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한 편의 시였다.
두고두고 눈에 아른거리는 묵향 가득한 단백한 수묵화였다.
마음을 그대로 훔쳐서 그 자리에 멈추게 하는 음악이었다.
숨통을 쥐고 흔드는 애뜻한 몸짓이었다.
여백이 그대로 몸 속을 울리고 마침내 오래 머무는 대사들이었다.
<바람의 나라>는 그랬다.
확실히 <바람의 나라> 무휼펀은 그랬다.
내게는 충격에 가까운 파격이며 세상에 다시 없을 반전이었다.
그런데 어쩌자고 호동편을 이렇게 만들었냔 말이다.
일말의 예의도 없이 전편의 그 장중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을
어쩌자고 이 정도로 송두리째 무너뜨릴 수 있느냔 말이다.
이건 거의 재앙 수준의 파괴고 몰염치한 퇴보다.
미안하다.
도저히 이렇게 밖에는 말 할 수 없어서... 나도 민망하고 미안하다.
차라리... 차라리...
무휼편을 다시 올리지...
그랬다면 그동안 <바람의 나라>를 목마르게 기다렸던 사람들이
오랫만에 해갈(解渴)의 기쁨을 맞봤을텐데...
아! 정말 절망적이다.
심한 피곤과 노곤함 때문에 앉아있는 내내 힘들었다.
개인적으로 유희성 연출이 요즘 참 너무하다 싶다.
<바람의 나라> 호동편도 유희성 연출의 전작 <피맛골 연가>만큼 황당하다.
왠지 어디서 본 듯한 장면들이 많고
극의 분위기는 너무 발랄하다못해 경박의 수준까지 도달했다.
격조까지 바란건 아니지만,
그래도 무휼편의 감동을 이렇게 삭막하고 무자비하게 깎아버리지는 말았어야 했다.
아니면 차라리 <바람의 나라>라는 타이틀을 버리는 게 옳았다.
그랬다면 무률편에 애절함을 마음에 담고 있던 사람들이
지금처럼 배신감을 느끼지는 않았을텐데...
유희성 연출은 인터뷰에서 <피맛골 연가>에 이어 한국적인 요소를 담았다고 했다.
이런 경박함과 번잡스러움이 정말 한국적인 요소가 맞나?
무률편의 전투씬이 얼마나 장중하고 절박했는데...
그런 애타는 감정과 그 감정의 공유가 호동편에서는 전혀 드라나지 않았다.
메튜본의 백조의 호수를 떠올리게 하는 국적불명인 의상을 걸친(?) 호동의 신수(身守) 봉황은
그대로 나이트클럽에 가서 스피커를 붕등켜 안고 격한 춤을 춰도 되겠다.
누군가는 그러더라.
그 복장 그대로 <미스 사이공>에 바로 투입되도 되겠다고...
왕의 운명을 상징하는 신령한 신수에게서 닳고 닳은 작부의 이미지가 풍겼다면?
그렇다면 차라리 제대로 농염하기라도 하던가!
봉황은 호동을 지키는 신수가 아니라 호동을 유혹하기위해 싸구려 몸짓을 난발하는 요괴가 되고 말았다.
(제일 고생하긴 했다. 그 무거운 속눈썹을 깜박거리면서 한쪽팔을 들고 온몸을 끊임없이 배배 꼬느라고...)
음악도 귀에 들어오는 건 두어곡 밖에 안 되고.
더더군다나 난데없는 초등학교 학예회같은 음악들이 너무 자주 나와 정말 심장이 덜컹덜컹하더라.
스토리는 또 어찌나 빈약하던지 차마 눈뜨고 못보겠더라.
결국 광녀(狂女)가 되어 아비의 칼에 죽는 사비의 모습은 순간 개그콘서트로의 완벽한 빙의가 이루어진다.
헛헛한 웃음....
확실하게 꽃이라도 달던가...
아! 정말 심장이 여러번 덜컹거려 이 작품 도저히 두 번은 못보겠다.
높은 원통의 단위에서 "낙랑의 깃발을 가져오라!"며 호동을 고무시키던 사방신의 모습은 또 어떤가?
레이스와 원색으로 치장된 옷은 <피맛골 연가>에 이어 또다시 롯데월드 페러이드를 떠올리게 했다.
특히나 고미경이 입었던 의상은 "인어공주"의 문어 마녀를 떠올리게 한다.
사방신에 문어가 새롭게 포함됐다는 소식 듣어본적 없고...
급기야 원색의 미역줄기 의상 사이사이로 레이저가 불꽃처럼 춤추는 장관이 연출될까봐 정말 조마조마했다.
허무하다.
속상하다.
그리고 화가 난다.
그대로 소리내서 억울한 통곡이라도 하고 싶다.
엉~~엉~~
서울예술단의 그 아름다운 <바람의 나라>는
정녕 어디로 사라져버렸는가 말이다!
흔적도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