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10. 27. 08:06

<꿈속의 꿈>

일시 : 2011.10.08. ~ 2011.10.28.
장소 :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출연 : 길해연, 문형주, 장용철, 강일, 송현서, 이혜원 외... 
제작 : 극단 작은 신화
연출 : 신동인

개인적으로 극단 작은 신화의 작품들을 좋아한다,
내 기억이 맞다면 올해만해도 이미 여섯 작품이나 무대에 올렸고, 내가 본 작품만도 세 작품이나 된다. 
<돐날>, <황구도>에 이어 <꿈속의 꿈>까지.
세 작품 모두 독특했고 상당히 괜찮았다.
벌써 창단 25주년이 됐다는데 그 저력이 대단하고
끊임없이 창작을 발표하는 노력에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다.
11월에도 <해뜨기 70분 전>과 <우주인> 두 개의 창작이 또 공연될 예정이다.
참 부지런하고 건실한 행보 ^^

<꿈속의 꿈>
2008년 서울연극제 대상, 희곡상, 연기상을 받았던 작품.
2010년에 보고 싶었던 걸 놓쳤는데 다행히 올해에는 시간이 맞았다.
특히나 드라마센타는 내게도 향수와 추억이 있는 장소라 찾아갈 때마다 좀 묘한 기분이 젖게 된다.
많이 변했다는 적요감(寂擾感)?
그런데 가장 많이 변한 게 다름 아닌 나라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래, 이 곳에서 철학개론 수업을 들었었지!'
옛기억이 꿈처럼 떠오른다.
나 역시도 꿈속의 꿈에 빠져버린거다.
참 아득하고 먼 기억이구나 싶다.



2011년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선정작" <꿈 속의 꿈>
(이해하기 절대 어려운 프로젝트다.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는데 거의 언어유희 수준의 조합이다.)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는
총 5명의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추천위원의 추천을 받은 17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가 이루어진단다.
5명의 외부전문가가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 작품이 중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아 선정됐다고 한다.
작은 <삼국유사> 속의 "매몽설화"를 재조명한 작품이다.
"매몽설화"는 ‘춘추공(김춘추)’과 김유신의 두 여동생 ‘보희’, ‘문희’의 이야기다.
언니인 ‘보희’는 어느날 꿈을 꾸게 된다,
서학에 올라서 오줌을 누는데 그 오줌이 온 나라 안을 가득 채웠다는 내용의 꿈.
동생 ‘보희’는 언니에게 자신이 입고 있던 치마를 벗어주고 그 꿈을 산다.
그리고 ‘김춘추’의 배필이 됐다는 이야기.
연극은 ‘김유신’과 ‘김춘추’의 욕망에 이용당한 두 자매의 삶에 초점을 맞춰진다.
무대는 어딘지 음험한 무덤 속 같고 스멀스멀 기분나쁜 귀기(鬼氣)가 느껴지기도 한다.
중간중간 조그많게 들리는 빗소리도 착시효과를 준다.
(실제로 이날 비가 와서 처음엔 바깥에서 들리는 빗소리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음향효과더라.)
섬득섬득 이 세상이 아닌 곳 같은 느낌.
조명과 음악, 음향이 너무 효과적이었고
무채색의 의상은 담백한 수묵화를 보는 느낌이다.
그 옷이 또 조명과 만나면 마치 시신을 감싼 수의(壽衣)같다.
대사는 때로는 칼같고 때로는 시같다.
난장(亂場)같기도 하고 제의(祭意)같기도 한,
현재같기도 하고 과거의 회상같기도 한,
이승같기도 하고 저승같기도 한,
몽환적이지만 그렇다고 비현실적이지도 않다.
어떻게 이런 느낌의 작품을 만들었을까?

 
장중하면서도 해햑이 있고
그림자 인형극같은 서글픔도 있다.
무엇보다 엄청난 몰입으로 작품을 끌어가는 배우들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웠다.
억지를 쓰자면 동생 문희역의 길해연이 언니 보희역의 문형주보다 훨씬 노숙한 느낌이라서 민망한 정도 ^^
문희와 젊은 화랑과의 모습도 살짝 유한 부인과 미소년같기도 하고...
그러나 길해연의 독특한 어투와 톤은 나이든 문희 역에 적격인 것 같다.
<기묘여행>에서 코디네이터였던 장용철.
<기묘여행>에서 그의 톤이 하도 독특해서 아마 어떤 역을 하든 그 톤은 변하지 않을거라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톤을 보여줘서 놀랐다.
그래도 장용철의 독특한 톤이 김유신을 살짝 사악하고 모사꾼같은 인물로 보이게 하더라.
그게 나빴다는 의미는 아니고 작품과는 잘 어울렸다.
이번 공연에서는 극중극의 형태로 광대들의 난장 부분이 새롭게 추가가 됐단다.
그런데 이게 또 별미(別美)다.
너무 진중하고 무거운 내용인데 이 부분이 나오면
이야기가 쉽게 정리되면서 오히려 극의 흐름까지도 전화시킨다.
그것도 과하거나 유난스럽지 않게.

개인적으로 이런 한국적이 작품들이 많이 창작됐으면 좋겠다.
대사를 조금 쉽게 풀 수 있다면 이런 류의 작품들은 이방인들에게 엄청 신선하게 느껴질거다.
실제로 이날도 외국인이 꽤 관람하고 있어서 놀랐다.
특히나 한국적인 소재의 작품은 색채와 조명으로도 느낌 전달이 용이해서
여러가지로 impact 줄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라고 했던가?
조산아(早産兒)를 인큐베이터에서 건강한 아이로 키워내듯
이 작품이 좋은 양분과 좋은 지원을 받아 무럭무럭 잘 육성됐으면 좋겟다.
그러면 정말 "꿈꾸는 인큐베이터"가 될텐데!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