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라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조선의 유토피아를 이야기할 때 제일 먼저 떠올리는 되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은 꿈속에서 본 장면이 너무나 선명하게 떠올라
이것을 그림으로 남겨두고 싶은 마음에 당대 최고의 화가인 안견을 부른다.
그에게 자신의 꿈 이야기를 해주고 이를 그리라 명했는데
안견은 사흘 만에 그림을 완성해 안평대군에게 바쳤다.
그림은 받아본 안평대군은 별도로 <몽유도원기(夢遊桃源記)>라는 글을 통해
자신이 꿈 꿈과 이것을 그림으로 남기게 된 사연을 자세히 설명했다.
안평대군은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림 첫머리에 큼직하게 제목 글씨를 써 붙이고
집현전 학사 등 당대 쟁쟁한 문인 스물한 명에게 이를 기리는 시와 문을 받기까지 했다.
이로써 몽유도원도는 20여 미터가 넘는 길이의,
당대 최고의 문인과 예술가들의 그림과 글이 한 편의 두루마리에 다 들어간 역작이 된다.
그러나 원본은 1453년 계유정난 때 누군가의 손에 의해 사라졌다.
그러다 1800년대 후반에 일본 유력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1939년에는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는 비운의 운명이 된다.
현재 <몽유도원도>는 일본의 덴리대에서 소장중이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주 가끔 일본에 빌려서 전시하는 상태다.
가장 최근의 전시는 2009년 9월 29일부터 10월 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있었다.
어물쩡거리다가 이것도 어이없이 놓치고 말았다.
언제 다시 또 오게 될지 모르는 상태였는데....
뉴스를 통해서 본 길게 늘어선 관람줄에 그만 덜컥 겁이 났던 기억이 선명하다.
이 책을 읽고 안평대군의 꿈 속에 박팽년, 신숙주, 최항이 등장했다는 걸 알게 됐다.
박팽년은 처음부터 안평대군과 동행했고
신숙주와 최항은 나중에 뒤에서 나타났다고 하는 꿈의 내용은
마치 계시나 혹은 암시처럼 섬득하게 다가온다.
...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도원을 본 것은 그의 나이 서른인 1447년이었다. 그후, 그의 형인 수양대군이 자신의 지지자들과 힘을 합하여 계유정난을 일으켜 원로대신 김종서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이때가 단종이 즉위한 이듬해인 14532년이다. 수양대군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많은 이들의 신망을 받고 있는 안평대군의 존재는 위협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수양대군은 계유정난 당시 안평대군을 역적으로 몰아 강화 교동도로 유배 보냈다가 결국 죽여버린다.
수양대군이 1457년에 이름뿐인 왕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영월로 유배 모내고 마침내 거기서 죽이는 일련의 사건이 일어나기까지, 박팽년은 끝까지 수양대군, 즉 세조에게 협조하지 않고 단종복위 운동을 벌이다가 1456년에 죽임을 당했다. 반면 신숙주와 최항은 수양대군의 편에 서서 정난의 공신이 되었다. 특히 문종으로부터 단종을 도울 것을 부탁받았던 신숙주는 오히려 단종의 처형을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다 ...
안평대군은 혹시 자신의 처지를 어느정도 예상했을까?
그래서 그토록 자신이 본 꿈의 장면에 집착하고
심지어는 인왕산 기슭에 무계정사(武溪精舍)를 지었던 건 아닐가?
세상 번뇌와 아픔과 고통이 없는 세계를 꿈꾸며 무계정사를 지었을 안평대군은
오히려 이 건물 때문에 상당히 심한 비판을 받고 더 많은 이들로부터 경계를 당했다고 한다.
그리고 얼마 안 되어 형 수양대군의 수하에 의해 강화도로 유배되고, 이후 죽음을 맞는다.
지금 그는 자신이 그토록 꿈꿨던 복숭아꽃 가득한 "몽유도원"에 있을까?
왕실의 인척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피비린내 진동할 일인데
왕의 형제라는 자리는 얼마나 더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자리일까?
피가 피를 부르는 왕위 자리를 보면서
안평대군은 꿈 속에서 본 그 세계 속으로 간절히 들어가고만 싶었을 테다.
어쩐지 처연하고 가련하다.
우리 조상들이 꿈꾼 이상사회는 일하지 않고 놀고 먹는 세계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일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풍요와 즐거움을 함께 누리는 세상을 뜻한단다.
인간이 자연을 존중하고 절제하면서 이용함으로써
자연도 그 정성에 충분히 감응하는 세상이 바로 이상공간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즐기며 사는 모습.
꼭 조선까지 시간을 뒤로 돌리지 않더라도
참 훌륭하신 대통령 덕분에 나도 이 세상이 꿈 속이라고 착각하며 살고 있는 중이다.
어째 몽유의 대상이 완전 뒤바뀐 상태라 여러모로 민망스럽긴 하지만
어찌됐든 이 또한 지나갈 것임을 간절히 믿는다.
(안 믿으면 이걸 어찌 살아~~~!)
파란 지붕에 계신 겁도 안 나게 훌륭하신 분은 알까?
백성들이 속세를 떠나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이유가
국가 권력에서 비롯된 폭정에 대한 도피라는 걸.
(이것도 좀 코믹하게 말고 제대로나 하시던지... 쯧쯧!)
혹시 내가 언제 폭정을 했냐고 말하신다면...
대략 난감이다...
어쩐지 이 멋진 공화국에선
무병장수의 기원마저도 허당같다.
실제로 100년 정도 이어졌다던 판미동 같은 곳,
혹시 지금은 없을까?
살면서 겪는 지긋지긋한 몽환의 세계에서 이제 그만 도망치고 싶다.
참 몰염치하게 길고 긴 악몽이다.
