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2012 국립극단 삼국유사 프로젝트
일시 : 2012.09.22. ~ 2012.10.07.
장소 : 백성희장민호극장
극작 : 홍원기
연출 : 박정희
출연 : 정재진, 이용이, 서영화, 이승훈, 김정호, 유병훈, 호산,
이서림 외 9인
2012년 국립극단에서 기획한 삼국유사 프로젝트.
두번째까지 올려진 지금까지의 작품을 보고 난 느낌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전율" 그 자체다.
극본에서부터 연출, 출연하는 배우와 그 배우들의 무대 의상,
심지어 무대셋트와 음향, 조명 하나하나까지 전부 심혈을 기울인 티가 역력하다.
과연 이렇게 정성이 담 작품을 한 편당 달랑 3만원을 내고 봐도 되나 싶어 미안한 마음까지 든다.
(게다가 나는 조기예매 30% 할인까지 받아 2만원 조금 넘는 금액으로 관람했으니 미안한 심정은 더 크다)
이런 호사를 이런 가격으로 누려도 정말 되는 걸까!
관객을 자꾸 미안하게 만드는 작품이라니...
국립극단이 이 가을에 나를 색다른 경험으로 이끄는 중이다.
고전을 새로운 시각과 관점으로 해석하고 푼다!
실제로 작품들이 올려지기 전까지는 과연 어떤 모습으로 이 이야기들이 표현될까 궁금했었는데
최종 결과물들은 경의에 가까운 신비와 신선함이다.
객원 배우들이 많이 출연하긴 하지만 한 무대에서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온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일종의 오랜 믿음과 모종의 끈끈함이 작품 속에 묻어 있다.
(이런 은밀함, 정말 매력적이다!)
삼국유사 "헌화가"의 주인공 수로부인.
절세미인으로 유명한 수로부인은 그 빼어난 미모때문에 여러번 신물(神物)에 납치되기도 했단다.
이 작품 속에서도 용신(龍神)의 제물로 자진하는 장면이 나온다.
참 재미있는 건,
음모와 계략으로 이용할 신물의 암약이 한 여인의 정체성을 찾는 의외의 결과를 낳는다는 거다.
용신의 뜻 선포와 함께 여자에서 한 인간으로 거듭나는 수로부인.
깨달은 여인에게 꽃을 받치는 행위(헌화)는 어찌보면 지극한 당연한 일이다.
"꽃"은 그러니까 "깨달음"의 다른 의미이리라.
꽃은 어디서나 한순간에 피고 진단다.
그러나 피어 있음에 취하지 말고 그 향기와 열매를 다음 세상에 나눠줘야 한단다.
꺽지 말고 꺽이지 읺으면 이 세상은 한 송이 꽃!
부끄러워하지 말고 자만과 기만의 꽃을 버리고 스스로 꽃이 되란다.
네가 꽃이라고! 우리 모두가 꽃이라고!
이렇게 교훈적(?)인 내용을 이렇게 시(詩)적이고 몽환적으로 풀어낸 신비가 놀랍다.
한판 걸판진 굿판같은 작품이고, 구구절절 한많은 살풀이 춤 같은 작품이다.
지겹다, 못난 것들의 안달.
역겹다, 가진 것들의 뼛댐.
더이상 게워낼 것도 없는 구역질 세상!
극에서 무당 검네가 내뺕는 대사가 가슴을 친다.
(이 글을 쓰는 와중에 내곡동 사저 관련 기사를 봤다.
MB의 형님 이상은이 출국금지 조치가 나기 1루 전에 알아서 이미 출국하셨단다.
그야말로 진정한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다.
뭘 좀 아는 놈이란 MB 형제를 두고 하는 말이 분명하다
정말 지겹고 역겹다. 구역질 나는 세상!
껌껌바다 용신님께서 꽉 좀 물어가셨으면 좋겠다.)
힘과 권력의 상징인 순정공과 수로부인,
그리고 민초의 상징인 마을 아낙네와 무당 검네.
이 두 상징은 묘한 대립과 힘겨루기를 반복하년 극을 긴장감으로 이끈다.
거기에 문예부흥으로 대국 신라를 꿈꾸는 득오와
무력으로 평양까지 치고 올라갈 야망에 젖은 호일랑 두 화랑의 대립,
권력의 두 주체(?)인 순정공과 수로부인의 대립.
수로부인과 용각시 아리와의 대립, 마을 아낙네와 검네와의 대립 등등등...
이 숱한 대립들은 마치 펄펄 살아있는 활어처럼 무대 위 여기저기를 펄덕댄다.
(무대 주변을 혜자처럼 물이 감싸고 있어서 더 그런 느낌이 들었는지도 모르겠지만)
<헤다 가블러>에서 인상깊은 연기를 보여준 김정호와 호산의 연기도 너무 좋았고
검네 이용이, 수로부인 서영화, 득오 이승훈의 연기도 압권이었다.
경력과 내공이라는 건 정말 무시 할 수 없는 힘이구나.
나는 이 작품을 보면서 또 다른 "권력"에 도취되고 매혹됐다.
연극 <꽃이다>는 "권력"과 "앎"에 대한 이야기다.
권력이란 놈은,
비천함의 정도에 정확히 비례하는 힘을 갖는다.
비천하면 비천할수록 그 힘은 크고 강하다.
그러나 비천한 권력은 또한 올곧은 "앎" 앞에서는 반드시 몰락한다.
그 몰락의 끝에 진한 향과 열매를 맺는 "꽃"이 핀다.
아니, 반드시 그렇다고 믿고 싶다.
삼국유사 프로젝트 두번째 작품을 보면서 나는 지금의 현실이 그대로 비춰저 암담했다.
우리는...
언제 꽃을 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