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끄적 끄적...2010. 12. 15. 06:11
2007년 코맥 매카시의 묵시론적인 소설 <로드>
2008년 주노 디아스의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에 이어
2009년 퓰리처상 수상한 엘리지베스 스트라우트의 세번째 소설 <올리브 키터리지>
퓰리처 상은 미국인 작가에 의해 쓰여진 작품 중
미국적 삶을 다룬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로드>나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을 읽으면서는
미국적 삶이라는 부분에 고개를 갸우뚱했는데
이번 소설은 이해가 됐다.
사실은.... 꼭 미국적 삶뿐만은 아니다.
어쩌면 내 이야기, 우리네 가족사와 동일할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말했다.
"읽기는 쉽고 잊기는 어려운 소설" 이라고...
평범한 일상의 에피소드들,
그러나 그걸 에피소드라는 한 단어로 몰아넣기에는 어쩐지 미안하다.
사소한 일상을 어느날 꼼꼼히 들여다보면
의외로 그 곳에서 뜻밖의 일들과 숨겨진 진실을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올리브 키터리지"라는 이름을 살짝 우리 엄마나 할머니 이름으로 바꿔도 하나도 이상할 것 없는 일상.
그 일상의 단편들이 내내 가슴에 담긴다.
참 별 일도 아닌데...



미국 뉴일글랜드 지역 해변 마을.
여기에 한 가족이 살고 있다.
수학교사인 올리브 키터리지와 그녀의 남편 헨리 키터리지.
족부의학 전문의인 아들 크리스토퍼 키터리지.
그리고 그 주변에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
가족과 이웃 이야기에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는 건,
그만큼 내가 외로워서일까? 아니면 이것도 일종의 향수일까?
하나하나의 일상이 어쩌면 그렇게 우리네 모습과 똑같은지 읽으면서 많이 웃었다.
비밀스럽게 소근대는 뒷담화같은 지인과의 대화가 있고.
함께 이웃하며 살거라 여겼던 아들은 결혼과 동시에 멀리 이사를 가버리고
(그래서 아들은 키워봤자 아무 소용 없다고 하는가 보다. 서양이든, 동양이든... ^^)
재혼한 아들의 집을 찾은 엄마는 마음과 다르게 아들과 다투고.
남편과는 의외의 장소(병원)에서 과거 일 때문에 싸우고...
그 남편은 또 어느날 뇌졸증으로 쓰러져 요양원으로 들어가고 ...
심난한가?
결코 그렇지 않다.
13편의 일상은 절묘하게 내 일상과도 거의 완벽하게 닮아있다.
어쩐지 안도감이 생긴다.
내가 평범한 인간이라는 걸 인증받은 것 같아서...



어쩌면 나도 더 나이를 먹게 되면 그럴지도 모르겠다.
약속을 잡을 땐 일부러 점심이 아닌 저녁 시간으로 잡으려 할지도.
점심은 헤어지고 나면 아직 하루가 많이 남지만
저녁약속이 있으면 종일 고대하게 된단다.
은퇴하고 홀로 남은 사람에겐 어쩌면 누군가와의 사소한 한끼 식사 약속이
가장 절실하고 소중한 이벤트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지도...
일상이라는 너무나 평범한 시간들.
그러나 이 책은 이런 일상이 결코 쉬은 삶은 아니라고 말한다.
책의 마지막에 변역가 권상미도 한 마디 보탠다.
일상을 소중하게 생각은 하지만
그걸 존중해야 겠다고는 한 번도 생각한 적이 없었노라고...

속으로 뜨끔했었다.
사실 퓰리처상이라는 수식어엔 별 감흥이 없었지만
평범한 일상을 이렇게 보석같이 만들어 낸 재능엔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엘리자베스 스투라우트!
어쩌자고 날 꿈꾸게 만드는가!
...... 작가가 되겠다면 포기하지 말며,
포기할 수 있다면 포기하되,
포기할 수 없다면 계속 글을 쓰고,
좋아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필사하며
습작을 게을리 하지 말라 ......

그녀는 42살에 첫 장편 <에이미와 이사벨>을 발표했고
아직까지도 육필 원고를 고집하는 조금은 고루한 사람이다.
처음 읽은 소설이었지만 자꾸 우리나라 "박완서"와 겹쳐진다.
작가 박완서가 쓴 일상 역시도 얼마나 활홀하고 정직하더냐.
묘하게도 이 두 사람에게선
세월의 연륜과 깊이와 함께 파릇파릇한 새싹에게서나 느껴질 참신함까지 철철 넘친다.
이 두 세계가 공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지금 마냥 신비로워 하는 중이다.
내게는 지금 이 느낌이 시크릿 가든이다.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