냄새도 갖지 못하고 버려지듯 태어난 아기 그르누이.
그의 삶의 목적, 그건 사람의 “냄새”를 내 몸에 갖겠다는 강렬한 탐욕이었습니다.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갖고자 하는 욕망.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탐욕”이라는 의미는 그러나 그에겐 적절치 않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그가 품은 “탐욕”은 소유에 대한 집착보다 오히려 생명에 대한 무심한듯하지만 강렬한 집착에 가깝기 때문이죠.
“생명”이라는 거,
“향기”를 품지 않는 생명이란 죽음의 다른 이름이라는 걸 그르누이는 그의 살인 행각을 통해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지어 책을 읽고 있는 사람을 가장 가까운 동반자로 만들어 버리기까지 하죠.
그를 피해 달아나는 향기가 그에게 무사히 채집되기를 나 또한 간절히 바라는 마음.
향기를 채집하는 그의 섬세한 행동 하나 하나가 성스럽고 예술적으로 느껴지는 그 순간,
이제 그의 옆에 제 2의 그르누이의 자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겁니다.
25명의 향기가 채집되기까지 저 역시도 그의 동조자가 되어 가만가만 숨을 죽입니다.
어쩌면 결말 혹은 끝장을 보고 싶다는 저의 또 다른 탐욕인지도 모르겠네요.
그의 향기에 취해 그를 탐하는 무리에 둘러싸이게 되는 마지막 결말.
악마적인 황홀경에 빠져 그의 향기를 먹어치우는 무리 속에 나 자신이 없다고 과연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까요?
함께 한 사람들은 이미 무언의 합의를 끝낸 듯 합니다.
그건 “구원”의 행위였다고......
그의 향은 우리를 구원했고 그리고 우리는 그를 각자의 몸 안에 조각내 피난시킴으로 구원을 해줬다고......
이제 남겨진 사람을 우리는 누구라고 불러야 할까요???.......
서번트 신드롬 (savant syndrome)!
지능은 보통사람들보다 떨어지지만 음악연주나 달력계산, 암기, 암산 등 어떤 특별한 부분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는 사람들을 간혹 보게 됩니다.
프랑스어로 이 말은 배우지 않고(바보 idiot) 터득한 기술(석학 savant)이라는 뜻이죠. 특히 발달장애나 자폐증 같은 뇌기능 장애를 가진 이들이 그 장애와 대조되는 천재성이나 뛰어난 재능을 보일 때 이 서번트 신드롬(savant syndrome), 석학증후군 이란 말을 하게 됩니다.
영화 <레인 맨>에서 톰 크루즈의 형으로 나왔던 더스틴 호프만이 바로 서번트 신드롬을 가진 자폐인을 연기했었죠.
말하자면,
그르누이도 서번트 신드롬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흔히 천재성은 그 “광기”로 인해 인생 전체를 “파괴”하기도 하죠.
“Utopia”가 아닌 “Destopia”의 탄생.
철저하게 파괴함으로써 이상향을 만들겠다는 “Destopia”
<향수>
그 위험한 Destopia의 세계.
그 세계가 섬뜩했던 건 사실이지만 그보다 더 매혹적이었음을 고백할 수 밖에 없네요.
만약,
당신에게 아직 향기가 있다면....
조심하길 진심으로 당부합니다.
조각난 그르누이가 혹 당신을 탐할 수도 있으니.....
<유일한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