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2. 3. 16. 06:28

뮤지컬 <서편제>

일시 : 2012.03.02. ~ 2012.04.22.
장소 : 유니버설 아트센터
워작 : 이청준
극본 : 조광화
작곡 : 윤일상
연출 : 이지나
음악 슈퍼바이저 : 김문정
출연 : 이자람, 차지연, 이영미 (송화) / 임병근, 김다현, 한지상 (동호)
         서범석, 양준모 (유봉) / 정영주 (동호모) / 문헤원(미니)
무대 : 박동우
의상 : 홍미화, 안현주
안무 : 남수정

2011년 제5회 뮤지컬어워즈에서 최우수작품상, 연출상, 극본상, 여우주연상, 여우신인상을 휩쓸면서 5관왕이라는 기록을 달성한 작품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2011년 초연 당시에 이 작품은 내 취향이 아니라 보지 않았었다.

내 기억이 맞다면 처음엔 초등학생 이상 관람 가능했었는데 안타깝게도 장사가 잘 안 됐던지 나중엔 연령제한이 없어지면서 심지어 모녀할인 50% 이벤트까지 했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래서 작정만 했다면 솔직히 저렴한 가격으로 볼 수 있는 작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두산아트센터로 발걸음이 안 된 작품이다.
참 여러모로 파란만장한 작품이다.
심지어는 제작자의 자살이라는 비보를 남기기도 했던 작품이다.
(뭐 꼭 이 작품 때문만은 아니었겠지만...)
그래서 재공연 말이 나왔을 때 솔직히 가능할까 싶었는데 정말 재공연이 성사됐다. 
확실히 연출가 이지나의 파워는 아직까지는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것 같다.
서범석, 이자람, 차지연, 이영미(동호모에서 송화로 엄청난 회춘하셨다) 등 금지옥엽같은 초연 멤버에
양준모, 정영주, 임병근, 김다현, 한지상까지
배우 프로필 상으로는 여느 공연 못지 않은 출연진이다.



이 날 공연은 이자람 송화, 임병근 동호, 양준모 유봉이었다.
나름대로 기대를 많이 했었는데 역시나 <서편제>는 내 취향이 아닌 것 같다.
평일에 유니버설 아트센터를 찾는다는 건 자정 이후에 귀가를 뜻하는건데
여간 노곤하고 피로한 일이 아니다.
아무래도 내겐 영화 <서편제>의 김명곤 유봉, 오정해 송화, 김규철 동호가 각인되버린 모양이다.
뮤지컬로 만들어진 <서편제>는 어쩐지 정체불명의 퓨전극이 되버린 것 같다.
냉정과 열정 사이가 아닌,
냉탕과 열탕 사이였다고나 할까?
일단 배우들의 나이대가 너무 비슷해서 불편했다.
아직 30대인 양준모의 유봉 변신은 아무래도 조금 무리수였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배우지만 아닌 건 아니다)
성악 전공자답게 역시나 성량도 크고 노래도 잘하긴 하지만 그걸 "소리"라고 명명하기엔 어렵지 않을까?
송화와 동호에게 "소리"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성악"을 가르치는 것 같다.
어쩐지 사투리도 좀 작위적이고...
성마르고 화만 내는 아버지.
그래서 땡깡피우는 철없는 응석쟁이 아이같다.
"내 청춘도 날 버리고 속절없이 가버렸으니..."
라는 가사를 표현하기에는 너무나 민망할 정도로 청춘인 유봉!
한 번도 생각했던 적 없었는데 이 작품을 보면서 양준모가 참 젊은 배우라는 걸 절감했다.
임병근의 동호는,
처음엔 나쁘지 않았는데 연령대를 소화하기에는 너무 곱고 아름답다.
꼭 아이에게 어른 옷을 입힌 것 같은 바라보기가 어려웠다.
이자람의 송화.
그녀가 아니었다면 나의 귀가길은 황량함 자체였으리라.
<서편제>에서 소리를 하는 유일한 배우 이자람!
눈이 머는 장면에서의 절규과 아비를 보내는 장면에서의 그 처연함과 서글픔은 흡사 종교적이기까지 하더라.
구음과 몸짓이 얼마나 많은 대사를 응축시킬 수 있는지를 절감했다.
마지막 엔딩 장면에서 심봉사 눈뜨는 장면을 들으면서
꼭 "심청가"나 "춘향가' 아니더라도 언젠가 판소리 완창 무대를 한 번 듣고 싶다는 바람도 생겼다.
유봉이 죽는 장면에서의 정영주의 목소리!
귀기(鬼氣)가 느껴질 만큼 애절하고 평온하고 아득했다.



개인적으로 이지나 연출의 스크린 활용법을 좋아하지 않는다.
거대한 관을 떠올리게 한 무대는 정말 좋았는데
생둥맞은 스크린때문에 느낌이 부서지는 부분들이 많았다.
게다가 경사무대에 서있는 배우들은 왠지 위태로워 보이기까지 했다.
(설마 그런 느낌을 원했던걸까?)
오케스트라 피트석을 위로 올린 발상은 매혹적이었다.
때때로 아래 무대와 함께 한 폭의 그림 같은 모습이 나와서 신비했다.
몹시 안재욱스런 클럽 매니저와 유봉의 친구였던 창극단 단장를 보면서는 실소를 금치 못했다.
우리의 "소리"와 "락"은 서로 작정한듯 어울리지 않아 물위에 뜬 기름 같았다.
가끔씩 MR로 녹음된 노래가 아닌 척 의뭉스럽게 나오는 것도 흠이라면 흠이다.
깊은 소리의 한(恨)을 알아볼 깜냥이 없어서인지도 모르겠지만
슬프게도 나는 그 한(恨)을 온전히 느끼지 못했다.

어쩌면 나는 뮤지컬 <서편제>가 피천득의 "인연"같은 느낌이길 바랐던 건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슬프다.
너무 노래를 잘해서 오히려 어울리지 않은 양준모와 임병근을 보는 것도,
혼자 절절한 소리를 하는 이자람을 보는 것도.
내겐 다 슬픔이었다.
참 고되고 힘겹다.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