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끄적 끄적...2017. 9. 28. 08:48

 

<M. Butterfly>

 

일시 : 2017.09.09. ~ 2017.12.03.

장소 : 아트원씨어터 1관

극본 : 데이비드 헨리 황(David Henry Hwang) 

연출 : 김동연

출연 : 김주헌, 김도빈 (르네 갈리마르) / 장율, 오승훈 (송 릴링) / 서민성, 권재원 (툴롱/판사)

        황만익, 김동현 (마크) / 송영숙 (친/스즈끼) / 김유진 (헬가), 강다윤 (소녀 르네)

제작 : 연극열전

 

사실 관람 순간까지도 좀 걱정됐다.

일종의 편견이긴한데

<에쿠우스>와 이 작품은 김광보 연출에 익숙한 상태라

개인적으로 다른 연출가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 같은게 있다.

아마 이 작품도 <프라이드>와 <킬 미 나우>의 김동연 연출이 아니었다면 그냥 넘겼을지도.

게다가 르네역의 김주헌은 내겐 너무 낯선 배우라

찌질과 처절을 어가는 르네를 어떻게 감당할지도 걱정됐다.

(그런데 이 배우... 프로필 사진과 실제 모습이 많이 다른 것 같다. 외형이 아니라 느낌이...)

 

전체적인 느낌은,

"어?...좀 이상하네 -> 괜찮아지네 -> 괜찮네 -> 좋네" 

딱 이런 과정이었다.

인터뷰에서 밝혔듯 김주헌은 연기할 때 에너지가 과한 편이었다.

그래서 초반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극중극이라는 형태가 그 과함을 결국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만들더라.

개인적으론 지금까지의 르네 중에서 가장 강하고 드라마틱한 결말을 보여주지 않았나 싶다.

김동현 연출이 왜 김주현이란 배우를 르네로 선택했는지 조금은 이해가 됐다.

마담 버터플라이를 만나 스스로 마담 버터플라이가 된 르네.

결국 나를 속인건 나의 욕망이 아니라 나의 믿음이다.

그걸 김주헌 르네는 처절하고, 확고하게 보여줬다.

그래도 이번 <M버터플라이>의 최고 수훈은 송 릴링 "장율"이다.

지금껏 내가 본 송 중에서 최고의 송이다.

<프라이드>를 보면서도 신예라는게 믿기지 않았는데

이번 작품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송 릴링의 실제 인물인 쉬 페이푸의 진술 그대로 남자와 여자 모두를 매료시켰다.

“그냥 여성을 표현해야 하는 것을 넘어서 송 릴링이 표현하는 여성, 남자에게 완벽한 여성을 표현하는 것이 정말 어려웠다. 그 부분을 계속해서 고민해나가고 있다”

그의 고민의 결과는... 진심으로 아름다웠다.

 

스물 여덞 장율.

이 배우의 다음 모습이 궁금해진다.

자신의 이상 혹은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는 예술가의 집념.

이 녀석에게서...

마담 버터플라이가 보인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9. 27. 11:55

 

<틱틱붐>

 

일시 : 2017.08.29. ~ 2017.10.15.

장소 : TOM 1관

원작, 작사, 작곡 : 조나단 라슨(Jonathan Larson)

음악감독 : 구소영

연출 : 박지혜 

출연 : 이석준, 이건명 (존) / 배해선, 정연 (수잔) / 성기윤, 조순창, 오종혁, 문성일 (마이클)

제작 : (주)아이엠컬처

 

이석준의 눈물

그걸로 다했다.

"Why"는 존의 마음이지만

20년을 무대와 함께 한 이석준의 마음이고

배해선, 성기윤의 마음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론 배우가 작품 속 인물가 오버랩되는걸 싫어하는데

(적당한 거리감, 난 그걸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객이라)

이 작품만큼은 예외로 둬야겠다.

아예 캐스팅보드에 존의 이름을 빼버리고 이석준 이름만 써도 충분하겠다.

