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12.10.12. ~ 2012.10.28.
장소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작가 : 안톤 체홉 (Anton Pavlovich Chekhov)
연출 : 오경택
출연 : 이석준, 박호산 (로파힌) / 우현주 (라네프스카야)
김태훈 (가예프) / 정수영 (바랴) / 전미도 (아냐)
정동환, 최용민, 정승길, 권지숙, 이재인, 신용진, 박채원
주최 : 극단 맨씨어터
안톤체흡의 작품들은,
솔직히 어렵고 힘들다.
(특히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머리에 쥐가 날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톤 체홉의 작품이 올라오면 꼭 챙겨보는 이유는 너무나 서정적이고 섬세하고 아름다워서다.
이야기와 인물들 속에 빠져들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황홀해진다.
맨씨어터는 작년에도 지금까지와 약간 다르게 해석한 안톤 체흡의 <갈매기>를 올렸었다.
보고 싶었던 작품인데 예매를 해놓고도 보지 못해서 이번 <벚꽃동산>은 놓치지 말자 생각했었다.
안톤 체홉의 마지막 작품 <벚꽃동산>
안톤 체홉의 작품 중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 작품을 체홉은 스스로 "코미디"라고 정의했고,
1904년 모스크바 예술극장에서 초연을 올린 연출가 스타니슬랍스키는 "비극"이라고 정의했다.
나는 이 작품을 화사하고 찬란한 비극이라고 말하고 싶다.
원작을 읽고 봤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개인적으로 원작을 꼭 챙겨보는 편인데 이상하게 안톤 체홉의 작품은 무대뽀 정신으로 보게 된다)
그리고 출연배우들!
도대체 이 대단한 배우들을 어떻게 이 한 작품에 전부 섭외할 수 있었을까?
분명히 이 작품엔 뭔가가 확실히 있으리란 기대감.
솔직히 출연진에 기가 팍 죽었었다.
20세기 초 러시아.
농노제 폐지로 시작된 러시아의 변혁은 러시아의 모든 것들을 빠른 속도로 바꿔놨다.
과거 부유한 영주의 자손이었던 라네프스카야(우현주)와 가예프(김태훈)의 벚꽃동산도
급기야 경매에 넘어갈 처지가 되버렸다.
그러나 두 사람은 아직 평온하다.
그런데 어쩌지!
난 이 오누이의 평온과 순수가 너무나 눈물겹게 아름답고 예뻤다.
벚꽃동산을 별장지로 임대해서 돈을 벌라고 권유하는 로파힌(박호산).
두 오누이의 환상을 현실에 끌어오기 위해 끝없고 집요한 설득을 거듭하지만
오누이는 너무나 태평해서 심지어 몽환적이기까지 하다.
마지 꽃비 내리는 따사로운 봄날 벚꽃동산에 피크닉이라도 와있는 느낌이다.
오히려 절박하고 간절한 건 로파힌이다.
오누이와 로파힌의 대비되는 모습이 연극을 보는 내내 참 인상적이었다.
게다가 주변의 사람들.
뭔가 깊숙히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처럼 보이다가도
그냥 지나가면서 무슨 일이 생겼나 잠깐 시선을 주고 곧 제 갈 길 가는 사람처럼 느껴진다.
오직 로파힌만이 절박할 뿐이다.
실제로 이 "벚꽃동산"을 지키고 싶은 사람은 사실 로파힌 한 사람 뿐인 것 같다.
이 아름다움 벚꽃동산의 벚꽃들이 잘려나가든,
품위없는 별장지가 되어 사람들의 소란 속에 묻혀버리든 상관없다.
어쨌든 지켜낼 수는 있으니까.
박호산의 로파힌은 참 인상적이었다.
개인적으로 이 작품에서 가장 순수하고 아이같은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이석준은 로파힌을 어떤 인물로 해석했을지 궁금하다.)
사실은 작품 속 인물 들 중에서
벚꽃동산을 제일 지키고 싶어한 사람, 너무나 벚꽃동산을 원했던 사람은 로파힌이 아니었을까?
변화를 보는 시선에 옳고 그름을 정의하긴 어렵다.
어쨌든 시간은 흐르고,
지금 있는 모든 것들은 결국은 어떤 형태로든 잊혀진고 없어진다.
그리고 인간은 그 잊혀진 것들을 또 서럽고 아프게 기억하고 그리워한다.
정말 바보같이...
벚꽃동산에 있던 모든 사람이 떠나고 홀로 남겨진 피르스(정동환)의 독백,
그 마지막 장면은 정말 압권이다.
그리고 별 비중없어 보이는 피브스에 왜 정동환이라는 배우가 필요했는지도 조금은 알 것 같다.
툭툭 베이지는 벚나무와 생의 마지막 안식을 향해 걸어가는 피르스의 발자욱 소리.
"떠나셨어! 날 잊어버리셨어!
괜찮아!, 그래!
...... 산 것 같지도 않은 게 한평생이 다갔군.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 아무것도. 에이... 이런 바보"
피르스의 마지막 대사가 주는 무게감은
누워있는 피르스 위로 관뚜껑처럼 닫히는 무대 장치와 함께 가슴 속에 턱 얹힌다.
희극과 비극을 오고 간 <벚꽃동산>을 결국
이렇게 깊은 무게잠과 존재감으로 맘 속 깊이 파고 들었다.
파괴와 변화 뒤엔 그 폐허를 딛고 새로운 희망과 미래가 태어난다.
어쩌면 벚꽃동산에 춤추던 그 무수한 꽃잎들은 일종의 팡파레였을지도 모르겠다.
눈물나게 아름답고 서럽게 찬란한 결말을 보면서 나는 눈이 부셨다.
무대는 아름다웠고
배우들의 딕션은 정확했으며,
연기는 진중하고 섬세했다.
작품과 무대에 대한 깊은 경외심이 느껴졌다.
(정말 진심으로 멋있었다. 이 배우들...)
커틑콜에서 정동환 배우를 향해 출연 배우 모두가 박수치며 존경의 모습을 보이는 장면은,
뭉클할만큼 감동적이었다.
이 작품...
아마도 오래동안 간직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