조선의 유토피아를 이야기할 때 제일 먼저 떠올리는 되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은 꿈속에서 본 장면이 너무나 선명하게 떠올라
이것을 그림으로 남겨두고 싶은 마음에 당대 최고의 화가인 안견을 부른다.
그에게 자신의 꿈 이야기를 해주고 이를 그리라 명했는데
안견은 사흘 만에 그림을 완성해 안평대군에게 바쳤다.
그림은 받아본 안평대군은 별도로 <몽유도원기(夢遊桃源記)>라는 글을 통해
자신이 꿈 꿈과 이것을 그림으로 남기게 된 사연을 자세히 설명했다.
안평대군은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림 첫머리에 큼직하게 제목 글씨를 써 붙이고
집현전 학사 등 당대 쟁쟁한 문인 스물한 명에게 이를 기리는 시와 문을 받기까지 했다.
이로써 몽유도원도는 20여 미터가 넘는 길이의,
당대 최고의 문인과 예술가들의 그림과 글이 한 편의 두루마리에 다 들어간 역작이 된다.
그러나 원본은 1453년 계유정난 때 누군가의 손에 의해 사라졌다.
그러다 1800년대 후반에 일본 유력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1939년에는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는 비운의 운명이 된다.
현재 <몽유도원도>는 일본의 덴리대에서 소장중이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주 가끔 일본에 빌려서 전시하는 상태다.
가장 최근의 전시는 2009년 9월 29일부터 10월 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있었다.
어물쩡거리다가 이것도 어이없이 놓치고 말았다.
언제 다시 또 오게 될지 모르는 상태였는데....
뉴스를 통해서 본 길게 늘어선 관람줄에 그만 덜컥 겁이 났던 기억이 선명하다.
이 책을 읽고 안평대군의 꿈 속에 박팽년, 신숙주, 최항이 등장했다는 걸 알게 됐다.
박팽년은 처음부터 안평대군과 동행했고
신숙주와 최항은 나중에 뒤에서 나타났다고 하는 꿈의 내용은
마치 계시나 혹은 암시처럼 섬득하게 다가온다.
...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도원을 본 것은 그의 나이 서른인 1447년이었다. 그후, 그의 형인 수양대군이 자신의 지지자들과 힘을 합하여 계유정난을 일으켜 원로대신 김종서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이때가 단종이 즉위한 이듬해인 14532년이다. 수양대군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많은 이들의 신망을 받고 있는 안평대군의 존재는 위협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수양대군은 계유정난 당시 안평대군을 역적으로 몰아 강화 교동도로 유배 보냈다가 결국 죽여버린다.
수양대군이 1457년에 이름뿐인 왕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영월로 유배 모내고 마침내 거기서 죽이는 일련의 사건이 일어나기까지, 박팽년은 끝까지 수양대군, 즉 세조에게 협조하지 않고 단종복위 운동을 벌이다가 1456년에 죽임을 당했다. 반면 신숙주와 최항은 수양대군의 편에 서서 정난의 공신이 되었다. 특히 문종으로부터 단종을 도울 것을 부탁받았던 신숙주는 오히려 단종의 처형을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다 ...
안평대군은 혹시 자신의 처지를 어느정도 예상했을까?
그래서 그토록 자신이 본 꿈의 장면에 집착하고
심지어는 인왕산 기슭에 무계정사(武溪精舍)를 지었던 건 아닐가?
세상 번뇌와 아픔과 고통이 없는 세계를 꿈꾸며 무계정사를 지었을 안평대군은
오히려 이 건물 때문에 상당히 심한 비판을 받고 더 많은 이들로부터 경계를 당했다고 한다.
그리고 얼마 안 되어 형 수양대군의 수하에 의해 강화도로 유배되고, 이후 죽음을 맞는다.
지금 그는 자신이 그토록 꿈꿨던 복숭아꽃 가득한 "몽유도원"에 있을까?
왕실의 인척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피비린내 진동할 일인데
왕의 형제라는 자리는 얼마나 더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자리일까?
피가 피를 부르는 왕위 자리를 보면서
안평대군은 꿈 속에서 본 그 세계 속으로 간절히 들어가고만 싶었을 테다.
어쩐지 처연하고 가련하다.
우리 조상들이 꿈꾼 이상사회는 일하지 않고 놀고 먹는 세계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일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풍요와 즐거움을 함께 누리는 세상을 뜻한단다.
인간이 자연을 존중하고 절제하면서 이용함으로써
자연도 그 정성에 충분히 감응하는 세상이 바로 이상공간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즐기며 사는 모습.
꼭 조선까지 시간을 뒤로 돌리지 않더라도
참 훌륭하신 대통령 덕분에 나도 이 세상이 꿈 속이라고 착각하며 살고 있는 중이다.
어째 몽유의 대상이 완전 뒤바뀐 상태라 여러모로 민망스럽긴 하지만
어찌됐든 이 또한 지나갈 것임을 간절히 믿는다.
(안 믿으면 이걸 어찌 살아~~~!)
파란 지붕에 계신 겁도 안 나게 훌륭하신 분은 알까?
백성들이 속세를 떠나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이유가
국가 권력에서 비롯된 폭정에 대한 도피라는 걸.
(이것도 좀 코믹하게 말고 제대로나 하시던지... 쯧쯧!)
혹시 내가 언제 폭정을 했냐고 말하신다면...
대략 난감이다...
어쩐지 이 멋진 공화국에선
무병장수의 기원마저도 허당같다.
실제로 100년 정도 이어졌다던 판미동 같은 곳,
혹시 지금은 없을까?
살면서 겪는 지긋지긋한 몽환의 세계에서 이제 그만 도망치고 싶다.
참 몰염치하게 길고 긴 악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