얼마전까지만해도 초연을 못 본 걸 아쉬워 했는데

지금은 생각이 달라졌다.

작품을 보는 내내 여러 감정들이 파노라마처럼 지나가더라

부끄럽기도하고, 명확하기도 하고, 속시원하기도 하고.

 

어릴때 봤다면 지금 느끼는 이 감정들은 못느꼈을것 같다.

타인의 초상화에 내 자화상을 보는 느낌.

 

tick, tick, tick...

시간은 계속해서 지나간다.

문득 궁금해졌다.

50대에 이 작품을 본면 어떤 느낌이 들지가.

아마도 딱 이렇겠지!

Boom~~~~~~~~~~~!

 

혹은,

 

헐!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9. 22. 14:35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

 

일시 : 2017.09.11. ~ 2017.10.29.

장소 : CJ아지트 대학로

원작 : 다나베 세이코

각색, 연출 : 김명환

출연 : 최우리, 문진아, 이정화 (쿠미코) / 백셩현, 김찬호, 서영주 (츠네오) / 김대곤, 황규인 (권진우)

        임종인, 박슬마로 (사이토) / 류경환, 김아영 (토모코, 다나카)

제작 : 벨라뮤즈 (주)

 

내가 못됐거나 아니면 너무 나이를 먹었거나...

나는 호가실히 일본적인 정서에 대한 공감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 같다.

장애와 외로움을 무기처럼 휘두르는 쿠미코도 싫었고

동정과 연민을 사랑이라 믿은 츠네오도 참 싫었다.

나도 안다.

고통의 이유도, 고통의 종류도, 고통의 결과도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걸.

그래도 자신의고통이 무기가 될 수는 없다.

그게 사랑일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자체는 참 잘 만들었다.

공연장도 좋았고, 무대도 좋았고, 조명도 좋았고,

배우들의 연기도 참 좋았다.

그리고 음악까지도 다.

없던 추억도 몽글몽글 피어오를 것만 같던 음악.

 

김찬호의 츠네오...

너무 좋더라.

특히 나레이션.

뭉클했다.

그 마음이 이해가 돼서....

 

언젠가는 더 이상 그를 사랑하지 않는 날이 올거야

베르나르는 조용히 말했다.

그리고 언젠가는 나도 당신을 사랑하지 않겠지,

우린 또다시 고독해지고 모든게 다 그래, 그냥 흘러간 일 년의 세월이 있을 뿐이지...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9. 15. 09:42

 

<Hedwig>

 

일시 : 2017.08.18. ~ 2017.11.05.

장소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원작, 대본 : 존 카메론 미첼

작사, 작곡 : 스티븐 트레스크 

음악감독 : 이준

연출 : 손지은

출연 : 오만석, 유연석, 정문성, 조형균, 마이클리 (헤드윅) / 전혜선, 유리아, 제이민 (이츠학)

제작 : (주)쇼노트

 

마이클리의 헤드윅을 봤다.

이례적인 영어 공연.

한국어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마이클리에게도 신의 한 수 였고

마이클리의 헤드윅을 본 나도 신의 한 수였다.

워낙 잘 아는 작품이라 영어버전이 낯설지도 않았고

마이클리 자체도 테스트에 충실한 배우라 낯섦이 전혀 없었다.

전체적인 느낌은...

슬프고 좀 애잔했다.

뭐랄까,

생의 전성기를 다 지난 가수의 넋두리같다고나 할까?

그걸 감추기 위한 안간힘까지도 느껴져 개인적으로 참 많이 짠했다.

내가 어린 나이였다면 절대 몰랐을 감정...

그래서 좋기도 하고 슬프기도 했다.

공연을 보기전에는 "Origin of love"나 "Angry Inch"가 좋을거라 생각했는데

막상 보고 나니 "Wicked Little town"과 "Midnight Radia"에 귀에 확 꽃혔다.

아무래도 내 속엔 기쁨보다 슬픔이 훨씬 더 많이 내재된 모양이다.

