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1. 10. 27. 08:06

<꿈속의 꿈>

일시 : 2011.10.08. ~ 2011.10.28.
장소 :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출연 : 길해연, 문형주, 장용철, 강일, 송현서, 이혜원 외... 
제작 : 극단 작은 신화
연출 : 신동인

개인적으로 극단 작은 신화의 작품들을 좋아한다,
내 기억이 맞다면 올해만해도 이미 여섯 작품이나 무대에 올렸고, 내가 본 작품만도 세 작품이나 된다. 
<돐날>, <황구도>에 이어 <꿈속의 꿈>까지.
세 작품 모두 독특했고 상당히 괜찮았다.
벌써 창단 25주년이 됐다는데 그 저력이 대단하고
끊임없이 창작을 발표하는 노력에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다.
11월에도 <해뜨기 70분 전>과 <우주인> 두 개의 창작이 또 공연될 예정이다.
참 부지런하고 건실한 행보 ^^

<꿈속의 꿈>
2008년 서울연극제 대상, 희곡상, 연기상을 받았던 작품.
2010년에 보고 싶었던 걸 놓쳤는데 다행히 올해에는 시간이 맞았다.
특히나 드라마센타는 내게도 향수와 추억이 있는 장소라 찾아갈 때마다 좀 묘한 기분이 젖게 된다.
많이 변했다는 적요감(寂擾感)?
그런데 가장 많이 변한 게 다름 아닌 나라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래, 이 곳에서 철학개론 수업을 들었었지!'
옛기억이 꿈처럼 떠오른다.
나 역시도 꿈속의 꿈에 빠져버린거다.
참 아득하고 먼 기억이구나 싶다.



2011년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선정작" <꿈 속의 꿈>
(이해하기 절대 어려운 프로젝트다.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는데 거의 언어유희 수준의 조합이다.)
‘대학로 우수작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는
총 5명의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추천위원의 추천을 받은 17개 작품을 대상으로 심사가 이루어진단다.
5명의 외부전문가가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 작품이 중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아 선정됐다고 한다.
작은 <삼국유사> 속의 "매몽설화"를 재조명한 작품이다.
"매몽설화"는 ‘춘추공(김춘추)’과 김유신의 두 여동생 ‘보희’, ‘문희’의 이야기다.
언니인 ‘보희’는 어느날 꿈을 꾸게 된다,
서학에 올라서 오줌을 누는데 그 오줌이 온 나라 안을 가득 채웠다는 내용의 꿈.
동생 ‘보희’는 언니에게 자신이 입고 있던 치마를 벗어주고 그 꿈을 산다.
그리고 ‘김춘추’의 배필이 됐다는 이야기.
연극은 ‘김유신’과 ‘김춘추’의 욕망에 이용당한 두 자매의 삶에 초점을 맞춰진다.
무대는 어딘지 음험한 무덤 속 같고 스멀스멀 기분나쁜 귀기(鬼氣)가 느껴지기도 한다.
중간중간 조그많게 들리는 빗소리도 착시효과를 준다.
(실제로 이날 비가 와서 처음엔 바깥에서 들리는 빗소리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음향효과더라.)
섬득섬득 이 세상이 아닌 곳 같은 느낌.
조명과 음악, 음향이 너무 효과적이었고
무채색의 의상은 담백한 수묵화를 보는 느낌이다.
그 옷이 또 조명과 만나면 마치 시신을 감싼 수의(壽衣)같다.
대사는 때로는 칼같고 때로는 시같다.
난장(亂場)같기도 하고 제의(祭意)같기도 한,
현재같기도 하고 과거의 회상같기도 한,
이승같기도 하고 저승같기도 한,
몽환적이지만 그렇다고 비현실적이지도 않다.
어떻게 이런 느낌의 작품을 만들었을까?

 
장중하면서도 해햑이 있고
그림자 인형극같은 서글픔도 있다.
무엇보다 엄청난 몰입으로 작품을 끌어가는 배우들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웠다.
억지를 쓰자면 동생 문희역의 길해연이 언니 보희역의 문형주보다 훨씬 노숙한 느낌이라서 민망한 정도 ^^
문희와 젊은 화랑과의 모습도 살짝 유한 부인과 미소년같기도 하고...
그러나 길해연의 독특한 어투와 톤은 나이든 문희 역에 적격인 것 같다.
<기묘여행>에서 코디네이터였던 장용철.
<기묘여행>에서 그의 톤이 하도 독특해서 아마 어떤 역을 하든 그 톤은 변하지 않을거라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톤을 보여줘서 놀랐다.
그래도 장용철의 독특한 톤이 김유신을 살짝 사악하고 모사꾼같은 인물로 보이게 하더라.
그게 나빴다는 의미는 아니고 작품과는 잘 어울렸다.
이번 공연에서는 극중극의 형태로 광대들의 난장 부분이 새롭게 추가가 됐단다.
그런데 이게 또 별미(別美)다.
너무 진중하고 무거운 내용인데 이 부분이 나오면
이야기가 쉽게 정리되면서 오히려 극의 흐름까지도 전화시킨다.
그것도 과하거나 유난스럽지 않게.

개인적으로 이런 한국적이 작품들이 많이 창작됐으면 좋겠다.
대사를 조금 쉽게 풀 수 있다면 이런 류의 작품들은 이방인들에게 엄청 신선하게 느껴질거다.
실제로 이날도 외국인이 꽤 관람하고 있어서 놀랐다.
특히나 한국적인 소재의 작품은 색채와 조명으로도 느낌 전달이 용이해서
여러가지로 impact 줄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라고 했던가?
조산아(早産兒)를 인큐베이터에서 건강한 아이로 키워내듯
이 작품이 좋은 양분과 좋은 지원을 받아 무럭무럭 잘 육성됐으면 좋겟다.
그러면 정말 "꿈꾸는 인큐베이터"가 될텐데!

