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men>
일시 : 2013.12.03. ~ 2014.02.23.
장소 : LG 아트센터
대본 : 노먼 알렌
작곡 : 프랭크 와일드혼
작사 : 잭 머피
연출 : 김동연
음악감독 : 이나영
출연 : 바다, 차지연 (카르멘) / 류정한, 신성록 (호세)
임혜영, 이정화 (카타리나) / 에녹, 최수형 (가르시아)
이정열, 유보영, 태국희, 임재현, 최호중, 서경수 외
제작 : 오넬컴퍼니, (주)뮤지컬해븐
첫번째 관람과 호세만 빼고 전케스팅이 다르다.
그리고 LG 아트센터 3층 맨 앞 줄에서의 관람.
오히려 1층 관람보다 시야가 확트여 좋았고 조명을 제대로 볼 수 있어 좋았다.
특히나 마지막 앤딩 장면의 거울 장면은 확실히 1층에서보다 3층에서가 훨신 더 느낌이 좋더라.
차지연 카르멘이 진한 블루스의 느낌이라면
바다 카르멘은 탱고의 느낌이었다.
특히 " we all dance alone"은 바다의 느낌이 제대로 사는 느린 탬포의 탱고가 느껴져 좋았다.
역시나 어려운 노래들이 많아 소위 발하는 삑사리가 여러번 발생하긴 했지만
여배우로써 이정도 끌고 갈 수 있었다는 사실엔 박수를 보낸다.
개인적으론 "A women like me"와 "we all dance alone"은 바다 카르멘이 좋더라.
"If I could"와 "You belong to me"는 차지연 카르멘이 더 좋았고!
바다가 고양이 느낌이라면
차지연은 그것보다 더 예리하고 날카로운 살쾡이 느낌이랄까?
여성적이었던 건 바다, 자유분방하고 강했던 건 차지연.
두 배우 다 충분히 장단점이 있긴 하다.
(그런데 바다 카르멘은 대사톤이 전체적으로 붕 떠있어서 가벼워 보이더다.)
가르시아 최수형은,
매번 거슬렀던 특유의 바이브레이션도 이번엔 줄어들어서 좋았다.
예전에 했던 <아이다>의 라다메스 장군보다 훨씬 더 남성적이고 강해서
차지연 카르멘과 만나면 굉장히 쎈 "You belong to me"가 나올 것 같다.
에녹 가르시아는 강한 비열함,
최수형 가르시아는 왠지 모를 애증이 느껴진다.
카르멘을 이용하는 건 맞지만 그만큼 아주 깊게 사랑하고 있는 것도 같다.
같은 배역도 배우의 표현에 따라 이렇게 다를 수 있구나...
이정화 카타리나 역시도 임혜영과 또 완전히 다르다.
임혜영은 정말 온실 속 화초같은 느낌이지만
이정화는 딸 많은 집의 장녀 같은 느낌.
임혜영보다 의젓하고 더 강해보인다.
개인적으로 임혜영이 카타리나라는 배역과는 더 잘 어울렸던 것 같다.
류정한 호세와의 듀엣곡 "My only prayer"나 "I want to tonight"도 임혜영 쪽이 훨씬 좋았고
솔로곡 "Saint Theresa"도 임혜영 쪽이 훨씬 더 간절했다.
이번 관람에서 가장 좋았던 넘버는
호세와 파비오, 시장과 총경 네 사람이 부른 "A women like me""
네 명의 목소리톤이 다 다른데 그 다른 톤이 다 살아있어서 아주 좋았다.
류정한 호세는 카타니라와의 듀엣은 참 스윗하고
카르멘과의 듀엣은 간절해서 차별성이 생겨 좋았다.
심리적으로, 환경적으로 참 쉽지 않는 역인데 역시나 류정한스럽게 잘 표현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은 내 취향은 절대 아닌 것 같다.
도대체 나는 엄청나게 스펙타클한 작품이 보면서 왜 이렇게까지 지루했을까?
이유는 하나!
스토리에 임펙트가 없어서다.
사건이 너무 쉽게 발생하고 또 너무 쉽게 해결되고
인물들끼리도 너무 쉽게 대립하고 너무 쉽게 타협한다.
스토리와 인물이 서로 엮힘에 좀처럼 긴장감이 느껴지지 않는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화려하고 휘황찬란한 선물 겉포장때문에 실제로 그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완벽하게 가려졌다고 할까?
feel이 아닌 view만 너무 강한 작품이다.
단적인 예를 들자면,
플라멩고의 경우 그 끈적하고 진한 스텝이 느껴지는게 아니라
과도하게 펄럭이는 치마자락의 휘날림으로 정신을 빼놓는다.
확실히 작품보다는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였던 작품.
이 배우들이 아니었다면!
결과가 과연 어땠을까?
(단언컨데 지금과 같은 전석매진의 흥행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