밝음, 활기참 뒤에 슬픔이 더 많이 보인다.

그래서 이 작품이 좋은지도 모르겠고!

어둠 속에서 "X"자로 교차되는 핀조명을 받으며 부르는 제이민 이츠학의 "데스페라도"도 너무 슬펐고...

환호하는 관객들 사이에 외딴 섬이 된 되기도 했지만

그 고립 또한 <헤드윅>을 보는 동안은 싫지 않다.

불완전함에 대한 연민과 동조.

그게 이 작품을 바라보는 내 마음의 진심이다.

 

헤드윅은.

참 외면이 안되는구나...를 또 다시 절감하며.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9. 13. 09:44

 

<틱틱붐>

 

일시 : 2017.08.29. ~ 2017.10.15.

장소 : TOM 1관

원작, 작사, 작곡 : 조나단 라슨(Jonathan Larson)

음악감독 : 구소영

연출 : 박지혜 

출연 : 이석준, 이건명 (존) / 배해선, 정연 (수잔) / 성기윤, 조순창, 오종혁, 문성일 (마이클)

제작 : (주)아이엠컬처

 

이석준, 이건명, 배해선이 뮤지컬에 데뷔한지 벌써 20년이 됐단다.

함께 나이 들어가는 동년배로서 나역시도 이 배우들을 보는 감회가 참 새롭다.

이들의 공통점은 아주 성실하고 책임감있는 사람들이라는거다. 

배우로서도, 인간적으로도.

그래선지 초연캐스팅 그대로 돌아와 준 게 너무 반갑고 고마웠다.

비록 겉모습은 서른이 바라보는 작품 속 주인공의 모습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지만

그럼 또 어떤가!

난 그 모습이 오히려 너무 좋더라.

작품과 배우의 역사를 보는 것 같아서 어딘지 뭉클하기도 했다.

개인적인 세 배우의 202ㅜ년을 축하해주고 싶은 소박한 마음에 첫공을 봤다.

<렌트>도 그렇고 이 작품도 그렇고

20년이 시간이 지났는데도 전혀 촌스럽거나 구태의연하지 않는다.

스토리도, 음악도 모든게 다.

조나단 라슨은 이 두 작품만으로도 천재라는 말을 듣기에 충분하다.

사실 이 작품은 조나단 라슨의 실제로 겪은 일화를 그대로 뮤지컬로 만들었다.

이야기 속에 나오는 존의 워크샵 공연 <superbia>도 실체가 있는 작품으로

<Superbia>과 <Tic Tic Boom>으로 재탄생됐다고 하겠다.

1989년 완성한 <렌트>도 빛을 보지 못하다가 7년 후에 겨우 무대위에 올려졌다.

(에이즈환자가 주인공이었으니 그 당시엔 엄청난 파격과 이슈였겠다.)

우려와는 다르게 <렌트>는 그해 플리처상과 토니상 등 뮤지컬로 받을 수 있는 거의 모든 상을 휩쓸었다.

하지만 라슨은 이 모든 성공을 단 하나도 보지 못했다.

<렌트>가 브로드웨이 공연되기 2 주 전 집에서 차를 마시다 대동맥혈전으로 35살에 사망해버린다.

만약 조나단 라슨이 그렇게 사망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렌트>와 <틱틱붐>을 넘어서는 작품을 보게 됐을수도 있었을거다.

이 두 작품을 볼 때면 그래서 비운의 천재에 대한 안타까움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조나단 라슨의 음악을 너무너무 좋아해서 더 안타깝고...

이 작품도 모든 넘버가 다 끝장이다.

한국어 번역도 너무 잘됐지만

멜로디 자체가 귀에 속속 들어온다.

놀라울 정도로 신선하면서 한편으론 아주 친숙한 느낌.

그러고보니 딱 이건명과 이석준 같다.

 

멋짐이란게 특별한게 없는것 같다.