Posted by Book끄-Book끄
읽고 끄적 끄적...2010. 3. 18. 05:45
조선일보 문화부 미술담당 기자 이규현이  쓴 책이다.
그야말로 그림쇼핑에 관한 책.
그녀는 실제로 뉴욕 크리스티 경매회사의 대학원 과정(Advanced Certificae for Graduate Program)을 졸업했단다.
크리스티는 소더비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경매회사다.
그림을 보면서 가격을 생각하는 게 어쩐지 반예술적인 행위같이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애정"이 있다면 "소유"하고 싶은 게 사람의 마음.
우리가 어렵고 전문가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그림에 대한 경매를
아주 재미있고 쉽게 소개하고 있다.
글 중간 중간 나오는 신문기사들을 읽은 재미도 솔솔하다.
개인적으로 그림과 박물관을 좋아하는 나에게는
더없이 좋았던 책 ^^



소더비나 크리스티 경매에서
일반인들이 상상할 수 없는 가격대의 작품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가 이 책을 읽고 충분히 이해됐다.
돈이 있다면 누구라도 독점소유가 가능한 미술.
사람들은 좋은 작품을 가지고 있으면 그 작품의 가치가 자기 자신에게 옮겨온다고 믿는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도 저 사람은 "뭔가 있는 사람"이라고 확신하게 되고...
속물처럼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지극히 정상적으로 이해되는 논리다.
대안투자의 하나로 아트펀드가 생기는 것도 이런 이유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고가의 작품을 독점으로 소유하겠다는 목적의 투자.
(그러나 그림 값이 올라가면 투자금액의 몇 배를 건질 수도 있고...)
사람들이 미술품 경매 시장에서 그림을 사는 이유는
첫째, 미술에 대한 사랑
둘째, 투자수익에 대한 기대
셋째, 사회적인 이유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상류사회로진입하는 길이 된다는 믿음) 때문이란다.
나 역시도 언젠가는 내가 마음에 드는 미술품 한 점을 꼭 소유하고 싶다는 소망이 있다.
그래서 그림이나 미술품에 관한 책들을 꾸준히 읽고 있는 건지도...



개인적으로 대단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컬렉터 간송 전형필의 일화도 이 책을 통해 재미있고 읽었다.
간송 전형필은 일본으로 넘어가는우리 문화재를 사재를 털어 막아낸, 우리 근대사의 대표 컬렉터였다.
그는 물려받은 재산을 문화재 수집에 쏟아부었다. 국보 65호인 청자향로, 66호 청자정병, 74호 청자연적 같은 최상품 골동품이 그를 통해 일보에서 조선으로 돌아왔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현돼 누구 손에 어떻게 넘어갈지 모를 위기에 있던 훈민정음 원본(국보 70호), 조선에 사는 일본인 손에 들어가 값이 이미 무한정 올라 있었던 혜원 신윤복의 화첩 <혜원풍속도> 국보 135호) 도 엄청난 돈을 들여 거두었다.
간송은 작품 주인이 작품의 가치를 잘 모르고 값을 싸게 부르면 그 두 배건 세 배건 자신이 판단한 가치대로 대금을 지불했다. 예를 들어 훈민정음 원본이 1,000원에 팔린다는 소문을 듣고 열한 배 높은 1만 1,000원을 선뜻 내서 손에 넣었다. 그리고 1938년 보화각을 세워 이 모든 소장품을 보존했다. 지금의 간송미술관이다.
"간송은 그냥 값진 것을 닥치는 대로 모은 게 아니었어요. 숙종~정조에 이르는 조선 후기 125년이 우리 미술이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창적으로 부흥했던 때라는 것을 알고, 광복 이후 누군가가 그 시기를 다시 연구해 민족의 자부심을 살려주기를 바란 것 같아요. 그 시기 핵심 작가인 겸배, 추사, 단원, 혜원을 집중적으로 모았으니까요. 또 겸재와 추사를 연구할 때 꼭 비교해봐야 하는 중국작품들도 같이 모았어요. 간송 소장품이 없었으면 우리나라에서 겸재와 추사 연구가 불가능했어요" - 간송미술관 치완수 실장

대지미술, 설치미술에 대해 잘 몰랐었는데 이 책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어 다행이다.
경매회사, 화랑, 아트페어(주요 갤러리들이 한 곳에 모여 임시 부스를 차려놓고 작품을 판매하는 행사) 등
막연히 알고 있었던 (솔직히 말하면 가진 자들만이 누리는 특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선입견에 대해 교정을 해주는 책이다.
더불어 리움박물관과 천안에 있는 아라리오갤러리도 꼭 한번 찾아가보고 싶다는 생각도...
리움박물관의 홍라희 관장은 얼마전 입적한 법정 스님의 병원비를 전액 지불한 사람이기도 하다.
천안 아라리오갤러러의 김창일 회장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컬렉터라고 한다.
(특히 그는 보는 눈이 탁월한 사람으로 정평이 나있다. 얼마전에는 중국에도 진출했단다)
언제 시간이 되면 서울옥션, K옥션에서 하는 경매도 실제로 보고 싶다.
컬렉터들만이 참가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참관은 일반인 아무나 무료로 할 수 있단다.
이것 역시도 좋은 정보 ^^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