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6. 2. 17. 08:03

 

<나무 위의 군대>

 

일시 : 2015.12.19. ~ 2016.02.28.

장소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원작 : 이노우에 하사시

대본 : 호라이 류타

연출 : 강량원

출연 : 윤상화, 김영민 (분대장) / 성두섭, 신성민 (신병) / 강애심, 유은숙 (여자)

제작 : (주)연극열전

  

예당 오페라극장에서 3시 <레베카>를 본 후에

자유소극장으로 내려와서 연달아 연극 한 편을 봤다.

연극열전 시즌 6 첫번째 작품 <나무 위의 군대>

개인적으론 일본 작품은 잘 안보는 편인데 (코드가 나랑 정말 안맞아서...)

김영민이 출연한다니 그냥 지나쳐지지가 않더라.

보고 난 느낌은...

확실히 일본 작품은 나랑 잘 안맞는다는거!

재미있는건지, 슬픈건지, 아픈건지, 심각한건지... 모르겠다.

사전 정보없이 가긴 했지만

처음엔 식인나무에 대한 이야긴가 생각했고,

그 다음엔 나무의 정령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는 이야기인가 생각했고,

그러다 간혹 스탠딩 허무 개그 같다는 생각도 했고,

인간의 수치심에 대한 이야기 싶다가 허깨비같은 국가에 대한 이야기인가 싶기도 하고...

뭐가 됐든 무대를 꽉 채운 커다란 나무의 존재가

어딘지 무색하게 느껴지더라.

 

톡특한 작품이라는 것도 알겠고,

주옥같은 좋은 대사들도 정말 많았고,

배우들의 연기도 시종일관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좋았지만

보는 내내 뭔가 개운치 못한 이 느낌적인 느낌을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

마치 벵골나무 위에 있는 사람이 나인것 같다.

나무에서 내려가야 하는지, 그대로 있어야 하는지.

솔직히 지금까지도 결정을 못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신병은 대사가 딱 내 심정이다.

"완전히 뒤죽박죽입니다.

 지켜주고 있는게 무섭고, 무서우면서도 매달리고, 매달리면서도 미워하고, 미워하면서도 믿는 겁니다.

 완전히 뒤죽박죽입니다"

이 말을 하고 신병은 웃는 것도, 우는 것도 아닌 소리를 낸다.

나무의 정령은 그걸 "모순의 소리"라고 부르더라.

 

모순의 소리,

이 작품이 말하고 싶었던게 이거이지 않았을가!

"모순(矛盾)"

그래서 이런 형식과 이런 대사들이 필요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끝나도 끝난게 아니라는 말,

진심으로 진심이다.

 

* 찌질한 연기에 관해서라면 김영민은 비교불능 갑(甲)이다. 

  김영민의 찌질함은 격(格)이 다르다.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12. 4. 16. 05:59

나는 아직 스마트한 사람이 아니라서 핸드폰도 스마트폰이 아니다.

내가 일하는 곳에 스마트폰 아닌 사람이 나까지 3명이었는데 어느틈에 달랑 나 하나로 줄었다.

자꾸 옆에서 뭐라고 한다.

이제 그만 스마트폰으로 바꾸라고...

워낙에 심한 기계치이기도 하지만

왠지 스마트폰을 쓰면 자투리 시간을 온통 거기에 쏟을 것 같아 아직까지 열심히 고사하는 중이다.

출퇴근길에 전철에서 예전에는 책이나 하다못해 무료신문 보는 사람들이 몇 명은 있었는데

지금은 다들 자신의 스마트폰에 그야말로 머리를 박고 있다.

뻘쭘하고 약각은 고고하게 혼자서 책을 읽는다.

기분 꽤 괜찮다.

내가 다른 사람과 어쩐지 달라보이는 것도 같고...

스마트폰의 어매이징한 터치의 신세계보다

나는 아직 종이냄새 풍기는 책장을 터치하는 게 비교불가하게 황홀하다.

게다가 나는 e-book과도 친해지기 어려운 사람이다.

책은 역시 한 장씩 한 장씩 손으로 직접 넘겨야 제 맛이라고 생각한다.

슬쩍슬쩍 뒷부분을 훝어보는 재미도 놓치고 싶지 않고...

 

표지 속의 박경철을 보고 일단 놀랐다.

너무 슬림해서 내가 알고 있던 "시골의사" 박경철이 아닌 것 같았다.

일부러 살을 뺐다는데 의지가 대단하다.