이 날만큼은 20대를 연기하는 이건명, 배해선, 성기윤,

이 세 명의 40대 배우들이 진심으로 멋짐 폭발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작품에 대한 열정과 인물에 대한 사랑은

20대의 파이팅 그 이상이었다.

멋져! 멋져!

 

 

01. 30/90 - Company
02. Green Green Dress - Jonathan, Susan
03. Johnny Can't Decide - Company
04. Sunday - Company
05. No More - Michael, Jonathan
06. Therapy -Jonathan, Susan
07. Times Square -
08. Real Life - Company
09. Sugar - Company
10. See Her Smile - Company
11. Superbia Intro -
12. Come to Your Senses - Karessa
13. Why - Jonathan
14. 30/90 Reprise
15. Louder Than Words - Compan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9. 6. 14:47

 

<벤허>

 

일시 : 2017.08.24. ~ 2017.10.29.

장소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원작 : 루 윌리스 (LEW WALLACE)

극작, 작사, 연출 : 왕용범

작곡, 음악감독 : 이성준

안무 : 문성우, 홍유선

출연 : 유준상, 박은태, 카이 (유다 벤허) / 박민성, 민우혁, 최우혁 (메셀라) / 아이비, 안시하 (에스더)

        남경읍, 이희정 (퀸터스), 서지영(마리암), 김성기(시모니테스), 이정수(빌라도) 외

제작 : 네오프로덕션

 

왕용범, 이성준이 <프랑켄슈타인>에 이어 야심차게 준비한 창작 뮤지컬 <벤허>

요즘 이 두 사람을 콤비라 지칭해도 무방할 것 같다.

사실 난 왕용범의 연출 스타일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지나 못지 않은 배우 돌려막기도 싫고,

아이돌을 대거 출연시키는 것도 싫고,

배역 하나에 다섯, 여섯 명의 배우들이 출연시키는 것도 싫고,

뜬금없이 등장하는 개그코드도 다 싫다.

내가 생각하는 왕용범 최고의 작품은 역시나 <프랑켄슈타인>

그런데 이 작품은 <프랑켄슈타인>보다 준비기간이 훨씬 더 걸렸던다.

출연 배우들도 소위 말하는 맏고 보는 배우들이고

그 배우들이 이제까지 대한민국에서 보지 못한 작품이 탄생했다면 호언장담도 했다.

(절대 지치지 않는 유준상의 눈부신 솔선수범 홍보력 ^^)

 

프리뷰를 본 느낌.

일단 1막은 너무 연극적이다.

배우들의 연기력이 좋아 지루하진 않았지만 넘버가 너무 적다.

1막에서 기억나는 곡은

에스터 아이비가 부른 솔로곡 "그리운 땅"과

박은태 벤허와 에스터 아이비가 부른 "카타콤의 빛" 두 곡.

1막 엔딩곡 "운명"은 JCS의 "게세마네" 못지않은 드라마틱한 넘버일거라 예상했는데 살짝 의외였다.

너무 정적이라고 할까?

유다 벤허가 분노와 고통을 삭여도 너무 속으로 삭이는 느낌.

<프랑켙슈타인>의 괴물처럼 외적으로 더 폭발해줬으면 싶었다.

1막에서 가장 인상깊었던건 에스더역의 아이비.

"그리운 땅"은 성량도, 목소리톤도, 감정도 정말 다 좋았다. 

 

2막은 1막보다 훨씬 더 드라마틱하긴한데

어딘지 JCS와 <프랑켄슈타인>과 자꾸 겹쳐진다.

누군가는 유다 벤허가 예수와 마주하는 장면이 예수와 예수와 만나는 것 같았다고 하던데

내가 딱 그 느낌이었다.

벤허가 울부짖는 장면에서는 저절로 괴물이 소환되고...

사실 이건 작품의 문제는 아니다.

벤허역의 박은태가 JCS에서는 "예수"를, 프랑켄슈타인에서는 "괴물"을 했기에 체감되는 기시감이다.

두 작품 다 워낙 임펙트가 강해서 무시할수가 없다.

