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딕>
일시 : 2012.0320. ~ 2012.04.29.
장소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원작 : 허먼 멜빌
출연 : 신지호, 윤한 (이스마엘 - 피아노) / KoN, 지현준 (퀴퀘크 - 바이올린) / 황건 (필레그, 에이협 - 첼로)
이승현, 유성재 (스타벅 - 기타) / 조성현, 유승철 (플라스크 - 클라리넷, 트럼펫)
황정규 (스텁, 모비딕 - 콘트라베이스) / 이지영, 차여울 (네레이드 - 피아노)
작,작사 : 조용신
작사,작곡,편곡 : 정애경
연출 : 조용신, 이소영
음악감독 : 정애경
액터 뮤지션 뮤지컬(Actor Musician Musical)!
참 난해하고 알 수 없는 단어다.
출연하는 배우가 노래와 연기는 물론 무대 위에서 악기까지 직접 연주하는 뮤지컬을 뜻한단다.
여기서 악기는 단순히 음악을 연주하는 도구로 사용되지 않는다.
때로는 소품으로 때로는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무대 위에 종행무진한다.
확실히 지금까지 뮤지컬과는 다른 방식의 표현이다.
신선하다 그리고 특별하다.
2011년에 초연됐을 때도 이런 특이한 표현방식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올 해 다시 공연된다고 소식을 들었을 때 꼭 봐야지 생각했던 작품이다.
초연때는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 1111 소극장에서 공연됐었는데
이번에는 중극장 연강홀에서 공연됐다.
공연시간도 인터미션 없이 110분이었다는데
지금은 1막, 2막으로 구분됐고 노래도 추가되면서 공연시간이 140분으로 늘었다.
작품을 보면서 작년 초연은 어땠을까 상상했다.
그래서 일부러 초연 멤버 위주로 캐스팅을 선택하기도 했다.
아무래도 공연장이 커지면서 연기만 전문적으로(?) 해온 배우들이 아니라
확실히 연기적 표현의 한계가 자주 보인다.
개인적으로 이 좋은 연주가들의 연주 분량이 더 많고 풍성했으면 훨씬 더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음악만큼이나 날 사로잡은 "시선"이다.
전체적으로 관객쪽으로 살짝 기울어진 피쿼드호는 관객의 시선을 그대로 끌어안는다.
(문득 연극 <해무>가 떠오른다)
관객에게 관음의 시선, 혹은 공동운명체적인 집단적 동일성의 시선을 여지없이 부여한다.
게다가 사이렌을 떠올리게 하는 왼쪽 상단 네레이드의 신비스럽고 초월적인 시선과
왼쪽 하단 에이협 선장의 완강하고 일방적인 시선,
그리고 오른쪽 중간 이스마엘의 천진하면서도 위태로운 시선.
무대 중앙 깊숙한 곳의 스텁과 플라스크의 코믹하지만 현실적인 시선
이성적이여서 누구보다 가장 위태롭과 힘겨웠던 스타벅의 시선까지.
핀조명처럼 그들의 연주와 함께 그들의 시선을 쫒아가다보면 아득하게 황홀해진다.
결코 입의 언어로는 도저히 표현하지 못할 이 모든 것들!
<모비딕>은 확실히 별종의 존재이고 표현이며 느낌이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무대 위에서 클래식한 악기들이 직접 인물이 되어
그 음악적 연주로 움직이고 대화하는 이 기묘할만큼 환상적인 표현력!
이 매력적이고 차별적인 발상의 시작은 누구였을까? 어디였을가? 무엇이었을까?
story가 총촘하지 못한게 흠이라면 흠.
정확히 어떤 느낌인지 허멘 멜빌의 <모비딕> 원작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필레그 선주와 에이협, 1인 2역을 연기한 황건에게 감동하다.
두 인물을 너무 확실하게 구분해서 연기했고
그의 첼로 연주는 정말이지 대사같았다.
(그의 첼로 연주를 좀 길게 듣고 싶었는데 내내 아쉽다)
노래 실력도 수준급이다.
네레이드 차여울도 때로는 신비스러웠고 때로는 고요하지만 광폭했다.
유일한 여자였고 그리고 첫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당차고 아름답다.
극의 흐름을 바꾸는 부분에서는 존재감이 확실했고
노래와 피아노 연주 역시 훌륭했다.
정말이지 꼭 뱃사람을 홀리는 사이렌 같이 유혹적이었다.
마초적인 퀴퀘그 KoN의 노래실력에도 깜짝 놀랐다.
단지 어눌한 대사는 (아마도 야만인이라는 인물에 대한 설정이었겠지만) 개인적으로 별로였다.
콘트라베이스 스텁의 사투리도 좀 아닌 것 같고...
황정규의 모비딕을 표현한 콘트라베이스 연주는 짧지만 강렬했다.
가장 저음을 낸다는 악기 콘트라베이스.
가콘트라베이스와 툭툭 치고 들어오는 드럼 소리에 심장 박동이 저절로 맞춰진다.
오랫만에 무대에서 본 이승현은 많이 아쉽다.
그러나 어쨌든 참 신비롭다. 이 작품!
배우들의 연기적 표현은 많이 부족하고
연주자의 음악적 표현은 짧아서 아쉬웠지만
보는 사람을, 듣는 사람을, 느끼는 사람을 점점 더 잡아끄는 묘한 매력이 있다.
그래서 공연장을 나오는 발걸음에 남는 아쉬움조차도
결핍과 부족함에 대한 찜찜함보다는
공연장에 들어갈 때보다 어쩐지 더 기대감에 차게 만든다.
기이하다, 이 작품!
앞으로의 진화가 몹시 기대된다.
내년에 다시 공연된다면 과연 어떤 모습으로 발전할까?
기대감을 가지고 충분히 기다릴만한 작품임에는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