다재다능, 박학다식.

박경철이 딱 그렇다.

예저에 할레드 호세이니의 소설을 읽으며 이런 소망을 적었던 적이 있다.

우리나라도 소설 쓰는 의사가 있으면 참 좋겠다는...

의학서적이나 에세이, 기고문이 아닌 진짜 문학을 하는 의사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

아쉽게도 박경철은 문학을 하는 의사는 아니지만

문학 작품같은 그의 글들은 간혹 보게되면 또 다시 꿈꾸게 된다.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이제 이런 책을 읽기엔 점점 늙어가고 있지만(?)

나는 이 글 속에 있는 박경철의 도발과 혁명이 아름답다.

이 사람은 내내 청년인채로 살겠구나 싶어 정신이 번쩍 차려진다.

...... 청년은 끊임없이 반해야 한다. 세상에 반하고 문학에 반하고 친구에 반하고 이성에 반하고 자연에 반하고 꿈에 반해야 한다. 그렇게 반함을 혹은 뜨거움을 충분히 발산하고 만끽함으로써 나를 억압하는 규제나 금기로부터 오는 곤혹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

안밖으로 아름다운 문장이다.

그러나 나 역시 아직 반할 수 있는 것들이 남아있다.

아직 남아 있는 것이 있을 때 최선을 다해 반해보리라.

<태백산맥>의 거장 조정래 선생님이 말했다.

"최선이란 자기의 노력이 스스로를 감동시킬 수 있을 때 비로소 쓸 수 있는 말이다" 라고.

박경철처럼 정말 뇌가 녹아버릴 것 같이 무언가에 몰두하고 열심이었던 적이 있던가!

그게 자의였든, 타의였든 그랬던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아직 청년이다.

나도 아직 반할 것들이 남아있기에

내 청년도 끝난 게 아니다.

다행이다. 

세계 분쟁 지역을 다니며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김영미 PD.

그녀가 카메라가 아닌 글로 기록한 아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의 모습은 평온했다.

그래서 더 안스러웠다.

아프가니스탄 여성 시인 나디아 안주만.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가족에게 살해됐다.

사랑과 아름다움이라는 입에 담을 수 없은 단어를 사용해서

그것도 감히 여자가 시를 지었다는 이유로 명예살인을 당했다.

가문의 명예를 더럽히거나 죄를 지은 아내나 딸, 여동생을 죽여 가문의 위신을 세운다는 "명예살인"

그렇다면,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은 어떤 단어를 써야만 하나?

가족에게 죽임을 당할 당시 그녀의 나이는 고작 25살이었다.

이보다 더한 비이성과 야만의 세계가 과연 있을까?

노래하는 사람을 참수형시키는 탈레반 정권.

밥을 먹고 있는 일가족을 한꺼번에 쓸어버린 폭탄.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비의 기억은 멈췄다.

이미 세상에 없는 가족에게 끊임없이 말을 건다.

아비의 눈은 과연 무엇을 보는가?

 

전쟁의 목적과 이유가 도대체 뭘까?

인간의 삶이 어디까지 피폐해질 수 있는지 그 바닥을 기필코 보고 싶다는 마음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영희 PD는 말한다.

...... 나는 다시 그런 기회가 오면 겁나더라도 또 그곳을 가고 싶다. 전쟁터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고, 그들의 삶을 기록하고 싶기 때문이다. 어떤 기자가 왜 전쟁터만 가느냐고 물은 적이 있는데, 나는 전쟁터여서가 아니라 그곳에도 사람이 있어서 간다고 대답했다. 사람들이 사는 곳이면 어디든 나의 카메라는 갈 수 있다 .....

그곳이 전쟁터여서가 아니라 사람이 있기에 간단다.

그래, 여전히 사람이 희망이다.

희망은...

그러나 막막하다.

 

=======================================================================================================

* 국제 구호 단체들

 

o 유엔난민기구(UNHCR) www.unhcr.or.kr  whth@unhcr.or.kr / 02-773-7272

o 유니세프 (UNICEF) www.unicef.or.kr  psfr@unicef.or.kr 02-723-8215 

o 적십자 (Red Cross, Red Crescent) www.redcross.or.kr  master@redcross.or.kr 02-3705-3705

o 플랜 코리아 (Plan Korea) www.plankorea.or.kr  kno@plandorea.or.kr  02-790-5436

o 세이브더칠드런 (Save the Children) www.sc.or.kr  webmaster@sc.or.kr  02-6900-4400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