그걸 극복하는게 이번 작품에서 박은태가 넘어야 할 난관이지 싶다.

무대는 프랑켄슈타인 만큼은 아니지만 나쁘지 않았고,

안무는 좀 허접했다.

특히 2막 시작의 밸리댄스는 좀... 심각...

개인적으로 전차경주가 어떻게 연출될까 정말 궁금했는데

이게 최선이었을까 싶다가도 이게 최선이겠구나 싶었다.

단지 메셀라가 벤허의 전차에 손을 써둔게 표면화되지 않은건 좀 아쉽더라.

메셀라가 전차에서 떨어지는 장면도 좀 그랬고...

(그렇다고  이 장면을 실감있게 하라는 것도 좀 그렇긴 하다)

 

JCS와 프랑켄슈타인의 기시감을 떨쳐버리려면

아무래도 카이나 유준상 캐스팅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어쨌든 현재까지는 난 좀 애매한 쪽이다.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8. 30. 08:58

 

<사의 찬미>

 

부제 : GloomyDay16260804

일시 : 2017.07.29. ~ 2017.10.29.

장소 : DCF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

작곡, 음악감독 : 김은영

극본, 연출 : 성종완

출연 : 김경수, 정문성 (김우진) / 안유진, 곽선영 (윤심덕) / 정민, 이규형 (한명운)

제작 : 네오프로덕션

 

2013년, 2015년, 2017년.

묘하게 2년 주기로 이 작품을 봤다.

참 이상하다.

스토리, 넘버, 캐스팅된 배우, 연출 등에 큰 변화가 거의 없는데도

2013년보다 2015년이, 2015년보다 2017년 관람하게 느낌이 훨씬 좋다.

넘버들이 정말 좋구나 다시 절감했다.

사실 김경수를 기대하고 갔는데 2015년 관람때처럼 정민 한명운에게 반하고 왔다.

세 배우의 공통점은,

노래할 때와 대사할 때의 톤이 다르다는거다.

특히 노래를 부를 때가 인상적이다.

김경수는 목을 누르면서 부르는데도 소리가 아주 날카롭고

곽선영은 일본 엔카 카수같은 간들거리며 부르다 순간적으로 확 찔러대는 뾰족함이 있다.

그리고 정민은 목을 다 열고 부르다 결정적인 순간에 꽝~~! 하고 내려친다.

누르고(김경수), 흔들고(곽선영), 터뜨리는(정민) 세 배우의 합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다양한 버전의 "사의 찬미"도 너무 좋았고

후반부에 곽선영 윤심덕이 부른 사의 찬미는 그야말로 '광막한 광야를 달리는~~~" 느낌이었다.

개인적으로 후폭풍이 큰 넘버기도 했다.

어쩌다보니...

요근래 본 뮤지컬 중에서 제일 재미있게 봤고, 제일 인상적이었다.

재관람을 부를 정도로 ^^

 

* 새로운 세상.

  그런게 정말 있긴 할까?

  있다면 많은 사람들의 결말 역시도 지금과 달랐을텐데...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8. 25. 13:49

 

<3일간의 비>

 

일시 : 2017.07.11. ~ 2017.09.10.

장소 : 아트원씨어터 2관

대본 : 리처드 그린버그 (Richard Greenberg)

연출 : 오만석

피아노 : 김희은

출연 : 최재웅, 윤박 (워커 & 네트) / 이명행, 서현우 (핍 & 테오) / 최유송, 이윤지 (낸 & 라이나)

제작 : (주)악어컴퍼니

 

개인적으로...

나는 배우 오만석보다 연출 오만석을 더 좋아한다.

연출자이 시선뿐만 아니라 배우의 시선까지도 함께 담겨있어서일거다.

이 연극도 가령 연출자의 시선으로만 봤다면,

지금과 같은 각색이 나오진 못했을것 같다.

아마 원작 그대로 작품을 올렸다면 지루했다는 평가를 받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니까 각색의 좋은 예, 연출의 좋은 예라 하겠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1인 2역.

