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0. 3. 25. 08:31
플레이 디비에 이벤트 당첨이 됐다.
이벤트가 아니었어도 이번엔 꼭 보리라 생각했던 작품이다.
매번 공연기간도 너무 짧았지만(이번에도 3월 24~28일까지 사흘간 공연이다)
이상하게 나와는 인연이 닿지 않았던 공연이었다.
주변에서 이야기는 참 많이 들었었는데...



1930년대 대중음악 장르 하나였던 만요(漫謠)를 가지고 만든 공연이다.
<오빠는 풍각쟁이>, <엉터리 대학생>, <신접살이 풍경>, <왕서방 연서>, <노들강변> 같은
재미있고 풍자적인 노래들로 구성되어 있다.
뮤지컬 배우 박준면이야 연기와 노래로 익히 정평이 나 있는 인물이고
내가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건 하림의 모습이었다.
그의 노래를 얼마나 좋아했던가?
"출국", "난치병"(1집), "여기보다 어딘가에",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2집)
감상적면서도 어딘지 시니컬한 그의 노래는 고급스럽기까지 했었다.
2004년 2집이 나온 후 그의 침묵은 참 길어서 궁금했었는데...
<천변살롱>에서 본 그는 외형적으론 홍석천을 떠오르게 한다.
어쩐지 약간 코믹하고 오래된 만평같은 느낌이랄까?



<천변살롱>의 마담 박모단.
"모단"이란 이름은 그녀의 애인 "진일파"가 지어주었단다.
모던한 여성이 되라고...
모던한 여성을 희망하는 박모단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노래들.
향수를 자아내기에는 내 나이가 너무 어리지만(?)
왠지 콧소리 가득한 만요(漫謠)가 정감있고 다정하게 들리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리고 확실히 박준면의 콧소리는 매력적이다.



안타까운 건,
이 극이 신세대를 아우르기에도 그렇다고 해서 어른신들의 추억을 아련하게 떠올리게 하기에도
확실히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코믹의 요소로만 전락할 가능성도 다분히 보인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지금까지는 어쨌든 박준면과 하림이라는 축에 의해 잘 이어가긴 했는데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될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이 앞전의 공연들을 보지 못했기에 한 번의 관람으로 뭐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겠지만
내가 생각하기엔 분명 처음과는 달라지지 않았나 싶다.
어디까지나 우려일 수 있겠지만...
그리고 무시할 수 없는 걱정거리 또 하나,
두 사람(박준면과 하림)이 빠져도 공연이 지금과 같은 매니아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까?
어쩌면 장기공연을 할 수 없었던 이유가
오랜 공연으로 이 극의 단점이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거란 우려 때문은 아닐까?



노래에 맞추기 위해 이야기를 억지로 만들어냄으로써
(가령, 모단의 연인으로 추정되는 진일파와 그의 약혼녀의 죽음이라든가, 기생집 명월관의 등장같은 것들)
어쩌지 극을 작위적으로 만들어버린다.
차라리 <천변살롱> 마담이 살롱의 손님들의  에피소들 이야기하는 구성이었다면 어땠을까?
(식상했을라나???)
대본을 쓴 사람이 누군가 열심히 찾아봤다
음악평론가 "강헌"씨다.
결국은 스토리를 따라가는 공연이 아니라
요즘 세대엔 쉽게 들을 수 없는 만요(漫謠)에 촛점이 맞춰진 공연이라는 의미다.
유랑극단을 떠올리게 하는 살롱밴드들과
옛스런 소리를 내는 아코디언과 바이올린이 주는 느낌은
아무래도 젊은 시각에서는 독특하고 신선할 수 있을 것 같다.
솔직히 나만 해도 이런 만요를 실제로 듣어본 건 처음이었으니까...



공연에 나오는 만요(漫謠)의 가사들은 정말 재미있고 독특하다.
하림의 부르는  "왕서방 연서"나 "개고기 주사"는 폭소를 자아내게 한다.
"쓰디 쓴 막걸리나마 권하여 보았건디
 이래뵈도 종로에서는 개고기 주사
 나 몰라? 개고기 주사를?"
모단걸 박준면이 부르는 "이태리의 정원"이나  "외로운 가로등"은
그녀의 풍부한 감성과 가득한 울림을 듣기에 좋은 곳.
적당히 감상적이기도 하고...



가끔은 나도 살롱문화가 그리울 때가 있다.
그건 실제로 경험한 자가 갖는 향수가 아니라
미처 경험하지 못한 자의 동경이리라.
"하늘가 찻집"
정말 그런 곳이 세상 어딘가에 존재한다면
나 역시나 기꺼이 모단걸이 되어 질편한 만요를 부르고 싶어지지 않을까?
내게도 오래 품은 이야기가,
쏟아내고 싶은 이야기가 가득하니까.
Posted by Book끄-Book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