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0. 12. 16. 06:00
문학동네가 올해 초에 의미있는 일을 냈다.
한 장의 그림 또는 하나의 역사적 장면을 키워드로 삼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견하는 인문서 시리즈 '키워드 한국문화'는
현재까지 10권의 책이 출판됐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출간할 예정이란다.
개인적으로 참 고맙고 반가운 책이라 하겠다.
그 첫번째 책이 바로 <세한도>다.
추사 김정희!
시, 서,화에 두루 능했을 뿐만 아니라
금석학, 경학, 고증학까지 조예가 깊었던 그는 중국까지도 그 명성을 떨쳤다
우리나라 전체를 통틀어 손꼽힐만한 지식인이었던 추사.
그리고 추사의 뒤에서 방대한 정보력을 제공한 사람이 바로 우선 이상적이다.
추운 겨울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 것을 알게 된다.
세한도 그림 속에는 유명한 공자의 말이 그대로 담겨져 있다.



제주도에 위리안치된 추사 김정희.
유배간 사람을 누가 일부러 찾을까?
그것도 바다 건너 저 먼 제주도까지...
추사의 제자이자 당대 유명한 역관이었던 우선 이상적은 
그러나 변함이 없이 추사를 그리워하고 흠모하면서
그에게 청나라에서 가지고 온 귀한 서책들을 보냈다.
그가 보낸 책에는 당시에 지식인들이 읽고 싶어했던
<황조경제문편> 120권 79책도 있었다.
말이 120권이지 예정없는 뱃길로 서책을 운반하기란 지금처럼 쉽지 않았으리라.
이상적 본인도 청나라에서 문집이 간행될 정도로 문학적 소양을 인정받은 사람이었는데
어찌 그런 귀한 책들이 탐나지 않았을까!
그 마음을 능히 알았을 추사는 <세한도>를 그려 이상적에게 보낸다.
그러니까 <세한도>는
이상적의 의리와 믿음이 추운 겨울 변하지 않고 푸르른 소나무와 잣나무 같다는 표현이자
추사의 진심이 담긴 그윽한 마음의 전달이었다.

...... <세한도>에 담긴 정신이 추사 한 사람만의 감회가 아니라, 조선의 모든 선비들의 정신이자 지금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추사는 <세한도>를 통해 바로 이 조선의 정신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것은 단순한 한 장의 그림이 아닌, 학문과 예술이 하나 되는 경지가 무엇인지를 말해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소중한 것은 추사가 <세한도>를 완성해낸 과정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추사는 청나라에서 유행하던 화풍을 연구하여 그 근원의 궁극을 파헤쳤고, 그 궁극에 이르는 문경을 만들어냈다. <세한도>는 추사 자신이 만든 그 문경의 정점에 있는 작품이다. <세한도>에 청조 학술과 예술의 정수가 담겨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추사가 <세한도>를 완성하는 과정은 우리가 외래문화를 어떻게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한 전범이라 할 수 있다. 외래문화의 틀 속에 우리의 정신을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지, 그 해답을 제시해준 것이다. 이것은 바로 외래문화의 수용을 통해 새롭게 창조한 우리 문화가 그 보편적 가치를 확보해나가기 위해서는 얼마나 처절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


박철상의 글을 읽으면,
그가 <세한도>에 얼마나 특별한 감회와 존경을 담고 있는지 충분히 알 수 있다.
일부러 관계된 모든 것들을 찾아 책 속에 담으려고 한 모습이
읽는 내내 또 다른 감동이었다.
명작이라고만 알고 있었던 <세한도>에 담긴 몰랐던 사실들도 알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또 식민지 시절 일본으로 옮겨진 <세한도>를 거금을 주고 찾아온 손재형의 모습에선
간송 전형필을 떠올렸다.
(이들 때문에 우리는 얼마나 많은 문화유산을 지킬 수 있었는가!)
손재형이 찾아오지 않았다면 <세한도> 여깃도 
일본 공습의 폭격 속에서 재가 되고 말았으리라...



책 말미에 20여명이 <세한도>를 보고 쓴 제형을 찬찬히 읽는 것도 특별했다.
추사에게 <세한도>를 받은 이상적은
연행길에 그 그림을 동반한다.
좋은 그림을 자랑하고 싶은 마음도 물론 있었겠지만
이상적은 청나라에서 추사의 소식을 궁금해하던 사람들에게 그림을 보이고
직접 그들의 제형을 받아와 스승에게 알린다.
서로의 안부를 제형으로 확인하고 위로하는 애뜻한 정을 보는 것 역시도
뭉클할만큼 아름답다.

책을 읽으면서,
몇 년 전에 <세한도>가 전시됐을 때
미적거리다 미처 찾아보지 못한 게 또 그렇게 원망스러울수가 없다.
게으른 자의 회한은
늘 반성할 것 투성이다.

세.한.도
눈 앞에서 직접 확인하고 싶은 정신이다.
얼마나 아득할까....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