익숙한 패턴이지만 익숙하지 않은 뭔가가 있다.

이런 작품에 출연하는 배우는,

각오를 단단히 해야할 것 같다.

템포로 표현하지면 아주 느리게...에 해당하는 lento다.

강약으로 따지면 약...약...약...약...의 느낌.

난 참 좋더라.

여백으로 가득한 네트의 일기장처럼.

 

비어있는 곳은,

사실 비어있는게 아니다.

그 속에 더 많은 진실들이 담겨있다.

나는 1960년의 네트, 테오, 라이나도 슬프지만

1995년의 워커, 핍, 낸은 더 슬프다.

세대와 세대는 정말 끊어질 수 없는건가?

우리 모두는 전 세대와 뒷 세대에 연결되어 있다는 말.

믿고 싶지 않지만 인정을 안할 수도 없다.

 

그냥 그런 생각을 했다.

무언가를 기다리지도 말고, 무언가가 되지도 말고

그냥 "나"로 존재하자고.

generation의 종말.

비장한 구호처럼 들리겠지만 사실은 그게 평온이라고...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8. 18. 09:10

 

<레베카>

 

일시 : 2017.08.12. ~ 2017.11.12.

장소 :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원작 : 데임 다프테 뒤 모리에 <레베카>

대본, 작사 : 미하엘 쿤체 (Michael Kunze)

작곡 : 실버스터 르베이 (Sylverster Levay)

연출 : 로버트 요한슨

음악감독 : 김문정

출연 : 민영기, 정성화, 엄기준, 송창의 (막심 드 윈터) / 이지혜김금나, 루나 (나)

        신영숙, 김선영, 옥주현 (덴버스 부인) / 최민철, 이상헌 (잭 파벨) / 정영주, 김나윤 (반 호퍼 부인)

        이정화, 류수화 (베이트리체), 최병광(가일스), 정동효(프랭크 크롤리), 변형범(벤), 이종문(줄리앙 대령) 외

제작 : EMK뮤지컬컴퍼니

  

솔직히 말하면 난 <레베카>란 작품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요즘 스토리 힘이 부족한 <시라노>와 <나폴레옹>을 봐선지 너무 재미있게 봤다.

확실히 스토리가 워낙 탄탄한 작품은 지루할 틈이 없다.

오랫만에 민영기와 신영숙의 무대를 봐서 너무 좋았고

역시나 두 배우의 노래와 연기는 감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그동안 민영기가 분량면에서 살짝 밀리는 느낌이었는데

막심으로 되돌아와서 노래와 연기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칼날 송 good~~~!)

신영숙 덴버스는 그야말로 넘사벽이다.

폭발적인 고음에 표정, 말투, 연기 모두 다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인간이 어떻게 저런 고음을, 어떻게 저렇게 시원시원하게 뽑아낼 수 있는지...

내겐 배우 신영숙이 작품과 캐릭터보다 훨씬 더 호러스럽다.

이종문이 줄리앙으로 캐스팅한건 배우 낭비인것 같고

프랭크 정동효는 존재감이 많이 아쉬웠다.

무대에서 처음 본 김금나는 "나"라는 역할에 잘 어울리긴 했는데

1막 청혼하는 장면에서의 연기는 좀 오버스러웠다.

그 부분에서 민명기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운운 하는 것도 좀 그랬고...

(혹시 민영기 막심에 발란스를 맞춘건가???)

뜬금포이긴 한데

1막에서  베아트레체가 솔로곡을 부를때

노래가 끝나지도 않았는데 암전되버린건 배우에게 너무 실례이지 싶다.

(설마 매번 이러는건 아니겠지? 이날만 그랬기를...)

어느 틈에 약역으로 굳어버린 최민철 잭도 정말 좋았고

이번 시즌에 새로운 반 호퍼 부인 정영주도 기대만큼 좋았다.

 

개인적으로 류정한이 막심으로 출연하지 않으면

이 작품 볼 때 집중력이 확 떨어졌는데

정말 오랫만에 너무 재미있게 봐서 돌아오는 발걸음까지 흐뭇했다.

