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re Dame De Pari>
- 2013.10.12. PM 3:00 - - 2013.10.12. PM 7:00 -
홍광호, 윤형렬 (콰지모도) 홍광호, 윤형렬 (콰지모도)
바다, 윤공주 (에스메랄다) 바다, 윤공주 (에스메랄다)
마이클리, 정동하, 전동석 (그랭그와르) 마이클리, 정동하, 전동석 (그랭그와르)
문종원, 조휘 (클로팽) 문종원, 조휘 (클로팽)
민영기, 최민철 (프롤로) 민영기, 최민철 (프롤로)
김성민, 박은석 (페뷔스) 김성민, 박은석 (페뷔스)
이정화, 안솔지 (폴뢰르 드 리스) 이정화, 안솔지 (폴뢰르 드 리스)
어쩌다 보니 종일반 관람을 했다.
3시 공연은 1층 5열에서, 7시 공연은 3층 1열에서.
콰지모도와 에스메랄다가 서로 다른 캐스팅이라 욕심을 부려봤다.
프랑스 오리지널 무대가 너무 깊게 인식되어 있어서 망설이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작품이라 외면한다는 게 사실상 쉽지는 않다.
처음에 봤을 때 댄서들 때문에 좀 실망했었는데
이날 공연을 보면서는 정말 깜짝 놀랐다.
"저 사람들 미친거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엄청났다.
(아무래도 처음 봤을 때 내가 오리지널 무대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아주 고집스럽게 관람했던 모양이다.)
맨발로 무대를 누비던 여자 댄서들의 테이핑된 발목을 보는 순간 가슴이 뭉클해졌다.
14명의 남녀 댄서들과 아크로바틱을 담당하는 5명의 사람들이
이 라이선스 공연을 살아있게 만드는 진정한 공로자들이고 진정한 예술가들이란 생각을
이제서야 진심으로 하게 됐다.
페부스의 "괴로워"에 믿을 수 없는 몸의 움직임을 보여준 5명의 남자 댄서들이
이어지는 "벨"에서 한 사람씩 조용히 등장하는 모습도 감동적이었다.
땀에 흠뻑 젖은 그들의 상반신은 보석처럼 빛나더라.
클로팽이 죽는 장면에서 댄서들의 표정도 잊혀지지 않는다.
절망에 빠진 집시들의 울부짖음과 군인들의 조롱기 가득한 얼굴.
그야말로 그들 하나하나가 몸이 표현하는 언어의 자음과 모음 그 자체였다.
"bell"이란 감탄사를 에스메랄다가 아닌 이들에게 선사하고 싶어질만큼
진심으로 아름다웠다 모습이었다.
첫관람의 무례함에 대해서 홀로 얼마나 많은 반성을 했는지...
윤형렬 콰지모도.
정말 좋다.
5열에서 치아까지 분장한 그의 모습을 보는 건 큰 즐거움이자 감동이었다.
사실 윤형렬의 작품을 보면서 크게 감동을 받아본 적이 없었는데 이날은 가슴이 뭉클했다.
특히 2막 후반부의 "불공평한 이 세상"과 마지막 곡 "춤을 춰요, 에스메랄다"는
노래 한 소절 한 소절에 슬픔과 아픔이 뚝뚝 묻어난다.
묵직한 저음이 콰지모도라는 역에 정말 잘 어울렸고
감정과 연기적인 표현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윤형렬 콰지모도 때문에 다시 한 번 이 작품이 보고 싶어졌다.
홍광호 콰지모도.
일단 체격이 너무 작아서 흉측한 괴물의 느낌보다는 못난이 인형같은 느낌!
원작을 읽은 나로서는 자그마한 홍광호의 체격이 어쩐지 콰지모도라는 역할에 이입이 잘 안됐다.
이것도 체격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무대를 토끼처럼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게 좀 가볍게도 느껴졌고...
(좋게 표현하면 천진함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어쩐지...)
성량이 크고 좋다는 게 솔로곡에서는 확실히 돋보였는데
"Bell"에서는 민영기 프롤로와 김성민 페뷔스 목소리까지 전부 잡아먹는게 흠이다.
성량으로치면 민영기도 남부럽지 않지만 그래도 그는 다른 배우들과 발란스를 조절을 잘한다.
아마도 경험탓이겠지.
아니면 정말 성량 조절이 안 되는건지도...
홍광호의 작품을 볼 때마다 개인적이고 성량 조절을 잘 안되는게 항상 불만이었는데
이 작품도 예외는 아니었다.
아무래도 내 취향은 역시 윤형렬 콰지모도!
에스메랄다는 개인적으로 윤공주가 노래도 춤도 더 좋았다.
바다는 기교가 여전히 넘치는 것 같아서...
그래도 마이크가 문제가 생겼을때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니 이젠 정말 노련한 뮤지컬 배우가 다 됐구나 싶었다.
윤공주 에스메랄다는 요근래 본 윤공주 작품 중에서 제일 좋았다.
예전만큼의 기량이 좀처럼 나오지 않아 실망하는 중이었는데
에스메랄다다라는 역할이 배우로서 윤공주의 터닝포인트가 된다면 참 좋겠다.
"살리라"를 부르는 윤공주의 모습을 보면서 그럴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다.
깨끗하고 힘찬 윤공주의 고음을 참 오랫만에 들었다.
문종원 클로팽은 과했던 아바타 분장이 약해져서 다행스러웠고
민영기 프롤로는 자신만의 프롤로를 잘 만들어냈다.
2막에서의 민영기의 뿜어내는 감정표현은 정말 좋았다.
프롤로 신부도 참 힘들었겠구나... 감정이입 되버렸다.
표정도 아주 좋았고...
마이클리의 한국어 발음은 어색한 부분이 아직 많긴 하지만 고음은 역시나 참 매력적이다.
특히 무반주로 부르는 커튼콜의 "대성당의 시대"를 듣고 있으면
이 노래 전체를 무반주로 듣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정말 깨끗한 고음을 가진 배우...
(<벽뚫남>에서 그는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3층이 1층보다 음향이 더 좋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확인한 결과 사실이다.
1층에서 잘 안들렸던 가사가 3층에서는 잘 들려서 깜짝 놀랐다.
댄서들의 움직임과 조명을 보기에도 3층이 정말 좋고...
그동안 2번의 관람에서 이 조명들을 못봤다는 생각을 하니 왠지 좀 억울해질 정도다.
단백하면서도 스토리와 인물들에 정확하게 포인트 맞춰진 멋진 조명이다.
어떤 화려함과도 견주지 못할 정도로 압권이다.
에스메랄다의 "살리라"에서 객석으로 쏟아지는 조명도 아주 드라미틱하다.
도대체 첫관람에서 나는 뭘 봤던걸까?
여행의 피곤이 덜 풀렸던걸까?
프랑스 오리지널 공연만큼 황홀한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이번 라이선스 공연도 결과적으로 나쁘지 않다.
회전문을 도는 심정...
충분히 알겠다!
<Notre Dam De Pari>
확실히 최고의 명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