아무래도 내 돈 들여 재관람을 하게 될 듯. 

그땐 김선영 덴버스로!

 

Posted by Book끄-Book끄
보고 끄적 끄적...2017. 8. 16. 08:45

 

<나폴레옹>

 

일시 : 2017.07.13. ~ 2017.10.22.

장소 : 샤롯데 씨어터

극작, 작곡, 작사 : 티모시 윌리엄스(Timothy Wiliams) & 앤드류 새비스톤(Andrew Sabiston)

각색 : 오리라 / 가사 : 채한울

한국연출 : 김장섭 

편곡, 음악감독 : 김성수

출연 : 임태경, 마이클리, 한지상 (나폴레옹) / 정선아, 박혜나, 홍서영 (조세핀) / 김수용, 정상윤, 강홍석 (탈레랑)

        김법래, 박송권, 조휘 (바리스) / 백형훈, 진태화, 이창섭, 정대현 (뤼시앙) / 김주왕, 박유겸, 기세중 (앤톤)

        황만익, 이상화 (가라우) / 임춘길 (푸셰), 김장섭 (헨리), 김사라, 방글아 외

제작 : (주)쇼미디어그룹, (주)롯데엔터테인먼트, (주)이에스에이

 

뮤지컬 <나폴레옹> 두번째 관람.

어차피 기승전 마이클리때문에 보는거긴 하지만

그래도 이왕 보는게 첫번째와 최대한 캐스팅이 겹치지 않게 선별했다.

일단 전체적인 느낌은...

첫번재 관람이 훨씬 좋았다는거!

대사가 많이 관람 전부터 걱정이 되긴 했는데 예상대로 한국어 발음이 마이클리의 발목을 잡는다.

물론 예전과 비교하면 놀라울 정도로 한국어 발음이 좋아진건 사실이다.

아마 쏭쓰루 뮤지컬이라면 티도 안 날 정도.

하지만 대사가 많은 작품은 확실히 티가 난다.

세계적인 영웅 나폴레옹이 한국어 발음 때문에 모지리가 됐다.

마이클리도 딴엔 정확하게 발음하려고 계속 신경을 쓰던데 그게 오히려 역효과를 내는 것 같다.

말 음절에 너무 힘을 주다보니 전체적으로 자연스럽지가 않고 뒷음절이 뭉개진다.

려면 떻게 야 합니까? 력을 지려면 떻게 야 합니까?

이런 식이다.

본인도 힘들겠지만 보는 관객들도 참 힘들다.

노래는 정말 잘하는데...

 

박혜나 조세핀은 뮤지컬이 아니라 재즈바에서 노래하는 직업가수같았다.

조세핀이란 인물 자체가 작품 속에서 그닥 매력적인 인물이 아니긴한데

박혜나 조세핀은 너무 밋밋했다.

게다가 너무 중후한 마담의 느낌이라 마이클리조차도 연하남으로 만들어버리더라 .

내가 생각했던 조세핀과 괴리감이 커서...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백형훈 뤼시앙은 잘하겠노라는 마음을 내려놓았으면 좋겠다.

홀로 너무 비장하고 혁명혁명해서 때때로 감정의 과잉까지 느껴진다.

김주왕 앤톤은 "ㅓ" 발음이 말리는 게 자꾸 귀에 들어왔다.

정상윤과 조휘는 아주 좋았고

조휘는 바리스가 아니라 탈레랑을 해도 좋았겠다는 아쉬움 살짝 ^^

 

<시라노>에 이어 이 작품도

세번째 관람으로 이어지닌 않을 것 같다.

뮤지컬, 연극을 오래 보다보니

넘버가 좋고, 무대가 화려하고, 출연 배우가 대단해도 스토리에 끌어당기는 힘이 없으면

상대적으로 덜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다.

이게 바로 덕후의 아이러니 ^^

 

Posted by Book끄-Book끄